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011Y1 - 다목적 침대 - Google Patents

다목적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011Y1
KR200306011Y1 KR20-2002-0035152U KR20020035152U KR200306011Y1 KR 200306011 Y1 KR200306011 Y1 KR 200306011Y1 KR 20020035152 U KR20020035152 U KR 20020035152U KR 200306011 Y1 KR200306011 Y1 KR 200306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mat
stone
present
char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성
Original Assignee
강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성 filed Critical 강영성
Priority to KR20-2002-0035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0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다목적 침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는, 외곽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유체가 충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 내에 내장되는 매트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부 내에 내장된 상기 매트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매트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매트는 석질로 제작된 매트로 하거나 섬유와 스프링으로 조합된 매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침대를 통해 완충작용이 있는 매트리스침대, 돌 침대 및 물침대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침대를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침대{Multi purpose Bed}
본 고안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침대,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가진 매트리스침대 또는 돌침대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취침과 휴식을 취하기 위한 가구인 침대는 침실문화가 온돌에서 침대로 변화함에 따라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목적, 장소 및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과 구조로 매우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침대는 일상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가구로서 안락한 수면과 휴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조건을 갖출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피로회복을 위한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을 것, 보온성이 있을 것, 유연한 촉감을 가지는 동시에 구조나 재료의 내구성이 있을 것,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는 적당한 쿠션이 있을 것, 인체의 중심선이 안정된 형태로 놓일 수 있을 것 등이 요구되고 있다.
수면건강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침대에도 여러 가지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이런 침대의 대표적인 것의 하나가 섬유 재질의 제작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섬유층과 스프링에 의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매트리스 침대가 있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침대는 일정한 틀의 상면에 놓여져 스프링이 내장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침대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침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인체에 가장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기위해 기능이 개선된 다양한 침대가 선보이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침대의 개발과 함께 근간에 부각되는 것이 인체에 유익한 옥 등을 사용한 돌 침대가 있으며, 다른 한가지로 내부에 물을 충전하여 인체의 부분별 굴곡과 압력을 물의 유동으로 흡수하도록 개발된 물침대가 있다.
먼저, 돌 침대는 석질의 재질로 하여 판상의 형태로 제작하고, 내부에 전열선 등이 내장되어 온열을 공급하는 형태로 기존의 황토 바닥과 같은 바닥문화와 인체에 유익한 옥의 효과를 가미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서서히 보급되고 있는 물침대가 있는데, 물침대는 여러 효과가 있으나, 장기간 누워있어야 하는 환자들이 물로부터 체중을 느끼지 않는 상태로 도달 시켜 고통을 경감시키는 의학상의 치료효과가 있으며, 최대의 장점 중의 하나가 척추교정 효과이다.
이렇듯, 완충작용을 하는 종래의 매트리스침대, 돌침대 및 물침대는 각기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침대를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입하는데는 적지 않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침대를 통해 완충작용이 있는 매트리스침대, 돌 침대 및 물침대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침대의 단면 제 1 상태도 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침대의 단면 제 2 상태도 이며,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침대의 물침대로써의 사용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침대의 돌침대로써의 사용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침대의 일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충전부 30 ; 매트
40 ; 승하강장치 50 ; 자바라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목적 침대는, 침대에있어서, 상기 침대는, 외곽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유체가 충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 내에 내장되는 매트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부 내에 내장된 상기 매트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매트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매트는 석질로 제작된 매트로 하거나 섬유와 스프링으로 조합된 매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침대를 통해 완충작용이 있는 매트리스침대, 돌 침대 및 물침대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침대를 얻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침대(100)는 외곽을 이루는 본체(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10) 내측에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충전부(20)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0)에 구비되어 유체가 수용되는 충전부(20)의 내부에는 매트(30)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본체(10)에 구비된 충전부(20)의 저부측에는 충전부(20) 내에 내장된 매트(30)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4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유체가 수용되는 충전부(20)는 유체가 수용되는 형태, 예를 들어 합성수지나 고무 등으로 제작된 종래와 같은 형태의 것으로 제작되며, 이의 상부에는 유체를 충전 또는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유입구(2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충전부(20)의 내부에는 충전부(20)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온열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부(20)의 내부에는 충전부(20) 내에서 상하로 승하강되는 옥 등의 재질로 제작된 돌 매트(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매트(30)는 충전부(20)의 저부에 구비된 승하강장치(40),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 실린더(4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유압 실린더(4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충전부(20)에 수용된 유체, 즉 물에 의한 물침대로써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도 3과 같이 유압 실린더(40)가 작동하여 상승하게 되면, 돌 매트(30)를 지지하고 있던 유압실린더(40)가 작동하여 상승하게 되어 충전부(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는 충전부(20)의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고 돌 매트(30)가 충전부(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물침대가 아닌 돌침대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듯, 본 고안의 다목적 침대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침대 또는 돌침대로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다목적 침대(100)의 작동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충전부(20) 내에 구비된 매트(30)를 승하강 시키는 유압실린더(40)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와 같이 물침대로 사용할 경우, 실린더(40)의 실린더 로드(42)는 수축된 상태이고, 매트(30)는 충전부(20)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실린더 로드(42)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충전부(20)의 부분에는 자바라(50) 식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물침대로써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린더 로드(42)가 수축됨에 따라 충전부(20)의 자바라(50) 부분은 접혀져서 줄어든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돌침대로써 사용할 경우에는 실린더(40)가 작동하여 실린더 로드(42)가 상승하게 되고, 접혀져 있던 자바라(50) 부분은 펼쳐지며 돌 매트(30)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실린더(40)가 작동하여 돌 매트(30)가 상승하게 되면, 이때, 충전부(20) 내부의 유체는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침대(100)의 일실시예로, 매트(130)를 달리한 것으로, 돌 매트가 아닌 복수개의 섬유층과 스프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매트(130)를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승하강 하는 매트(130)가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매트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물침대와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60, 70, 80은 승하강 장치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버튼, 온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온열장치를 작동시키는 온열부작동버튼, 그리고, 작동된 온열부작동에 의해 온도 조절을 하기 위한 온도조절기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침대(100)는, 하나의 침대를 사용하여, 물침대와 돌침대 또는 완충작용의 침대와 물침대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돌매트 또는 완충매트를 승하강시킨다는 기술적 사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승하강장치를 변경하거나 언급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로 돌매트 또는 완충매트가 승하강되도록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침대와 돌침대로의 선택적 사용, 또는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침대와 물침대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침대는, 하나의 침대를 통해 완충작용이 있는 매트리스침대, 돌 침대 및 물침대로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침대를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100)는, 외곽을 이루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유체가 충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충전부(20)와;
    상기 충전부(20) 내에 내장되는 매트(3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부(20) 내에 내장된 상기 매트(30)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40)는, 상기 매트(3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40)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30)는 석질로 제작된 돌 매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대.
KR20-2002-0035152U 2002-11-25 2002-11-25 다목적 침대 KR200306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52U KR200306011Y1 (ko) 2002-11-25 2002-11-25 다목적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52U KR200306011Y1 (ko) 2002-11-25 2002-11-25 다목적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011Y1 true KR200306011Y1 (ko) 2003-03-03

