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325Y1 -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325Y1
KR200277325Y1 KR2020020008366U KR20020008366U KR200277325Y1 KR 200277325 Y1 KR200277325 Y1 KR 200277325Y1 KR 2020020008366 U KR2020020008366 U KR 2020020008366U KR 20020008366 U KR20020008366 U KR 20020008366U KR 200277325 Y1 KR200277325 Y1 KR 200277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ipe
synthetic resin
external pressur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이 filed Critical 민병이
Priority to KR2020020008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325Y1/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합성수지제 파이프에서 수도관 및 배수관용으로서 관의 내부에 흐르는 물의 흐르는 소음을 방지하면서 외압 보강용으로 구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파이프에서 수도관이나 배수관에서 배수의 물이 흐를 때 소음이 발생하여 아파트 및 가정에서 특히 저녁에 가정의 조용한 환경을 요하는 여건에 미흡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로서 파이프의 일정두께인 후육에 방음제인 발포층을 삽설하였으나 제조 공정에서 불량이 많이 발생하여 경제성이 낮으며 또 파이프의 후육에서 길이방향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중공구를 형성한 파이프가 제공되었으나 이는 합성수지제 파이프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장강도가 원주방향보다 낮아서 외압강도 및 내구성이 낮은 문제점이 노출되어 왔다
고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고안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합성수지제 파이프에서 내측벽과 중간층 및 외측벽으로 구분하여 주되 내측벽에서 파이프 후육의 중간층 부위로 좌측 방향 나선돌조를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돌출하여 형성하여 주고 또 외측벽에서 파이프 후육의 중간층 부위로 우측 방향 나선돌조를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돌출하여 형성하여 구성된 것에서 내측벽의 좌측 방향 나선돌조의 상측면에 외측벽의 우측 방향 나선돌조의 상측면으로 서로 일체로 융착하여 중간층에는 망상의 공기 유통구간을 형성하여 제조되어서 구성되는 제품으로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omitted}
본 고안은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합성수지제 파이프에서 소음을 방지하면서외압 강도 보강이 제공되는 합성수지제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좌우측 방향으로 나선요흠을 돌출시켜 형성하되 좌,우측 방향 돌조를 서로 중첩시켜 각각의 상측면에 일체되는 융착점으로 융착으로 일체시켜 수성되는 합성수지제 소음방지하면서 외압 보강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 파이프(이하에서는 파이프라 칭한다)는 주로 수도관 압력관 가스관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압출기에서 제조되는 합성수지 파이프의 제품은 압출 공정에서 용융된 합성수지가 용융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신시켜 주면서 성형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때 성형되는 합성수지제 파이프는 길이방향(압출방향)으로 분자 구조가 선형 구조이므로 압출방향은 인장 강도가 매우 높으나 원주방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현실으로서 원주방향으로 내구성 및 외압강도 등에 문제점이 있는 현실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출 방향을 일측 방향으로 나선권회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품이 제공되었으나 보다 더 높은 외압강도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ㆍ외측 수지층을 각각 좌ㆍ우 방향으로 나선권회로 내ㆍ외측층을 중첩하여 분자 구조를 넷트상으로 형성시켜 주기 위함이다.
도1은 본 고안에서 내측벽의 우측 방향돌조에 외벽을 일체로 형성한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2은 도1의 제품에 대한 보강 구조로서 좌ㆍ우측 방향돌조가 내측벽 및 외측벽에 각각 구성되어 좌ㆍ우측 방향돌조의 상측면으로 일체된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3는 도1에서 외측벽의 우측 방향 돌조 부위의 일부 절개된 확대 사시도
도4은 도2에서 내,외측벽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제품의 일부절개된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 파이프 12. 좌측 방향 돌조 13. 우측 방향 돌조
14. 중간층 15. 요홈부 16. 내측벽
17. 외측벽 18,18'. 융착점 19. 융착대
20. 외벽
일반적으로 중대구경에서 파이프의 견고성 및 강도 등을 위하여 두께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좌우측 방향으로 나선요홈을 돌출시켜 형성하되 좌,우측 방향 돌조를 서로 중첩시켜 각각의 상측면에 일체되는 융착점으로 융착으로 일체시켜 수성되는 합성수지제 소음방지하면서 외압 보강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두께를 2∼3등분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압출기 다이스 내에서 용융된 수지의 압출력에 의한 다이스의 회전력 형성과 압출 유도대의 역할과 압출기의 회전다이스에서 냉각수통의 사이징(압출금형)까지 압출되면서 연신시켜 주면서 외측부위는 좌측방향으로 다이스가 회전하면서 선형 분자구조를 압출하면서 좌측으로 서서히 회전시켜 주어 좌측 방향돌조(12)으로 하고 내측 부위는 외측부위의 반대방향 즉 우측 방향으로 선형 분자구조를 압출하면서 서서히 회전시켜주면서 압출되어 우측방향돌조(13)으로 하여 2층구조로 각각의 돌조(12)(13)의 상측면에 교차점으로 일체화 시켜 융착점(18)으로 일체화시켜 주는 제품으로 이때 좌,우측 방향돌조(12)(13) 사이의 요홈부(15)로 공기 이동이 가능한 공간역할로 소음 및 보온 역할 뿐만 아니라 좌,우측 방향 돌조(12)(13)의 서로 중첩되어 융착점(18)으로 내측벽(16)과 외측벽(17)을 기준으로 서로 망상으로 일체되므로 외토압 보강의 제품으로 제공되는 고안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원래 압출기에서 파이프 원료인 합성수지를 압출할 경우 압출력과 회전기어에 의한 다이스의 회전을 유도시켜 주므로서 본 고안의 제품이 제공된다.
또 본 고안에 대한 설명으로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16)에 형성된 좌측 방향돌조(12)의 상측면에 따라 외벽(20)을 융착대(19)로 일체화 시켜 제공되는 제품도 좌측 방향돌조(12) 사이의 유동공간(21)이 형성되면서 좌측 방향돌조(12)의 서서히 형성되는 좌측 방향으로 나선의 형성으로 외토압 보강이 제공되는 고안이다
또 본 고안에서 좌측 방향돌조(12)의 보강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요부인 좌,우측 방향돌조(12)(13)의 형성은 일정한 뚜께를 형성한 합성수지제 파이프에서 동일 규격의 두께를 2등분하여 내측벽(16)과 외측벽(17)으로 구분하되 각각 파이프(11) 후육(두께)의 중앙 부위로 향하도록 좌,우측 방향돌조(12)(13)(이하에서는 돌조(12)(13)이라 칭한다)을 파이프(11) 두께의 분리된 크기에 맞추어 미세하도록 다수개의 돌조(12)(13)를 형성하여 준다
또 상기 돌조(12)(13)의 상측면은 내,외벽(16)(17)에 형성된 돌조(12)(13)의 회전 방향이 좌,우측으로 각각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압출기에서 제조공정에서 압출할 때 냉각수 사용과 연신 등의 작업 조건으로 돌조(12)(13)의 상측면에서 서로 중첩 부위에서 융착으로 융착점(18)을 형성하면서 일체화로 제공되는 고안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측벽(16)(17)에 형성된 좌,우측 방향돌조(12)(13)의 상측면 사이의 간격에서 보온 및 소음 차단 역할과 파이프(11)의 견고성과 소음 및 보온력을 보강하고 외압 보강을 위하여 좌,우측 방향돌조(12)(13)의 상측면 사이에 별도의 중간층(14)를 삽설하여 돌조(12)(13)의 상층면에 중강층(14)의 양측면에 일체로 좌,우측 방향에 따라 융착대(19)로 일체되는 제품의 제공을 위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일정 두께가 형성되는 합성수지제 파이프에서 두께를 2등분하되 압출 방향에 따라 내,외측벽에 좌,우측 방향돌조를 각각 형성하여 돌조의 상측면에따라 망상으로 융착점으로 일체시켜 보강되는 제품으로 파이프의 중간층에 돌조의 요홈공간 형성과 좌,우측으로 서서히 나선구조로 권회되어 형성하므로 소음, 보온 및 외압강도 보강에도 탁월한 제품 제공하며 또 중간층에 요홈공간 형성으로 경량성으로 제조되어서 외압강도, 내압강도 및 동파 등에도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파이프의 두께(후육)를 줄일 수 있는 여건 형성으로 경제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제품이다.

