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369Y1 -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 Google Patents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369Y1
KR200278369Y1 KR2020020005070U KR20020005070U KR200278369Y1 KR 200278369 Y1 KR200278369 Y1 KR 200278369Y1 KR 2020020005070 U KR2020020005070 U KR 2020020005070U KR 20020005070 U KR20020005070 U KR 20020005070U KR 200278369 Y1 KR200278369 Y1 KR 200278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handle
le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한
윤시현
Original Assignee
박규한
윤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한, 윤시현 filed Critical 박규한
Priority to KR2020020005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369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20V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콘센트에 결합된 플러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러그 몸체 외곽에 끼우게 고안된 지렛대의 원리의 작동부재를 마련하여 콘센트와 결합된 플러그를 분리 시에 용이하게 한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10)는 플러그 몸체 고정지지대(11)와 고정나사(14)로 고정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지렛대 발(12)과 이와 연결된 미끄럼 방지턱(16)이 있는 집게 손잡이(15)가 마련된다. 이 집게 손잡이(15)와 플러그 손잡이(24)를 사용자가 엄지와 인지로 동시에 집으면 고정나사(14)를 중심축으로 하여 지렛대 발(12)이 아래로 회전하면서 콘센트 상부면(33)을 밀게 되고 플러그 접지부 삽입 고정핀(13)은 플러그의 접지부 결합 홈(23)의 홈 상단(232) 끝부분까지 끼워져 있으므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어 220V 플러그(20)를 위로 밀어주게 되므로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분리하기가 용이해 진다.

Description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equipment a separating 220 Voltage plug from a wall outlet.}
본 고안은 220V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 시 상하로 심하게 전선 또는 플러그 손잡이를 당기지 않고서도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220V 콘센트는 벽면 콘센트, 바닥 매립형 콘센트, 연장 콘센트, 2구 콘센트, 3구 콘센트, 멀티 콘센트 등의 다양한 형태로 옥내 배선용 기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220V 플러그는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콘센트에 삽입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용도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 시, 플러그의 돌출된 두개의 접속 봉이 콘센트에 있는 접속 홈 속으로 삽입되면서 일부가 절개되고 탄성력을 가진 파이프형상의 접속체로 쉽게 삽입되지만 반대로 빼낼 때는 접속체의 압착 탄성력에 의해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러그의 손잡이를 잡고서는 빼내기가 쉽지 않아 잡기가 쉬운 전선을 잡고 플러그를 분리하는 경우가 많아 종전에는 플러그의 손잡이에 원형 손가락 걸이를 함께 성형 사출하여 사용되었던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분리할 때 순간적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반복 사용 시 플러그 내의 전선이 늘어나거나 파손되어 단선 또는 누전의 문제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분리 시 상하로 심하게 전선 또는 플러그 손잡이를 잡아당기지 않고서 손가락의 힘만으로 집게를 좌우로 눌러 잡기만 하면 힘들지 않게 플러그가 분리 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치를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결합하는 상태를 표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치를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결합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장치의 측면도 및 고정나사 결합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치의 동작도
도 6은 본 고안의 장치의 집게 손잡이를 양쪽으로 부착한 일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장치에 원상복구용 스프링이 설치된 일 예시 분리 사시도
도 8은 플러그 결합 홈이 얕은 콘센트용 보조 고정지지대를 부착한 예시도
도 9는 전선이 일자형으로 결합된 플러그에 본 고안의 장치를 부착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11.플러그 몸체 고정지지대 12.지렛대 발
