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959B1 -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 Google Patents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959B1
KR101375959B1 KR1020130133187A KR20130133187A KR101375959B1 KR 101375959 B1 KR101375959 B1 KR 101375959B1 KR 1020130133187 A KR1020130133187 A KR 1020130133187A KR 20130133187 A KR20130133187 A KR 20130133187A KR 101375959 B1 KR101375959 B1 KR 10137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mattress
bed
fram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환
Original Assignee
(주)한성헬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헬스피아 filed Critical (주)한성헬스피아
Priority to KR102013013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means of screw-and-nu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6Mattress under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1Rungs or other treads comprising anti-slip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진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에서 수면을 취할 때 인체의 머리측이 다리측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여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한편, 침대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대가 구비됨으로 인해 신문이나, 책 등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ASLOPE BED HAVING MULTIPURPOSE SUPPORTER}
본 발명은 경사진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에서 수면을 취할 때 인체의 머리측이 다리측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여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한편, 침대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대가 구비됨으로 인해 신문이나, 책 등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람이 누워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서, 인체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침대는 인체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인체의 상체와 하체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는 허리측 부분이 아래측 방향으로 가라앉게 되면서 허리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사를 한 뒤 침대에 누워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게 되면 역류성질환이나, 소화기능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코골이 현상과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106541호 (2006. 10. 1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에서 수면을 취할 때 인체의 머리측이 다리측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여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대에서 신문이나, 책 등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대에 오르는 사다리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의 머리측이 위치되는 전단부와 다리측이 위치되는 후단부를 가지는 매트리스가 구비되는 침대로서, 상기 매트리스가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거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의 양단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등받이대; 상기 등받이대의 전면에 절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거치대를 구비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등받이대는, 전면에 매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각각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매립홈을 이루는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회동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가 상기 매립홈에 인입된 상태에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지지바는, 상기 거치대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거치대는, 양측에 상기 한 쌍의 회동지지바가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매립홈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대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프레임부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복층을 이루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고정되며, 그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지지바 및 상기 복수의 지지바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사다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미끄럼방지수단은, 각각 양단부와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의 각 상부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지지바의 일측을 감싸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 및 양측단부 및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양측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의 양측단부가 인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부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부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단수 또는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부에 상기 매트리스가 안착되면서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매트리스와의 사이로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매트리스 사이에 위치되는 완충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완충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매트리스의 양단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2플레이트를 각각 지지하는 제1,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침대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침대에서 수면을 취할 때 인체의 머리측이 다리측보다 높게 위치됨으로써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인해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식사를 한 뒤 침대에 누워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도 인체가 들린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역류성 질환이나, 소화기능에 발생될 수 있는 이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코골이 현상 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등받이로부터 거치대를 절첩하여 책이나, 신문 등을 거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침대에서 신문이나, 책 등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
넷째, 침대에 오르는 사다리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안전하게 사다리를 오르내릴 수 있.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에서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에서 다수의 돌기가 구비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에서 완충판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및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에서 플레이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에서 방지편을 나타낸를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에서 프레임부 및 안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이하 "경사진 침대"라 한다)(1)는 인체의 머리측이 다리측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매트리스(100)를 경사지게 받쳐주는 침대로서, 상기 매트리스(100)가 거치되는 플레이트부(10) 및 상기 플레이트부(10)를 받쳐주는 프레임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진 침대(1)는 상기 플레이트부(10)의 후방에 위치되는 등받이대(30), 상기 등받이대(30)의 전면에 절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거치대(41)를 포함하는 거치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대(30)는 상기 플레이트부(10)에 고정되거나, 상기 프레임부(20)에 고정되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등받이대(30)는 전면에 매립홈(31)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41)는 양면을 갖는 판 형태를 이룬다. 상기 거치대(41)는 상기 경사진 침대의 사이즈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거치대(41)는 상기 경사진 침대(1)의 사이즈가 싱글침대일 경우 하나 설치되고, 퀸 또는 킹사이즈일 경우 두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대(41)는 상기 매립홈(31)에 인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가 상기 매립홈(31)을 이루는 내측에 힌지결합되거나, 경첩 등의 절첩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는, 상기 거치부(40)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각각 상기 거치대(41)의 양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매립홈(31)을 이루는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회동지지바(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41)는 상기 매립홈(31)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대(30)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회동지지바(42)는 상기 거치대(4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거치대(41)는 양측에 상기 한 쌍의 회동지지바(42)가 인입되는 인입홈(4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한 쌍의 회동지지바(42)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인입홈(41a)으로 인입되어 상기 거치대(41) 및 상기 등받이대(30)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한 쌍의 회동지지바(42)는 상기 거치대(41)를 상기 등받이대(30)에 고정하는 한편, 그 거치대(41)가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대(30)는 상기 매립홈(31)의 상부에 그 매립홈(31)과 연통되는 절첩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첩홈(32)으로는 상기 거치대(41)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공구 등이 인입되며, 상기 거치대(41)를 간편하게 펼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40)는 상기 거치대(41)가 상기 매립홈(31)에 인입된 상태에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잠금수단(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43)은 자력에 의해 상기 매립홈(31)에 인입된 상기 거치대(41)가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매립홈(31)을 이루는 내측면에는 자석 또는 금속 등의 제1잠금부재(44)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41)에는 상기 제1잠금부재(44)와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등의 제2잠금부재(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41)는 상기 매립홈(31)에 세로로 인입된 상태로부터 상부가 상기 플레이트부(10)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로로 펼쳐진다.
