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474Y1 -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474Y1
KR200277474Y1 KR2020020006966U KR20020006966U KR200277474Y1 KR 200277474 Y1 KR200277474 Y1 KR 200277474Y1 KR 2020020006966 U KR2020020006966 U KR 2020020006966U KR 20020006966 U KR20020006966 U KR 20020006966U KR 200277474 Y1 KR200277474 Y1 KR 200277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washer
nut
elastic clip
mai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묵
Original Assignee
박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묵 filed Critical 박장묵
Priority to KR2020020006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4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474Y1/ko

Links

Landscapes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철도 분기부에 설치되는 미끄럼상판에 주레일을 탄성클립으로 고정시킬 때 간편하도록 구성하고 또, 탄성클립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레일을 일정한 가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탄성클립을 끼울 수 있는 공간부(16)에 지지점(15)과 후미에 걸림턱(5')과 너트끼움부(5)를 형성하고 상부에 볼트공(10)과 와셔고정홈(7)이 형성된 미끄럼상판(4)을 구성하여 볼트공(6)이 형성된 탄성클립(1)을 공간부(16)에 끼우고 너트끼움부(5)에 와셔(8)와 너트(9)를 끼우며, 너트끼움부(5)의 상부에 와셔고정홈(7)과 연결된 볼트공(10)으로 볼트머리에 핀공(13)이 뚫어진 볼트(11)를 끼워 탄성클립(1)에 형성된 볼트공(6)을 관통하여 너트(9)에 체결하고 볼트머리에 와셔(12)를 끼우고 와셔가 빠지지 않게 핀공(13)에 핀(14)을 결합하여 구성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볼트를 조이는 것으로 간편하게 주레일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볼트에 토르크를 측정하여 일정한 가압력으로 주레일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마모 등의 원인으로 탄성클립이 주레일을 고정하는 가압력이 약해지면 토르크렌치를 이용하여 볼트를 간단하게 조이는 것으로 가압력을 회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주레일을 고른 가압력으로 항상 견고하게 고정시켜 기차가 주행할 때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A elastic control rail fixing device in sliding plate for railroad diveg point}
본 고안은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철도 분기부에 설치되는 미끄럼상판에 주레일을 탄성클립으로 고정시킬 때 간편하도록 구성하고 또, 탄성클립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레일을 일정한 가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철도 분기부 구간에 주레일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미끄럼상판의 내측상면에는 텅레일을 이동시키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탄성클립을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여 탄성클립으로 주레일을 고정하였다.
종래 상기와 같이 탄성클립으로 주레일을 고정하는 미끄럼상판의 구성을 도 8에서 살펴보면, 미끄럼상판(50)의 일측에 주레일(51)을 착지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주레일(51)을 착지시키고 또, 내측에 지지점(54)를 구비한 공간부(52)를 형성하여 탄성클립(53)을 끼우고 탄성클립의 선단부는 주레일(51)의 플랜지 위에 올리고 후단부는 고정블록(55)으로 받쳐서 주레일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끄럼상판의 레일고정장치는 탄성클립(53)의 후단부를 고정블록(55)으로 받쳐줌으로써 지지점(54)를 중심으로 반대쪽에 작용점(56)을 형성시켜 그 가압력으로 주레일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면 탄성클립을 받치는 고정블록의 높이와 전후위치에 따라 작용점에 미치는 