13.플러그 접지부 삽입 고정핀 131.고정핀 하단 132.고정핀 상단
14.고정나사 141.와셔a 142.와셔b 15.집게 손잡이 16.미끄럼 방지 턱
20.220V 플러그 21.플러그 22.플러그 몸체 23 접지부 결합 홈 231.홈 하단
232.홈 상단 24.플러그 손잡이 25.전선
30.220V콘센트 31.플러그 몸체 결합 홈 32.플러그 접속 홈 33.콘센트 상부면
40.보조 고정지지대 41.플러그 접지부 삽입 고정핀 411.고정핀 하단 412.고정핀 상단
50.원상 복구용 스프링
본 고안의 장치는 고정나사(14)를 와셔b(142)와 집게 손잡이(15)를 갖는 지렛대 발(12), 와셔a(141)에 순서대로 삽입하고 그 끝을 접지부 삽입 고정핀(13)을 갖는 플러그 몸체 고정지지대(11)에 결속시켜 미끄럼 방지 턱(16)이 있는 집게 손잡이(15)의 좌우운동에 따라 지렛대 발(12)이 고정나사(14)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장치를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결합하는 상태를 표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우선 220V 플러그(20)를 본 장치의 플러그 몸체 고정지지대(11)의 원형 구멍 속으로 완전히 끼워 넣은 후 고정이 되면 콘센트와 결합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10)의 플러그 접지부 삽입 고정핀(13)의 고정핀 상단(132) 양쪽을 220V 플러그(20)의 접지부 결합 홈(23) 양쪽 홈 하단(231)에 각각 맞추고 위로 밀어 접지부 삽입 고정핀(13)의 고정핀 상단(132)이 접지부 결합 홈(23)의 양쪽 홈 상단(232)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 끼워 넣어 고정되게 하여, 이러한 분리수단과 한몸이 된 플러그를 220V 콘센트(30)의 플러그 몸체 결합홈(31)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 도3, 도4는 각각 본 고안의 장치를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결합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로서 220V 플러그(20)에 본 장치를 완전히 끼워 넣어 고정이 된 상태에서 콘센트와 결합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4에서와 같이 접지부 삽입고정핀(13) 양쪽이 접지부 결합 홈(23)양쪽 홈 상단(232) 속에 삽입되어 밀착이 되도록 하여 본 장치와 220V 플러그(20)가 고정되게 한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장치의 측면도 및 고정나사 결합 상세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a - a' 단면도에서와 같이 고정나사(14)는 플러그몸체 고정지지대(11)에 고정되어 있고 와셔a(141)와 와셔b(142) 사이에 지렛대 발(12)이 위치하며 이 지렛대 발(12)은 고정나사(14)를 중심 축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단 220V 플러그(20)와 한몸이 된 상태로 220V콘센트(30)의 플러그 몸체 결합홈(31)에 완전히 결합하게 되면 지렛대 발(12)과 플러그 몸체 고정지지대(11)의 바닥 면이 콘센트 상부면(33)과 밀착되면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도5는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시킬 때를 나타낸 동작도로서 사용자가 집게손잡이(15)와 플러그 손잡이(24)를 엄지와 인지로 동시에 좌우로 잡으면고정나사(14)를 중심축으로 하여 지렛대 발(12)이 아래로 회전하면서 콘센트 상부면(33)을 밀게 되고 플러그 접지부 삽입 고정핀(13)은 플러그의 접지부 결합홈(23)의 홈 상단(232) 끝부분까지 끼워져 있으므로 반대방향으로 힘이 전달되어 220V 플러그(20)를 위로 밀어주면서 플러그(21)가 플러그 접속 홈(32)으로 부터 약 5-7mm 정도가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220V 플러그(21)가 접속 홈(32)으로 부터 약 5mm 이상 빠져나오게 되면 콘센트의 접속 홈(32) 속의 접속체와 분리가 용이해져 약간의 힘으로도 220V 플러그(21)는 분리된다.
도6은 본 고안의 장치의 집게 손잡이를 양쪽으로 부착한 일 예시도로서 집게 손잡이(15)와 지렛대 발(12)을 한쪽에만 설치하지 않고 대칭이 되게 양쪽으로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 시 보다 용이하게 된다.
도7은 본 고안의 장치에 원상복구용 스프링이 설치된 일 예시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플러그 몸체 고정지지대(11)와 와셔a(141) 사이에 원상 복구용 스프링(50)을 착설하고 고정나사(14)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이며 지렛대 발(12)이 위치한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원상 복구용 스프링(50)의 한쪽 끝은 고정지지대(11)의 상단 모서리에 걸쳐 지지되고 그 반대쪽은 집게 손잡이(15)의 하단부 상단 모서리에 걸쳐지게 장착되어 집게 손잡이(15)가 플러그 손잡이(24)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집게 손잡이(15)의 하단부 상단 모서리가 원상복구용 스프링(50)의 끝단을 밀게 되면서 스프링에 탄성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고 집게 손잡이(15)와 플러그 손잡이(24)에서 손가락을 떼어내면 원상복구용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거 원위치 된다.
