KR200433808Y1 - 경사진 침대 - Google Patents

경사진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808Y1
KR200433808Y1 KR2020060018715U KR20060018715U KR200433808Y1 KR 200433808 Y1 KR200433808 Y1 KR 200433808Y1 KR 2020060018715 U KR2020060018715 U KR 2020060018715U KR 20060018715 U KR20060018715 U KR 20060018715U KR 200433808 Y1 KR200433808 Y1 KR 200433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ootboard
backrest
mattress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수
Original Assignee
이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수 filed Critical 이기수
Priority to KR2020060018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8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8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침대의 측면을 구성하며, 일측은 등받이대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풋보드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의 각각의 측면판의 등받이대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높게 구성하고 풋보드에 연결되는 부분을 낮게 구성하여 그 위에 놓여지는 상부지지판이 경사지게 구성하여 침대가 경사지도록 구성하므로, 침대에서 취침이나 수면을 취할 때 수면을 취하는 사람의 머리측이 다리측보다 높은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허리를 보다 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소화 및 원활한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침대, 매트리스, 측면판, 상판, 경사, 다리

Description

경사진 침대{INCLINED BE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경사진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경사진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80 : 매트리스 20 : 상부지지판
32, 34, 36, 38, 72, 74, 76, 78 : 지지다리 40 : 등받이대
50, 70 : 측면판 60 : 풋보드
본 고안은 경사진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가장 편한 잠을 잘 수 있는 경사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한 잠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사진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생의 1/3 정도의 잠을 잔다. 그리고, 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가구가 침대이다. 따라서, 침대는 생활 및 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된 가구로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침대는 상부에 놓이는 매트리스의 종류에 따라, 스프링 침대, 라텍스 침대, 돌침대, 물침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침대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통깔판과 갈비살깔판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또한, 대부분의 코일스프링형 침대는 스프링의 강도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쿠션의 강도가 작게 제작되어 있어 취침용으로 사용된다.
한편, 스프링 침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른 종류의 침대들이 개발되어 나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침대들은 모두 수평으로 제작되므로, 인체의 장기가 밀집되어 있는 중간 부분에서 가라 앉게 되어 있어 허리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사를 한 뒤에 침대에서 잠을 청하게 되면 소화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우리의 소화장기들이 연동운동을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소화는 가능하지만, 어린아이 또는 소화기능이 많이 떨어진 상태에서는 소화불량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면시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소화기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경사를 구성한 경사진 침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침대의 측면을 구성하며, 일측은 등받이대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풋보드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의 각각의 측면판의 등받이대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높게 구성하고 풋보드에 연결되는 부분을 낮게 구성하여 그 위에 놓여지는 상부지지판이 경사지게 구성하여 침대가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침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은 매트리스(10), 상부지지판(20), 등받이대(40) 및 경사진 측면판(50)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에서 경사진 양측의 측면판(50)의 일측에는 등받이대(40)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양측의 각각의 측면판(50)의 등받이대(40)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지면에 닿지않도록 높게 구성하고, 측면판(50) 위에 놓여지는 상부지지판(20)이 경사지게 구성된다.
매트리스(10)는 내부에 다수개의 스프링이 일정간격으로 결합된 통상의 매트리스일 수도 있고, 라텍스 형태의 매트리스 일 수도 있으며, 매트리스에 물을 넣어 구성한 매트리스일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이 들어가지 않은 보료 형태의 매트리스일 수도 있다.
상부프레임(20)은 전술한 매트리스(10)를 지지한다. 매트리스(10)에 따라서, 상부지지판(20)을 갈비살 형태 또는 통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은 매트리스(10), 상부지지판(20), 상부지지다리(76, 78)(78은 도시생략됨), 하부지지다리(72, 74), 등받이대(40), 측면판(70), 풋보드(60) 등으로 구성된다.
도 2에서 양측의 각각의 측면판(70)의 일측은 등받이대(40)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풋보드(60)가 연결되어 있다. 양측의 각각의 측면판(70)의 상부에는 상부지지판(20)이 평탄하게 놓여진다.
매트리스(10)는 내부에 다수개의 스프링이 일정간격으로 결합된 통상의 매트리스일 수도 있고, 라텍스 형태의 매트리스 일 수도 있으며, 매트리스에 물을 넣어 구성한 매트리스일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이 들어가지 않은 보료 형태의 매트리스일 수도 있다.
상부지지판(20)은 전술한 매트리스(10)를 지지한다. 매트리스(10)에 따라서, 상부지지판(20)을 갈비살 형태 또는 통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지지다리(72, 74, 76, 78)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지지다리(76, 78)와 하부지지다리(72, 74)로 구분된다. 상부지지다리(76, 78)는 등받이대(40)의 하부에 구성되어 침대의 상부를 지지하고, 하부지지다리(72, 74)가 침대의 풋보드(60)의 하부에 구성되어 침대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부지지다리(76, 78)는 하부지지다리(72, 74)보다 길게 구성한다.
따라서, 침대의 상부지지판(20)이 경사지게 되므로, 그 위에 놓여지는 매트리스(10)도 경사지게 된다. 이때 상부지지다리(76, 78)와 하부지지다리(72, 74)의 높이의 차이는 대략 2cm 내지 20cm 정도의 차이를 두어 구성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은 매트리스(80), 상부지지판(20), 상부지지다리(36, 38)(38은 도시 생략됨), 하부지지다리(32, 34), 등받이대(40), 측면판(50) 및 풋보드(60) 등으로 구성된다.
매트리스(80)는 내부에 다수개의 스프링이 일정간격으로 결합된 통상의 매트리스일 수도 있고, 라텍스 형태의 매트리스 일 수도 있으며, 매트리스에 물을 넣어 구성한 매트리스일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이 들어가지 않은 보료 형태의 매트리스일 수도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80)는 등받이대(40)에 놓이는 부분을 높게 구성하고 풋보드(60)에 놓이는 부분을 낮게 구성한다.
예로서,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매트리스(80)의 경우에는 상부에 놓이는 스프링의 길이를 높은 것을 사용하고 점차 하부에 놓이는 위치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은 스프링을 사용하여 경사진 매트리스(80)를 제조할 수 있다.
매트리스(80)를 반대로 배치하거나, 또는 풋보드(60) 측에 머리를 두고 누우면 혈핵순환에 도움이 된다. 이는 평소와는 다른 자세를 취해 혈액의 순환을 돕는 것이다.
등받이대(40), 측면판(50) 및 풋보드(60) 등은 일반적인 구성에 따라 제조한 다.