상기 거치대(41)는 상기 매립홈(31)에 인입된 상태로부터 가로로 펼쳐질 때, 상기 매립홈(31)을 이루는 하부면 및 상기 한 쌍의 회동지지바(42)에 의해 지지되면서 더 이상의 회전이 차단되는 한편, 그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41)는 상기 매립홈(31)에 인입된 뒤 상기 잠금수단(43)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경사진 침대(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경사진 침대(1)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시에 상기 거치대(41)를 상기 등받이대(30)로부터 펼쳐 책 등을 거치한 상태에서 독서를 즐길 수 있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화장품이나,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다양한 장식품 등을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 후에는 상기 거치대(41)를 상기 매립홈(31)으로 인입시켜 상기 등받이대(30)에 기댈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침대(1)는 상기 경사진 침대(1)는 목재는 물론, 철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경사진 침대(1)는 단층 및 한 쌍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2층 침대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경사진 침대(1)는 상기 플레이트부(10) 및 상기 프레임부(20)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20)를 연결하는 지지프레임(50) 및 상기 지지프레임(50)에 고정되는 사다리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일반적인 형태의 2층 침대를 이루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부(60)는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61),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대(61)에 고정되며 그 지지대(6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지지바(62) 및 상기 복수의 지지바(62)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미끄럼방지수단(63)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미끄럼방지수단(63)은 각각 상기 지지바(62)의 상부에 안착되는 고정프레임(64), 상기 고정프레임(64)의 상부에 결합되는 미끄럼방지부재(6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64)은 양측단부 및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지지바(6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62)의 상부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66) 및 상기 수평프레임(66)의 일측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지지바(62)의 일측을 감싸는 수직프레임(67)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프레임(66)은 양측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65)의 양측단부가 인입되는 가이드홈(66a)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66)은 상부 표면에 상기 미끄럼방지부재(65)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돌기(66b)가 그 수평프레임(66)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수 또는 복수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65)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양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6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단부가 상기 가이드홈(66a)의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65)는 상부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65a)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돌기(6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65b)는 서로 인접하는 지지돌기(65b) 간의 사이로 빈공간(65c)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바(62)를 밟는 사용자의 발에 전달되는 충격 등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66a)으로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인체의 머리측이 위치되는 후단부로부터 인체의 다리측이 위치되는 전단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플레이트(11a,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침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00)에 누워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의 머리측이 다리측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여 편안한 수면을 유도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부(10)는 상부면이 인체의 머리측이 위치되는 후단부로부터 다리측이 위치되는 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룬다.
상기 경사진 침대(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부에 상기 매트리스(100)가 안착되면서 상기 플레이트부(10)와 상기 매트리스(100)와의 사이로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12)는 상기 플레이트부(10)의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매트리스(100)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매트리스(1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12)는 상기 플레이트부(10)와 상기 매트리스(100)와의 사이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유도한다.
상기 다수의 돌기(12)는 각각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상기 매트리스(10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12)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부(10)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레이트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다수의 결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기(12)는 각각 하부에 상기 다수의 결합홈(13)에 결합되는 결합바(14)가 형성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사진 침대(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0)와 상기 매트리스(100) 사이에 위치되는 완충판(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기(12)는 상기 완충판(7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12)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0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완충판(70)은 상호 인접하는 돌기(12) 간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통풍로(71)가 형성되면서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완충판(7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단수로 이루어져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상부에 안착되거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2플레이트(11a,11b)의 상부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경사진 침대(1)는 공기가 상기 플레이트부(10)와 상기 매트리스(100)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해 자유롭게 흐를 수 있음으로써 상기 매트리스(100)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습기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상기 매트리스(100)를 통해 그 매트리스(100)에 누워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음으로써 피부 등에 발생될 수 있는 질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상부에 상기 매트리스(100)를 안착시킬 때, 일정크기를 갖는 상기 매트리스(100)의 가장자리 등을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상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밀어 그 매트리스(100)의 이동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음으로써 설치는 물론, 적절한 위치조정이 용이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결합홈(13)으로는 각각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의 결합부재(15)가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돌기(12)는 각각 상기 결합부재(15)에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바(14)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12)는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15)에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회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10)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면서 상기 매트리스(100)의 경사 정도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진 침대(1)는 상기 플레이트부(10)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다수의 돌기(12)의 돌출 정도를 서로 동일하게 하면, 상기 플레이트부(10)가 가지는 경사에 의해 상기 매트리스(100)가 그 플레이트부(10)의 후단부로부터 전단부 방향으로 상항 경사를 이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다수의 돌기(12)를 그 플레이트부(10)의 후단부로부터 전단부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순차적으로 늘리면 상기 매트리스(100)가 수평에 가까워진다.
