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592Y1 - 휴대용 커피메이커 - Google Patents

휴대용 커피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592Y1
KR200278592Y1 KR2020020006326U KR20020006326U KR200278592Y1 KR 200278592 Y1 KR200278592 Y1 KR 200278592Y1 KR 2020020006326 U KR2020020006326 U KR 2020020006326U KR 20020006326 U KR20020006326 U KR 20020006326U KR 200278592 Y1 KR200278592 Y1 KR 200278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upper cup
coffee
lower cup
coffe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탁
Original Assignee
엄기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탁 filed Critical 엄기탁
Priority to KR2020020006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592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분말을 넣은 상부컵에 물을 부어 하부컵으로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커피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휴대용 커피메이커는 일정량의 커피분말을 넣은 상부컵에 물을 붓게 되는 때로부터 곧바로 커피액이 하부컵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커피분말의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게 되어 커피분말의 낭비가 심하게 될 뿐 아니라 커피액 농도의 조절이 힘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상부컵을 하부컵에 올려놓은 채로 상부컵에 물을 붓는 과정이나 상부컵과 하부컵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상부컵이 낙하할 우려가 많게 되는 등 그 운반과 보관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상부컵(11)의 하단부에 링형의 요입공간부(15)를 형성하고, 요입공간부(15)에 밀폐링(16)을 삽입 설치하는 한편, 요입공간부(15)의 내주 하단부에 다수의 "??"자형 삽입결합홈(17)을 형성하고, 하부컵(14)의 외주 상단부에 상기 삽입결합홈(17)과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8)를 형성하여 하부컵(14)의 각 걸림돌기(18)를 상부컵(11)의 삽입결합홈(17)에 결합한 때에 하부컵(14)과 상부컵(11)의 결합부위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하부컵(14)으로 추출되는 커피액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취급과정에서 상부컵(11)의 낙하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휴대용 커피메이커(10)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커피메이커 { a portable coffee maker }
본 고안은 커피분말을 넣은 상부컵에 물을 부어 하부컵으로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커피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상부컵으로부터 하부컵으로 추출되는 커피액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내하부에 걸름망이 설치되고 하단에 작은 크기의 추출구멍이 형성된 상부컵과 그로부터 추출되는 커피액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하부캡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커피메이커에 관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휴대용 커피메이커는 커피분말을 넣은 상부컵의 하부에 하부컵을 위치시킨 후 상부컵에 물을 붓게 되면 커피분말이 녹으면서 물과 혼합되어 추출구멍을 통해 커피액이 서서히 하부컵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커피메이커는 일정량의 커피분말을 넣은 상부컵에 물을 붓게 되는 때로부터 곧바로 커피액이 하부컵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커피분말의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게 되어 커피분말의 낭비가 심하게 될 뿐 아니라 커피액 농도의 조절이 힘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휴대용 커피메이커를 통해 추출 커피액의 농도를 짙게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커피분말을 투입량을 많게 하여야 하지만 그와 같은 경우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커피분말이 많게 되어 커피분말의 낭비가 심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커피메이커는 하부컵에 상부컵을 단순히 올려놓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부컵을 하부컵에 올려놓은 채로 상부컵에 물을 붓는 과정이나 상부컵과 하부컵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상부컵이 낙하할 우려가 많게 되는 등 그 운반과 보관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커피메이커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것이며, 그 목적이 상부컵에 투입한 커피분말을 용해정도를 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하부컵으로 추출되는 커피액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커피메이커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며, 그 다른 목적이 취급과정에서 하부컵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부컵의 낙하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커피메이커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분해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휴대용 커피메이커 11 : 상부컵
12 : 걸름망 13 : 추출구멍
14 : 하부컵 15 : 요입공간부
16 : 밀폐링 17 : 삽입결합홈
18 : 결합돌기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컵과 하부컵을 결합부위를 진공상태로 하여 상부컵에 채워넣은 물의 낙하를 원하는 시간만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내하부에 걸름망(12)이 설치되고 하단에 작은 크기의 추출구멍(13)이 형성된 상부컵(11)과 그로부터 추출되는 커피액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하부캡(14)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커피메이커(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컵(11)의 하단부에 링형의 요입공간부(15)를 형성하고, 요입공간부(15)에 밀폐링(16)을 삽입 설치하는 한편, 요입공간부(15)의 내주 하단부에 다수의 "??"자형 삽입결합홈(17)을 형성하고, 하부컵(14)의 외주 상단부에 상기 삽입결합홈(17)과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8)를 형성하여 하부컵(14)의 각 걸림돌기(18)를 상부컵(11)의 삽입결합홈(17)에 결합한 때에 하부컵(14)과 상부컵(11)의 결합부위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여서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부컵(11)의 삽입결합홈(17)의 형태 및 하부컵(14)에 마련되는 결합돌기(18)의 형태는 예측 가능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상부컵(11)과 하부컵(14)의 결합 형태도 나사결합형 등의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부컵(11)을 밀폐하는 상부컵 덮개(19)와 상부컵(11)의 사이에 밀폐링을 설치하여 상부컵(11)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는 형태 등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C는 커피분말, W는 물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하부컵(14)의 각 결합돌기(18)에 상부컵(11)의 각 삽입결합홈(17)을 삽입한 후 상부컵(11)을 회전시켜 하부컵(14)의 상부에 상부컵(11)을 결합하게 되면 하부컵(14)의 선단부가 밀폐링(16)의 하단을 가압하게 되어 하부컵(14)과 상부컵(11)의 결합부위가 진공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부컵(11) 내부에 일정량의 커피분말(C)을 투입하고 물(W)을 붓게 되더라도 추출구멍(13)을 통해 커피액이 유출되지 않게 되며, 상부컵(14)을 타측으로 회전시켜 밀폐링(16)의 가압상태와 상부컵(11) 결합부위의 진공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비로소 추출구멍(13)을 통해 커피액이 하부컵(14)으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물(W)이 상부컵(14)에 체류하는 시간을 가감하는 것에 의해 하부컵(14)으로 낙하되는 커피액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하부컵(14)에 상부컵(11)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되므로 상부컵에 커피분말(C)을 투입하거나 물(W)을 붓는 과정, 상부컵(11)과 하부컵(14)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상부컵(11)이 낙하할 우려가없게 되는 등 그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컵(11)과 하부컵(14)의 결합부위를 진공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컵(11)에 부어넣은 물(W)의 체류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하부컵(14)으로 추출되는 커피액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취급과정에서 상부컵(11)의 낙하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휴대용 커피메이커(10)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내하부에 걸름망(12)이 설치되고 하단에 작은 크기의 추출구멍(13)이 형성된 상부컵(11)과 그로부터 추출되는 커피액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하부캡(14)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부컵(11)의 하단부에 링형의 요입공간부(15)를 형성하고, 요입공간부(15)에 밀폐링(16)을 삽입 설치하는 한편, 요입공간부(15)의 내주 하단부에 다수의 "??"자형 삽입결합홈(17)을 형성하고, 하부컵(14)의 외주 상단부에 상기 삽입결합홈(17)과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8)를 형성하여 하부컵(14)의 각 걸림돌기(18)를 상부컵(11)의 삽입결합홈(17)에 결합한 때에 하부컵(14)과 상부컵(11)의 결합부위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메이커.
KR2020020006326U 2002-03-05 2002-03-05 휴대용 커피메이커 KR200278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326U KR200278592Y1 (ko) 2002-03-05 2002-03-05 휴대용 커피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326U KR200278592Y1 (ko) 2002-03-05 2002-03-05 휴대용 커피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592Y1 true KR200278592Y1 (ko) 2002-06-20