가압력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레일을 고정시키는 가압력이 일정하게 작용하지 않으며 또, 미끄럼상판과 탄성클립의 제작할 때 생기는 편차에 의해서도 주레일을 고정시키는 가압력이 일정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설치한 후에도 마모와 변형에 의해서도 주레일을 고정시키는 가압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주레일을 지속적이면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으므로 기차가 주행할 때 소음을 발생시키고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가압력의 변화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미끄럼상판과 탄성클립을 통체로 교환해야하므로 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탄성클립(53)으로 주레일을 고정하고자 할 때 특별하게 제작된 공구를 사용하여 탄성클립을 고정블록(55)의 높이 이상으로 들어올리고 고정블록을 끼워야하며 또, 상기의 작업을 할 때 두명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고정블록을 끼울 때 탄성클립의 탄성에 의해서 블록이 움직이거나 튀어올라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끄럼상판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탄성클립의 후미를 볼트에 결합하여 볼트를 조이면 탄성클립의 선단부가 주레일을 가압하여 주레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레일을 고정할 때 보다 더 간편하고 또, 볼트를 조이고 풀어주는 것으로 탄성클립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주레일을 일정한 가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의 작업을 할 때 토르크렌치를 사용하여 볼트의 토르크를 측정함으로써 주레일을 고정하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측면도
도 5,6,7은 탄성클립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탄성클립 2: 스프링클립
3: 주레일 4: 미끄럽상판
5: 너트끼움부 6:10: 볼트공
7: 와셔고정홈 8:12: 와셔
9: 너트 11: 볼트
13: 핀공 14: 핀
15: 지지점 16: 공간부
본 고안의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구성을 이하 부수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링클립(2)과 탄성클립(1)으로 주레일(3)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미끄럼상판(4)에 있어서,
탄성클립을 끼울 수 있는 공간부(16)에 지지점(15)과 후미에 걸림턱(5')과 너트끼움부(5)를 형성하고 상부에 볼트공(10)과 와셔고정홈(7)이 형성된 미끄럼상판(4)을 구성하여 볼트공(6)이 형성된 탄성클립(1)을 공간부(16)에 끼우고 너트끼움부(5)에는 와셔(8)가 좌우로 돌지 않게 결합하고 또, 와셔(8)에는 너트(9)가 따라돌지 않게 결합한다.
그리고, 너트끼움부(5)의 상부에 와셔고정홈(7)과 연결된 볼트공(10)으로 볼트머리에 핀공(13)이 뚫어진 볼트(11)를 끼워 탄성클립(1)에 형성된 볼트공(6)을 관통하여 너트(9)에 체결하고 볼트머리에 와셔(12)를 끼운 후, 와셔(12)가 빠지지 않게 핀공(13)에 핀(14)을 결합하며, 상기의 와셔(12)는 와셔고정홈(7)의 측면에 밀착되도록하여 볼트(11)와 와셔(12)가 돌아가지 않게 구성하였다.
상기의 탄성클립(1)은 도 5,6,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행형으로 절곡된 타입과 테이퍼형으로 절곡된 타입과 테이퍼플레이트 타입 등 여러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20은 텅레일, 21은 침목, 22는 작용점, 23은 주레일의 플랜지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철도 레일용 침목(21)에 미끄럼상판(4)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침목(21)에 미끄럼상판(4)을 고정한 상태에서 주레일(3)의 일측에 스프링클립(2)을 공지의 방법으로 설치하여 주레일(3)을 고정하고 반대쪽에는 본 고안의 탄성클립(1)으로 주레일(3)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탄성클립(1)으로 주레일(3)을 고정할 때 먼저 볼트머리에 결합된 핀(14)과 와셔(12)를 제거하고 볼트(11)를 너트(9)로부터 일부분 풀어서 탄성클립(1)이 공간부(16)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탄성클립(1)의 선단부를 주레일(3)의 하단 플랜지(23)위에 걸치고 볼트(11)를 토르크렌치로 조인다.