이로 인해, 상기 경사진 침대(1)는 상기 플레이트부(10)에 안착되는 상기 매트리스(100)의 경사 정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침대(1)는 상기 매트리스(100)가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상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방지편(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편(8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전단부 상측에 매립된 상태로부터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펼쳐지면서 상기 매트리스(100)가 전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0)는 전단부 상측에 삽입홈(16)이 형성되며, 그 삽입홈(16)과 연통되는 손가락삽입공(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지편(80)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전단부가 상기 삽입홈(16)을 이루는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그 회동에 따라 상기 삽입홈(16)으로 인입되어 접히거나, 그 삽입홈(16)으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진다.
즉, 상기 방지편(80)은 전단부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전단부 방향으로 회동되어 펼쳐져 상기 매트리스(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후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부(10)의 후단부 방향으로 회동되어 접히면서 상기 삽입홈(16)으로 인입된다.
상기 방지편(80)이 상기 삽입홈(16)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삽입공(17)으로 손을 넣어 그 방지편(80)을 회동시키면 다시 상기 플레이트부(10)로부터 상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방지편(80)은 전단부가 상기 삽입홈(16)을 이루는 내측에 힌지결합되거나, 경첩 등의 절첩부재(8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방지편(80)은 상기 삽입홈(16)으로부터 펼쳐질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삽입홈(16)을 이루는 전면과 접하면서 회동이 제한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10)에 안착되는 상기 매트리스(100)와 접하면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경사진 침대(1)는 분해된 상태에서 상기 방지편(80)이 상기 플레이트부(10)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므로 인해 포장 및 운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진 침대(1)는 상기 방지편(80)이 상기 플레이트부(10)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매트리스(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경사진 침대(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방지편(80)을 상기 플레이트부(10)에 매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해 그 방지편(80)에 유아나, 어린이 등이 부주의에 의해 부딪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0)는 상기 제1,2프레임(21a,21b)을 포함하며, 그 제1,2프레임(21a,21b)은 상기 제1,2플레이트(11a,11b)를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공중에 떠받쳐 지지한다.
일반적으로 프레임부는 2m 이상의 길이를 가지므로 인해 포장 및 운반이 어려운 것은 물론, 그 운반을 위해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한다.
상기 경사진 침대(1)는 일정길이를 갖는 상기 프레임부(20)가 상기 제1,2프레임(21a,21b)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포장 및 운반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1,2프레임(21a,21b)은 각각 상부가 개구되는 사각틀 형태를 이루며, 상호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2플레이트(11a,11b)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1,2플레이트(11a,11b)는 각각 전단부 또는 후단부가 상기 제1,2프레임(21a,21b)의 전면 또는 후면과 동일 수직면 상에 위치되도록 안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2플레이트(11a,11b)는 둘레 전체가 상기 제1,2프레임(21a,21b)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2프레임(21a,21b)은 대향되는 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플레이트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포장과 운반 및 설치, 분해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프레임(21a,21b)은 상호 대향되는 면에 각각 벨트로나, 자석 등의 결속부재(미도시)가 구비되면서 상호 이격됨이 없이 접한 상태가 유지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경사진 침대(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플레이트(11a,11b)가 상기 제1,2프레임(21a,21b)의 일정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착수단(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수단(90)은 일반적인 형태의 벨크로(9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2플레이트(11a,11b)는 상기 벨크로(91)에 의해 상기 제1,2프레임부(21a,21b)의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경사진 침대(1)의 조립이나, 설치시 상기 플레이트부(10)가 상기 프레임부(20)에 불안정하게 거치되면서 그 플레이트부(10)에 거치되는 상기 매트리스(100)의 올바른 거치 상태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기 매트리스(100)가 불안정된 상태의 상기 플레이트부(10)에 거치되면서 안전사고 등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벨크로(91)는 상기 제1,2프레임(21a,21b)의 상부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1,2플레이트(11a,11b)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크로(91)는 암,수에 의해 결합되는 일반적인 형태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프레임(21a,21b) 및 상기 제1,2플레이트(11a,11b)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암,수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2플레이트(11a,11b)는 상기 안착수단(90)에 의해 상기 제1,2프레임(21a,21b)의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침대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진 침대 10 : 플레이트부
11a : 제1플레이트 11b : 제2플레이트
16 : 삽입홈 20 : 프레임부
21a : 제1프레임 21b : 제2프레임
30 : 등받이대 31 : 매립홈
40 : 거치부 41 : 거치대
42 : 회동지지바 43 : 잠금수단
50 : 지지프레임 60 : 사다리부
61 : 지지대 62 : 지지바
63 : 미끄럼방지수단 64 : 고정프레임
65 : 미끄럼방지부재 66 : 수평프레임
67 : 수직프레임 70 : 완충판
80 : 방지편 90 : 안착수단
100 : 매트리스

Claims (8)

  1. 인체의 머리측이 위치되는 전단부와 다리측이 위치되는 후단부를 가지는 매트리스가 구비되는 침대로서,
    상기 매트리스가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거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의 양단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등받이대;
