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435Y1 - 낙석방지 휀스 - Google Patents

낙석방지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435Y1
KR200277435Y1 KR2020020005666U KR20020005666U KR200277435Y1 KR 200277435 Y1 KR200277435 Y1 KR 200277435Y1 KR 2020020005666 U KR2020020005666 U KR 2020020005666U KR 20020005666 U KR20020005666 U KR 20020005666U KR 200277435 Y1 KR200277435 Y1 KR 200277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revention fence
fence
connecting rod
rock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분
Original Assignee
이현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분 filed Critical 이현분
Priority to KR2020020005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435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석방지 휀스를 개시한다.
이러한, 낙석방지 휀스는 낙석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하단부가 매설되어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포스트와, 인접된 한쌍의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나사부가 형성된 양끝단부가 관통구멍을 통해 포스트내부에 삽입되어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어지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낙석방지 휀스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측에서 바라보면 일면이 개방된 다각형상으로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 휀스.

Description

낙석방지 휀스{falling rock fence}
본 고안은 도로공사 등과 같은 토건 공사에 의해 형성된 절개지 등에서 낙석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낙석방지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트를 일면이 개방된 다각형상으로 하여 낙석 방지력을 강화시키면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 낙석방지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건 공사 등에 의해 형성된 절개지에는 암벽으로부터 발생되는 낙석이 도로 또는 구조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석방지 휀스가 설치되는 바, 이때의 낙석방지 휀스는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포스트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배치된 포스트의 상,하 방향으로 와이어로프가 브래킷에 의해 설치되어지며, 작은 암석 등이 도로 등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망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 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낙석방지 휀스(100)는 크게 도로를 따라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 구조체(150)에 등간격으로 수직하게 고정되어지는 복수개의 포스트(110)와, 이들 포스트(110) 사이에 구비되어지는 와이어로프(120) 및 망(14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포스트(110)는 도로의 인접위치에 도로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세워지며, 그 하단부는 콘크리트 구조체(150)에 매설되어 고정되어진다.
이와 같은 포스트(110)는 통상 소정의 길이를 갖는 H-빔 형태로 마련되어지며, 복수 설치된 포스트(110)들 중에서 양끝에 설치된 포스트(110)와 포스트(110) 사이에는 와이어로프(120)의 양끝단이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되어지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120)는 포스트(110)의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며, 부피가 작은 암석의 낙석을 방지하도록 포스트(110)와 와이어로프(120)에 PVC가 코팅된 철망(140)이 설치되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낙석방지 휀스(100)는 와이어로프(120)를 설치할 때 별도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시간 및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와이어로프(120)의 장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키기 어려운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내 실용신안출원 2000-10226에서는 와이어로프 대신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연결봉을 포스트에 나사 체결하는 형태의 낙석방지 휀스가 제안된바 있다.
도 2는 연결봉이 나사 체결되는 낙석방지 휀스를 나타낸 설치 상태로서,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포스트(110)와 포스트(110) 사이에 중공의 파이프 형태를 갖는 연결봉(130)이 나사결합에 의해 구비되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봉(130) 방식의 낙석방지 휀스(100) 역시 H-빔 형태로 마련되어지는 것에 의해 낙석 발생시 쉽게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110)가 낙석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짐으로써 휀스(100)의 일부분에 낙석이 충돌하는 경우에도 충격력이 연결봉(130)을 통해 휀스(100) 전체에 전달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휀스(100) 전체의 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낙석이 휀스(100)에 일부분에만 충돌하는 경우에도 휀스(100) 전체가 변형되므로 유지보수의 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낙석에 의해 변형된 상태에서 2차 낙석이 발생되는 경우 낙석방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낙석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이 휀스 전체에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포스트를 제공하여 낙석 방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낙석방지 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낙석방지 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 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A"의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 휀스에서 포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낙석방지 휀스 20 : 포스트
25 : 관통구멍 30 : 연결봉
35 : 나사부 40 : 망
50 : 콘크리트 구조체 n : 너트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 휀스는 낙석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하단부가 매설되어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포스트와, 인접된 한쌍의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나사부가 형성된 양끝단부가 관통구멍을 통해 포스트내부에 삽입되어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어지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낙석방지 휀스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측에서 바라보면 일면이 개방된 다각형상으로 구비되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포스트는 육각형으로 마련되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 휀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 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A"의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 휀스에서 포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낙석방지 휀스(10)는 크게 포스트(20)와 연결봉(30) 및 망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포스트(20)는 통상 절개지 상에 건설된 도로의 인접위치에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세워지는데, 이때의 포스트(20)는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 구조체(50)에 하단부가 매설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50)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지는 포스트(20)는 횡방향으로 길이재의 연결봉(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구멍(25)이 형성되며, 이때의 관통구멍(25)은 포스트(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어지며, 상기 연결봉(30)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갖는다.
한편, 상기 포스트(20)는 낙석 방지력을 극대화시키면서 후술할 연결봉(30)의 조립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되면서 다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어지며, 본 고안에서의 포스트(20)는 6각 형상인 것을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연결봉(30)은 포스트(20)에 형성된 관통구멍(25)이 갖는 내경에 비하여 작은 지름을 가지며, 서로 인접되게 배치된 포스트(20)와 포스트(20)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연결봉(30)은 양측 끝단부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나사부(35)가 마련되어지며, 이때의 나사부(35)는 상술한 포스트(20)의 관통구멍(25)에 삽입되어 포스트(20)의 내측에 구비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포스트(20)의 관통구멍(25)을 통해 포스트(20) 내부에 위치되어지는 연결봉(30)의 나사부(35)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지며, 이때의 너트(n) 체결은 낙석에 의한 방지력을 유지하면서 휀스(10) 전체에 낙석 충격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각 포스트(20)에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봉(30)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조립되어진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체(50) 상에 등간격으로 수직하게 고정되는 포스트(20) 사이에 연결봉(30)의 양끝단을 각각의 관통구멍(25)에 삽입시킨다. 이어서, 상기 포스트(2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너트(n)를 포스트(20) 내부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연결봉(30)의 나사부(35)에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나사체결을 함으로써 연결봉(3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망(40)은 종전과 마찬가지로 부피가 작은 암석의 낙석을 방지하도록 포스트(20)와 연결봉(30)에 PVC가 코팅된 철망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낙석방지 휀스는 낙석에 의한 충격 발생시 충격력이 작용하는 휀스의 일부분만 변형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일면이 개방된 다각형상을 갖는 포스트는 종전의 H-빔에 비해 충격력에 대응하는 지지력이 월등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연결봉을 연결하는 있어 별도의 복잡한 구성을 갖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휀스 설치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면서 설비비를 저감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낙석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하단부가 매설되어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포스트와, 인접된 한쌍의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나사부가 형성된 양끝단부가 관통구멍을 통해 포스트내부에 삽입되어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어지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낙석방지 휀스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측에서 바라보면 일면이 개방된 다각형상으로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 휀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육각형으로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 휀스.
KR2020020005666U 2002-02-26 2002-02-26 낙석방지 휀스 KR200277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66U KR200277435Y1 (ko) 2002-02-26 2002-02-26 낙석방지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66U KR200277435Y1 (ko) 2002-02-26 2002-02-26 낙석방지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435Y1 true KR200277435Y1 (ko) 2002-06-03