그러면 볼트(11)가 너트(9) 및 와셔(8)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탄성클립(1)의 후미를 상승시키며, 이때 탄성클립(1)의 후단은 너트끼움부(5)에 형성된 걸림턱(5')에 부딪치게 되므로 탄성클립(1)이 뒤로 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클립(1)의 선단부는 지지점(23)을 기준으로 하강하여 작용점(22)에 가압력을 발생시켜 주레일(3)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토르크렌치를 사용하여 볼트(11)에 미치는 토르크 값을 측정하면서 소정의 토르크 값이 되었을 때 조이는 작업을 중단하고 토르크렌치를볼트(11)에서 제거하고 볼트머리와 와셔고정홈(7)에 와셔(12)를 끼워 진동에 의해서 볼트(11)가 풀리지 않게 하고 핀공(13)에 핀(14)을 결합하여 와셔(12)가 빠지지 않게 하는 것으로 주레일을 미끄럼상판(4)에 고정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하면 볼트머리와 와셔고정홈(7)에 끼워진 와셔(12)가 볼트(11)를 잡아주기 때문에 볼트가 불필요하게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에 너트(9)와 같이 결합된 와셔(8)는 볼트를 너트에 조이거나 풀 때 원활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데 특히, 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줄 때 너트가 같이 돌지 않게 하는 동시에 탄성클립(1)을 받쳐주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는 볼트를 조이는 것으로 간편하게 주레일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볼트에 토르크를 측정하여 일정한 가압력으로 주레일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마모 등의 원인으로 탄성클립이 주레일을 고정하는 가압력이 약해지면 토르크렌치를 이용하여 볼트를 간단하게 조이는 것으로 가압력을 회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주레일을 고른 가압력으로 항상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기 때문에 기차가 주행할 때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미끄럽상판(4)을 구성함에 있어서, 탄성클립을 끼울 수 있는 공간부(16)에 지지점(15)를 형성하고 공간부(16)의 후미에는 걸림턱(5')과 너트끼움부(5)를 형성하여 볼트공(6)이 형성된 탄성클립(1)을 설치하고 너트끼움부(5)에는 와셔(8)와 너트(9)를 결합하되, 볼트(11)를 돌릴 때 따라돌지 않게 결합하며,
    너트끼움부(5)의 상부에는 볼트공(10)과 와셔고정홈(7)을 형성하여 볼트머리에 핀공(13)이 뚫어진 볼트(11)를 볼트공(10)과 탄성클립(1)에 형성된 볼트공(6)을 관통하여 너트끼움부(5)에 있는 너트(9)와 체결하고, 볼트머리와 와셔고정홈(7)에는 진동에 의해서 볼트(11)가 풀리지 않게 와셔(12)를 끼우고 핀공(13)에는 와셔(12)가 빠지지 않게 핀(14)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너트끼움부(5)에 결합되는 와셔(8)는 사각형으로 구성하여 양쪽 측면을 너트끼움부(5)의 내벽에 밀착되게 구성하고 너트(9)는 와셔(8)의 내벽에 밀착되게 구성하여 볼트를 돌릴 때 너트가 따라돌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와셔고정홈(7)에 결합되는 와셔(12)는 양측면을 직선으로 구성하여 와셔고정홈(7)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하고 또, 볼트머리가 끼움되도록 구성하여 진동에 의해서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
KR2020020006966U 2002-03-09 2002-03-09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 KR200277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66U KR200277474Y1 (ko) 2002-03-09 2002-03-09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66U KR200277474Y1 (ko) 2002-03-09 2002-03-09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474Y1 true KR200277474Y1 (ko) 2002-06-03

Family

ID=7307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966U KR200277474Y1 (ko) 2002-03-09 2002-03-09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4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40542A1 (en) Connection element for running rails and running rail system
ATE318092T1 (de) Aufhängevorrichtung mit einer vertikal anzuordnenden profilschiene und einer darin einhängbaren konsole
US8485452B2 (en) Guard rail apparatus for guiding derailed wheels
IE55118B1 (en) An arrangement for fastening rails to sleepers
KR100874181B1 (ko)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일체형 포인트상판 체결장치
US4770342A (en) Adjustable rail brace
US6308897B1 (en) Lateral and vertical rail brace assembly
KR200277474Y1 (ko) 철도 분기부용 미끄럼상판의 탄성조절식 레일고정장치
CN205188729U (zh) 一种可调距易拆卸的双层减振扣件系统
KR100474255B1 (ko) 레일의 체결구조
KR200195543Y1 (ko) 가드레일 결합장치
US5123596A (en) Bolted rail fastening system
CN2281998Y (zh) 防止道岔辙叉横向位移的锁紧扣件
US6287063B1 (en) Securing disk for interposition between two component parts to be connected
KR20130038490A (ko) 철도레일 점검공구
JP4845616B2 (ja) 受台抜け出し防止機構付きレール締結装置
KR101072861B1 (ko) 철도 분기기용 롤러 일체형 무도유 상판
US4479607A (en) Rail fastening device
KR200256805Y1 (ko) 철도교량 침목 체결장치
EP1253244B1 (en) A fastening device for rails
KR100416406B1 (ko) 가드홀더
KR200333752Y1 (ko) 철도 분기기용 롤러 베이스 플레이트
KR200177053Y1 (ko) 교량 철로의 침목 체결구조
JP3889621B2 (ja) タイバーボルトの脱落防止構造
KR200342447Y1 (ko) 신축이음매장치의 레일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