    상기 등받이대의 전면에 절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거치대를 구비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프레임부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복층을 이루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고정되며, 그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지지바 및 상기 복수의 지지바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사다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미끄럼방지수단은,
    각각 양단부와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의 각 상부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지지바의 일측을 감싸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 및
    양측단부 및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양측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의 양측단부가 인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대는,
    전면에 매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각각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매립홈을 이루는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회동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가 상기 매립홈에 인입된 상태에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지지바는,
    상기 거치대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거치대는,
    양측에 상기 한 쌍의 회동지지바가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매립홈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대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부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부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단수 또는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6. 인체의 머리측이 위치되는 전단부와 다리측이 위치되는 후단부를 가지는 매트리스가 구비되는 침대로서,
    상기 매트리스가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거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의 양단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등받이대;
    상기 등받이대의 전면에 절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거치대를 구비하는 거치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부에 상기 매트리스가 안착되면서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매트리스와의 사이로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 및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매트리스 사이에 위치되며, 상부에 상기 다수의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완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7. 삭제
  8. 제 1, 2, 3, 5,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매트리스의 양단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2플레이트를 각각 지지하는 제1,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KR1020130133187A 2013-11-04 2013-11-04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KR10137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187A KR101375959B1 (ko) 2013-11-04 2013-11-04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187A KR101375959B1 (ko) 2013-11-04 2013-11-04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959B1 true KR101375959B1 (ko) 2014-03-19

Family

ID=5064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187A KR101375959B1 (ko) 2013-11-04 2013-11-04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9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191A (ja) 2001-02-26 2002-09-06 Annaka Seisakusho:Kk 梯子用滑止具
KR200382252Y1 (ko) * 2005-01-24 2005-04-20 김영중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받침구가 형성된 침대
KR200433808Y1 (ko) * 2006-07-11 2006-12-20 이기수 경사진 침대
KR20120063363A (ko) * 2010-12-07 2012-06-15 황병순 침대 프레임의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191A (ja) 2001-02-26 2002-09-06 Annaka Seisakusho:Kk 梯子用滑止具
KR200382252Y1 (ko) * 2005-01-24 2005-04-20 김영중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받침구가 형성된 침대
KR200433808Y1 (ko) * 2006-07-11 2006-12-20 이기수 경사진 침대
KR20120063363A (ko) * 2010-12-07 2012-06-15 황병순 침대 프레임의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7519B2 (en) Portable sleeping assembly
US10376073B2 (en) Rolling foldout cabinet bed
US10051969B2 (en) Bed sheet with an integrated body positioner
US10448746B2 (en) Bed sheet with an integrated body positioner
US11219318B2 (en) Comfort apparatus for a mother and an infant
CA2511289A1 (en) Inflatable support apparatus
US10166902B2 (en) Travel support device
US6952847B1 (en) Adjustable bed rails including an attachable headboard
WO2015001682A1 (ja) 添い寝用クッション
US9901180B2 (en) Convertible chair
US20110296612A1 (en) Bed sheet for secure placement of a child
US20050050633A1 (en) Full-size steel bunk bed frame
KR101375959B1 (ko) 다용도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진 침대
KR20140001166U (ko) 침대 겸용 소파
KR200422117Y1 (ko) 접이식 마사지 테이블
KR20190110829A (ko) 임산부용 쿠션
KR101375949B1 (ko) 경사진 침대
US20130191999A1 (en) Infant support system
JP4892301B2 (ja) チェア−キット
US20180132618A1 (en) Convertible Chair
US20170290443A1 (en) Infant bed and chair
KR20140070039A (ko) 다용도 목욕의자
US20150182028A1 (en) Portable support apparatus for infants and toddlers
KR200321007Y1 (ko) 다기능 쿠션
GB2442533A (en) Supportive insert for a push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