Claims (3)

  1. 일정 두께를 2∼3부위로 등분한 합성수지제 파이프에 있어서 내측벽(16)에 좌측 방향돌조(12)를 돌출하되 돌조(12)의 상측면에 외벽(20)을 일체로 형성하여 유동공간(21)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벽(16)에 형성된 좌측 방향돌조(12)에 외측벽(17)에 우측 방향돌조(13)를 돌조(12)(13)의 상측면으로 일체시켜 융착점(18)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좌,우측 방향돌조(12)(13)사이에 중간층(14)을 삽설하여 융착대(19)로 일체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KR2020020008366U 2002-03-20 2002-03-20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KR200277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366U KR200277325Y1 (ko) 2002-03-20 2002-03-20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366U KR200277325Y1 (ko) 2002-03-20 2002-03-20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900A Division KR100868910B1 (ko) 2002-03-19 2002-03-19 상,하수관용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325Y1 true KR200277325Y1 (ko) 2002-06-03

Family

ID=7307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366U KR200277325Y1 (ko) 2002-03-20 2002-03-20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3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550B1 (ko) * 2002-05-07 2005-07-01 손삼수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550B1 (ko) * 2002-05-07 2005-07-01 손삼수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7676A (en) Apparatus for forming plastic tubing having a smooth inner wall and a corrugated outer wall
CA1281664C (en) Pressure-withstanding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375381A (en) Two piece extruded hose
KR200277325Y1 (ko)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KR100868910B1 (ko) 상,하수관용 합성수지제 외압 보강용 파이프
WO2005120805A1 (en) Multilayer synthetic resin pipe having spiral ribs, and extrusion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04550B1 (ko) 공간 보강대를 갖는 디씨 파이프와 그 성형방법
KR100489480B1 (ko) 스크류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및 그 압출 성형방법과 장치
KR200206329Y1 (ko) 합성수지제 파이프
KR200411789Y1 (ko) 삼중벽관
KR200352642Y1 (ko) 터널형 구조 복합관
KR100539100B1 (ko) 합성수지 복층 파이프
JP2008062533A (ja) 断熱ダクトホースの製造方法
JP2992508B2 (ja) 複合管の製造方法
KR100632779B1 (ko) 프로파일 나선형 합성수지관 코팅 직관 파이프
JP4814042B2 (ja) 可撓性ホ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33397B1 (ko) 프로파일의 빈 공간을 순차적으로 막는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제조방법
EP1459867A1 (en) A mixing device for extruders
KR200311881Y1 (ko) 고강도 합성수지관
KR100724535B1 (ko) 일체형 합성수지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365609Y1 (ko) 합성수지관의 구조
KR20040076580A (ko) 코러게이트 삼중관 및 그 제조장치
KR20020004114A (ko) 합성수지제 파이프
KR101095653B1 (ko)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
CN220930418U (zh) 聚乙烯夹网格纤维一体缠绕实壁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