Family

ID=4933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152U KR200306011Y1 (ko) 2002-11-25 2002-11-25 다목적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0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307B1 (ko) 2014-03-21 2015-11-12 이여한 가구용 독립형 완충장치
KR20170000137U (ko) 2015-07-01 2017-01-11 강진규 돌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307B1 (ko) 2014-03-21 2015-11-12 이여한 가구용 독립형 완충장치
KR20170000137U (ko) 2015-07-01 2017-01-11 강진규 돌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7546A (en) Fluid mattress
CA2896356C (en) Mattress arrangement, such as a bed, having zones with adjustable height/firmness
US5070559A (en) Adjustable spinal support
US20140082843A1 (en) Sleeping System with Interchangeable Panels
JP2008528123A (ja) マニホルド・システムを有する膨張可能なクッション・デバイス
US5367727A (en) Flotation bed with enhanced postural support
CN205913485U (zh) 一种充气床垫
KR200306011Y1 (ko) 다목적 침대
CN102028364B (zh) 一种智能调整型水气床垫
CN209862998U (zh)
KR20180000175A (ko) 욕창 방지용 방석
CN103549831B (zh) 保健枕头
KR102154118B1 (ko)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KR200397421Y1 (ko) 접이식 온열 이동침대
KR101061211B1 (ko) 공기공급기능을 갖는 침대
CN207979912U (zh) 一种m型半卧位防滑垫
KR101775643B1 (ko) 매트리스 조립체
WO2020200195A1 (zh)
CN204274862U (zh) 多功能充气式防压疮体位护理垫
CN219289091U (zh) 一种立体软支撑床垫
CN205018629U (zh) 多功能睡床
CN215456787U (zh) 一种智能双温控水床
CN209662043U (zh) 一种瘫痪病人专用的可充气防褥疮床垫
CN213371032U (zh) 一种防下滑床垫
KR200279100Y1 (ko) 다목적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