Family

ID=7311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666U KR200277435Y1 (ko) 2002-02-26 2002-02-26 낙석방지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4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6220B2 (en) Method for strengthening a fence
US20090321699A1 (en) Spring-Loaded Cable Barrier System and Method
KR100592505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낙교방지와 전도방지용크로스빔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18715B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200277435Y1 (ko) 낙석방지 휀스
KR101145429B1 (ko) 앵커볼트
US20150167262A1 (en) Crosswind deflection element for preventing sedimentation
KR20120122861A (ko) 가설 게이트, 가설 게이트의 설치구조, 및 가설 펜스/게이트 설치용 말뚝 구조
JP6062724B2 (ja) 雪崩減勢工
KR102264239B1 (ko) 생태계 보존을 위한 소음 방지 방음벽
AU2010297972B2 (en) Electric fencing standard
KR101036910B1 (ko) 볼트형 고장력 경강선을 이용한 낙석 방지책
KR102244451B1 (ko) 낙석 방지용 펜스
KR200409296Y1 (ko) 펜스 고정구
KR200381051Y1 (ko) 철책용 와이어로우프 고정구
KR102684044B1 (ko) 와이어 간격유지장치를 이용한 낙석방지책 시공 방법
KR101167553B1 (ko) 낙석방지책
KR100249648B1 (ko) 낙석방지용 방지책의 설치방법
JP2004244909A (ja) 金網固定金具
KR102662125B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간격유지장치
KR200249080Y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200333024Y1 (ko) 낙석방지용 철책의 와이어고정구
JP2006152632A (ja) 浮上がり防止杭
KR102431360B1 (ko) 인장력 보강 기능을 갖는 방음벽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