Family

ID=7311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326U KR200278592Y1 (ko) 2002-03-05 2002-03-05 휴대용 커피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59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510B1 (ko) 2005-01-20 2006-11-27 송유진 다용도 추출 포트
KR101453921B1 (ko) * 2013-05-31 2014-10-23 주식회사 상리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KR101575684B1 (ko) 2014-05-30 2015-12-08 송지윤 휴대용 커피 제조기
KR101606524B1 (ko) 2014-09-19 2016-04-01 최윤순 콜드브류 커피 또는 차 추출장치
CN109619977A (zh) * 2018-12-25 2019-04-16 杭州啊啦屋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调制饮料的便携式定量滴滤萃取装置及方法
KR20200095649A (ko)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출수부 살균이 가능한 살균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510B1 (ko) 2005-01-20 2006-11-27 송유진 다용도 추출 포트
KR101453921B1 (ko) * 2013-05-31 2014-10-23 주식회사 상리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KR101575684B1 (ko) 2014-05-30 2015-12-08 송지윤 휴대용 커피 제조기
KR101606524B1 (ko) 2014-09-19 2016-04-01 최윤순 콜드브류 커피 또는 차 추출장치
CN109619977A (zh) * 2018-12-25 2019-04-16 杭州啊啦屋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调制饮料的便携式定量滴滤萃取装置及方法
CN109619977B (zh) * 2018-12-25 2023-12-01 杭州啊啦屋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调制饮料的便携式定量滴滤萃取装置及方法
KR20200095649A (ko)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출수부 살균이 가능한 살균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2195018B1 (ko) * 2019-02-01 2020-12-2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출수부 살균이 가능한 살균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112B2 (en) Easily portable wine glass
US8387786B2 (en) Packaging for extemporaneous products, particularly medicinal, pharmaceutical, cosmetic products and the like
AU2005297839B2 (en) Bottle cap
KR200278592Y1 (ko) 휴대용 커피메이커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JP2013508226A (ja) 瓶の栓組立体
JP3145992U (ja) 携帯型茶漉しカップ
JP2007145352A (ja) キャップ
JP6912345B2 (ja) ミル容器及びミル容器用粉砕具
JP2010173730A (ja) 注出栓
KR101648038B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JP7311409B2 (ja) 混合キャップ、及び混合容器
KR20100019600A (ko)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
JP2006232322A (ja) 二剤混合容器
KR20130005318U (ko) 차를 우려내는 컵
KR102446888B1 (ko) 음료 캡슐
JP2004155430A (ja) 二重蓋付き容器及び二重蓋
CN104739156A (zh) 咖啡杯
KR20180106371A (ko) 커피원액 캡슐
FI87757C (fi) Transportbehaollare
AU4240602A (en) A drinking vessel used to assist swallowing tablets
CN104309918A (zh) 一种用于保健酒容器倾倒保健酒的过滤结构
KR200358794Y1 (ko) 깔때기
US20010019057A1 (en) Water pail equipped with air passageway
JP2019063382A (ja) 服薬補助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