도8은 플러그 결합 홈이 얕은 콘센트용 보조 고정지지대를 부착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콘센트 중에는 플러그 결합 홈(31)의 깊이가 표준형 보다 얕은 콘센트가 일부 있다. 이 경우에는 플러그 결합 홈의 높이를 보정하는 보조 고정지지대(40)의 양쪽 플러그 접지부 삽입 고정핀(41)의 고정핀 하단(141)이 도면과 같이 양쪽 접지부 삽입 고정핀(13)의 고정핀 상단(132)에 끼워져, 보조 고정지지대(40)와 본 고안의 장치를 한몸으로 고정한 후에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해 진다.
도9는 전선이 일자형으로 결합된 플러그에 본 고안의 장치를 부착한 예시도로서 플러그 손잡이(24)에 전선을 결합한 방식이 "ㄱ"자 형태가 아닌 일자형의 경우에 본 고안의 장치를 부착한 도면으로 사용자가 집게 손잡이(15)와 플러그 손잡이(24)를 엄지와 인지로 동시에 집으면 도5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고정나사(14)를 중심축으로 하여 지렛대 발(12)이 아래로 회전하면서 플러그(21)가 플러그 접속홈(32)으로 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220V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서 쉽게 분리하도록 고안된 간편 분리기이다.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 시 플러그 손잡이를 강하게 상하로 당겨서 분리하지 않고 손가락의 힘만으로 집게를 좌우로 눌러 잡기만 하면, 지렛대 원리에 의거 힘이 상하로 작용하여 플러그와 콘센트가 분리되므로 무리한 힘이 가해졌을 때 플러그 내의 전선이 늘어나 발생하게 되는 단선 또는 누전의 위험성을 없애는 효과를 주며, 필요 시 마다 사용자가 플러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고정나사(14)를 와셔b(142)와 집게 손잡이(15)를 갖는 지렛대 발(12), 와셔a(141)에 순서대로 삽입하고 그 끝을 접지부 삽입 고정핀(13)을 갖는 플러그 몸체 고정지지대(11)에 결속시켜 미끄럼 방지 턱(16)이 있는 집게 손잡이(15)의 좌우운동에 따라 지렛대 발(12)이 고정나사(14)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집게 손잡이(15)와 지렛대 발(12)을 대칭이 되게 양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 고정지지대(11)와 와셔a(141) 사이에 위치되고 그 중심이 고정나사(14)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의 원상 복구용 스프링(50)을 지렛대 발(12)이 위치하는 한쪽 또는 양쪽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0V 전원 플러그 간편 분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본 고안의 장치를 플러그 결합 홈(31)의 깊이가 표준형 보다 얕은 콘센트에 장착 시 높이를 보정하기 위한 플러그 접지부 삽입 고정핀(41)을 양쪽에 부착한 보조 고정지지대(4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KR2020020005070U 2002-02-20 2002-02-20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KR200278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070U KR200278369Y1 (ko) 2002-02-20 2002-02-20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070U KR200278369Y1 (ko) 2002-02-20 2002-02-20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369Y1 true KR200278369Y1 (ko) 2002-06-21

Family

ID=7307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070U KR200278369Y1 (ko) 2002-02-20 2002-02-20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3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8912A (zh) * 2017-08-30 2018-03-0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安全便捷式电源插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8912A (zh) * 2017-08-30 2018-03-0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安全便捷式电源插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0399B (zh) 一种智能化仪器仪表数据总线连接器
US7909664B2 (en) Wir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4523074A (ja) 固定装置及び固定方法
WO2010057399A1 (zh) 一种插头插座适配器
US6884125B2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US20080261420A1 (en) Safety electric plug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US20060030188A1 (en) Safety plug allowing unplugging with one hand
TWI732162B (zh) 跨接頭及跨接頭用治工具
AU2007350603A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519995Y2 (ko)
US8771006B1 (en) Plug removal tool and method
KR200278369Y1 (ko) 220v 전원플러그 간편 분리기
GB2166300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419477Y1 (ko) 플러그 분리수단을 구비한 멀티탭
KR20110137226A (ko) 플러그 연결수단과 자석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멀티탭
JP2016535440A (ja) 電子装置
KR20000015207A (ko)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CN2452160Y (zh) 电连接器组合
KR200419225Y1 (ko) 서로 다른 방식의 전원 콘센트와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용어댑터
KR200183936Y1 (ko) 전기기구용 콘센트
CN212517765U (zh) 一种具有接口防折损结构的电子连接器
CN217362035U (zh) 一种插头插座的连接结构
KR200239704Y1 (ko)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20050106726A (ko) 콘센트
KR101698907B1 (ko) 플러그 삽입 방향의 확인이 용이한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