한편,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1의 예에서 설명된 측면판(50)과 그 상부에 연결된 상판(20)에 의해 경사지도록 한 구성과, 도 2의 예에서 설명된 하부 및 상부의 지지다리(72, 74, 76, 78)의 길이를 다르게 한 구성을 조합하여 측면판(50)과 상판(20)이 경사지게 하고 아울러 상부지지다리(76, 78)와 하부지지다리(72, 74)의 높이에 차이를 두어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측면판(50)과 상판(20)에 의해 경사지도록 한 구성과 도 3의 예에서 설명된 매트리스(80)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한 실시예를 조합하여 측면판(50)과 상판(20)이 경사지게 하고 아울러 매트리스(80) 자체도 경사지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된 각각의 하부 및 상부의 지지다리(72, 74, 76, 78)의 길이를 다르게 한 구성과 도 3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된 매트리스(80)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한 실시 예를 조합하여 상부지지다리(76, 78)와 하부지지다리(72, 74)의 높이에 차이를 두어 구성하고, 매트리스(80) 자체도 경사지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측면판(50)과 상판(20)에 의해 경사지도록 한 구성과 도 3의 예에서 설명된 매트리스(80)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한 실시예를 조합하여 측면판(50)과 상판(20)이 경사지게 하고 매트리스(80) 자체도 경사지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측면판(50)과 상판(20)에 의해 경사지도록 한 구성과 도 2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하부 및 상부 지지다리(72, 74, 76, 78)의 길이를 다르게 한 구성,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매트리스(80)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한 실시예를 조합하여 측면판(50)과 상판(20)이 경사지게 하고 상부지지다리(76, 78)와 하부지지다리(72, 74)의 높이에 차이를 두어 구성하며, 매트리스(80) 자체도 경사지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침대를 경사지게 구성한다. 이때, 측면판(50)과 상판(20)이 경사지게 하거나, 상부지지다리(76, 78)와 하부지지다리(72, 74)의 높이에 차이를 두거나, 또는 매트리스(80) 자체도 경사지게 하는 것을 조합하여 구성하거나, 단독으로 구성하되, 최종적으로 침대의 상판(20) 또는 매트리스(10, 80)가 기울어진 각도는 침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1° 내지 2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침대에서 취침이나 수면을 취할 때 수면을 취하는 사람의 머리측이 다리측보다 높은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허리를 보다 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소화 및 원활한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측면을 구성하며, 일측은 등받이대(40)가 연결되어 있으며, 양측의 각각의 측면판(50)의 상기 등받이대(40)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높게 구성하여 그 위에 놓여지는 상부지지판(20)이 경사지게 구성하여 침대가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침대.
  2.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를 지지하며 등받이대(40)의 하부에 구성되어 침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다리(76, 78)와 침대의 풋보드(60)의 하부에 구성되어 침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다리(72, 74)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지지다리(76, 78)의 길이가 상기 하부지지다리(72, 74) 보다 길게 구성하여 침대가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침대.
  3.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80)는 상기 침대의 등받이대(40)에 놓이는 부분을 높게 구성하고, 상기 침대의 풋보드(60)에 놓이는 부분을 낮게 구성하여 침대가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침대.
  4.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측면을 구성하며 일측은 등받이대(40)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풋보드(60)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의 각각의 측면판(50)의 상기 등받이대(40)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높게 구성하고 상기 풋보드(60)에 연결되는 부분을 낮게 구성하여 그 위에 놓여지는 상부지지판(20)이 경사지게 구성하고,
    상기 침대를 지지하며, 등받이대(40)의 하부에 구성되어 침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다리(76, 78)와 침대의 풋보드(60)의 하부에 구성되어 침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다리(72, 74)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지지다리(76, 78)의 길이가 상기 하부지지다리(72, 74) 보다 길게 구성하여 침대가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침대.
  5.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측면을 구성하며, 일측은 등받이대(40)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풋보드(60)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의 각각의 측면판(50)의 상기 등받이대(40)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높게 구성하고 상기 풋보드(60)에 연결되는 부분을 낮게 구성하며 그 위에 놓여지는 상부지지판(20)이 경사지게 구성하고,
    상기 침대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80)는 상기 침대의 등받이대(40)에 놓이는 부분을 높게 구성하고 상기 침대의 풋보드(60)에 놓이는 부분을 낮게 구성하여 침대가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침대.
  6.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를 지지하며, 등받이대(40)의 하부에 구성되어 침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다리(76, 78)와 침대의 풋보드(60)의 하부에 구성되어 침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다리(72, 74)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지지다리(76, 78)의 길이가 상기 하부지지다리(72, 74) 보다 길게 구성하고,
    상기 침대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80)는 상기 침대의 등받이대(40)에 놓이는 부분을 높게 구성하고 상기 침대의 풋보드(60)에 놓이는 부분을 낮게 구성하여 침대가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침대.
  7.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측면을 구성하며 일측은 등받이대(40)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풋보드(60)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의 각각의 측면판(50)의 상기 등받이대(40)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높게 구성하고 상기 풋보드(60)에 연결되는 부분을 낮게 구성하여 그 위에 놓여지는 상부지지판(20)이 경사지게 구성하고,
    상기 침대를 지지하며, 등받이대(40)의 하부에 구성되어 침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다리(76, 78)와 침대의 풋보드(60)의 하부에 구성되어 침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다리(72, 74)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지지다리(76, 78)의 길이가 상기 하부지지다리(72, 74) 보다 길게 구성하며,
    상기 침대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80)는 상기 침대의 등받이대(40)에 놓이는 부분을 높게 구성하고 상기 침대의 풋보드(60)에 놓이는 부분을 낮게 구성 하여 침대가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침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가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침대 설치장소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1° 내지 25°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침대.
KR2020060018715U 2006-07-11 2006-07-11 경사진 침대 KR200433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715U KR200433808Y1 (ko) 2006-07-11 2006-07-11 경사진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715U KR200433808Y1 (ko) 2006-07-11 2006-07-11 경사진 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283A Division KR20080006439A (ko) 2007-02-16 2007-02-16 경사진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808Y1 true KR200433808Y1 (ko) 2006-12-20

Family

ID=4178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715U KR200433808Y1 (ko) 2006-07-11 2006-07-11 경사진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8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959B1 (ko) * 2013-11-04 2014-03-19 (주)한성헬스피아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KR101375949B1 (ko) 2013-10-22 2014-03-19 (주)한성헬스피아 경사진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949B1 (ko) 2013-10-22 2014-03-19 (주)한성헬스피아 경사진 침대
KR101375959B1 (ko) * 2013-11-04 2014-03-19 (주)한성헬스피아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357B2 (en) Corner piece for a soft-sided mattress
US20140082843A1 (en) Sleeping System with Interchangeable Panels
US9370261B1 (en) Inclined pulmonary-assisting mattress for infants and children
CA2511289A1 (en) Inflatable support apparatus
US5367727A (en) Flotation bed with enhanced postural support
JP2005177319A (ja) ソファ兼用寝具
KR200433808Y1 (ko) 경사진 침대
CN205306487U (zh) 智能电动沙发床
KR200431273Y1 (ko) 형상 변형이 용이한 카우치 시스템
JP3177474U (ja) 逆流性食道炎対処用マット
KR200468081Y1 (ko) 신체 교정용 침대
KR20080006439A (ko) 경사진 침대
CN105433643A (zh) 智能电动沙发床
KR101835653B1 (ko) 발베개
KR20140079942A (ko) 메모리폼 경사 등받이 쿠션
JP2004166925A (ja) マットレス
JP2005006939A (ja) エアマットレス
TWM630189U (zh) 彈簧床墊之雙邊陲承托結構
RU2556528C1 (ru) Кровать (варианты)
JP3108892U (ja) 安楽マット
KR20100013050U (ko) 발 쿠션
KR200258720Y1 (ko) 몸받이 침대
RU2264776C1 (ru) Подушка многослойная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частей тела
KR200201046Y1 (ko) 몸받이 침대
JP3127460U (ja) 座椅子類及び寝布団として使用可能な家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