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653B1 -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 - Google Patents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653B1
KR101095653B1 KR1020090072451A KR20090072451A KR101095653B1 KR 101095653 B1 KR101095653 B1 KR 101095653B1 KR 1020090072451 A KR1020090072451 A KR 1020090072451A KR 20090072451 A KR20090072451 A KR 20090072451A KR 101095653 B1 KR101095653 B1 KR 10109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profile
inner walls
central reinforceme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870A (ko
Inventor
안우정
Original Assignee
(주) 크라텍
주식회사 제철공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크라텍, 주식회사 제철공무 filed Critical (주) 크라텍
Priority to KR102009007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65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이 개시된다. 프로파일은 4개의 내벽들을 갖고 길게 연장된 내관과, 내관의 둘레를 감싸는 외관을 포함한다. 내관에는, 4개의 내벽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내벽들에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관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는 중앙 보강부가 형성되며, 4개의 내벽들 중 중앙 보강부의 양단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내벽들 중 적어도 한쪽에는 내부 공간으로 하나 이상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외압에 견디는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Profil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ultiwall drain pi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다. 압출기에 의해 프로파일을 압출해서 냉각기를 통과시킨다. 냉각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프로파일을 와인딩 장치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는다. 프로파일을 감는 과정에서, 프로파일의 감긴 부위들 사이에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고, 공급된 수지를 경화시켜 감긴 부위들을 접합시킴으로써 하수관을 제조하게 된다.
한편, 프로파일은 하수관의 경량화를 위해 내부에 중공을 갖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런데, 중공을 갖는 프로파일로 하수관이 제조되면, 중공 부위로 인해, 하수관은 외압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하수관이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외압 환경에서만 하수관이 설치될 수 있는바, 전술한 구조의 하수관은 사용 범위가 한정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외압에 견디는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프로파일은, 4개의 내벽들을 갖고 길게 연장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둘레를 감싸는 외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관에는, 상기 4개의 내벽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내벽들에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관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는 중앙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4개의 내벽들 중 상기 중앙 보강부의 양단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내벽들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하나 이상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벽 하수관은,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감기고, 감긴 부위들 사이가 결합 수지로 용착된 것으로, 상기 프로파일은 4개의 내벽들을 갖고 길게 연장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둘레를 감싸는 외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관에는, 상기 4개의 내벽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내벽들에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관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는 중앙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4개의 내벽들 중 상기 4개의 내벽들 중 상기 중앙 보강부의 양단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내벽들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하나 이상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관 제조를 위한 금형 설계가 용이하여 프로파일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외압에 견디는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로 다층 벽 하수관을 제조함으로써, 비교적 높은 외압 환경에서도 하수관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100)은 내관(110)과 외관(120)을 포함하여 이중 벽을 갖게 구성된다. 프로파일(100)이 이중 벽을 갖게 되면, 외압에 대해 보다 강건할 수 있다. 내관(110)은 4개의 내벽들을 갖고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내관(110)은 사각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관(120)은 내관(110)의 둘레를 감싸며, 내관(110)과 일체화된다. 외관(120)과 내관(110)의 일체화는 내관(110)이 먼저 사출된 후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관(120)이 사출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외관(120)은 내관(110)의 편평한 바깥 면을 감싸는 부위가 편평한 형태를 가질 수 있 다.
내관(110)에는 중앙 보강부(111)와 돌출부(112)가 형성된다. 중앙 보강부(111)는 4개의 내벽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내벽들에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관(110)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형성된다. 중앙 보강부(111)는 일정한 두께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11)는 좌우 내벽에 양단이 연결된다면, 좌우 내벽들 사이를 지지하게 되므로, 프로파일(100)의 좌우 휨이나 변형을 억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돌출부(112)는 4개의 내벽들 중 중앙 보강부(111)의 양단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내벽들 중 적어도 한쪽에 하나 이상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112)는 중앙 보강부(111)와 접촉되지 않은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12)는 일정한 폭을 갖고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2)는 프로파일(100)에 외압이 가해질 때 외압에 견디는 강도를 향상시킨다. 즉, 내관(110)은 돌출부(112)가 형성된 부위가 돌출부(112)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비해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돌출부(112)가 형성된 부위에 의해 외압에 의한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내관(110)은 외압에 견디는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중앙 보강부(111)와 돌출부(112)가 전술한 구조를 갖게 되면, 내관(110) 제조를 위한 금형 설계가 용이하여 내관(110) 및 프로파일(100)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외압에 견디는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100)로 후술할 다층 벽 하수관(1000)을 제조하게 되면, 비교적 높은 외압 환경 에서도 하수관(1000)을 설치할 수 있는바, 사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한편, 돌출부(112)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10) 내에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12)는 내관(110)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2)는 내관(110)의 상부 내벽에 2개 형성되고 하부 내벽에 1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2)는 내관(110)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2)는 내관(110)의 상부 내벽에만 2개 형성되고 하부 내벽에는 하나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2)는 내관(110)의 상부 내벽에만 1개 형성되고 하부 내벽에는 하나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돌출부(112)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주에서, 한쪽 내벽에 3개 이상도 형성 가능하며, 그 밖에 위치도 다양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예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10)의 바깥 측면들 중 적어도 한 측면에는 내관 요철부(1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내관 요철부(113)는 내관(110)의 바깥 측면에 복수 개의 홈들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내관 요철부(113)는 내관(110) 둘레에 외관(120)이 일체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내관(110)과 외관(120) 간의 결합 면적을 넓혀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내관 요철부(113)는 내관(110)의 바깥 4측면들 모두에 형성되는 경우, 결합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벽 하수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있어서,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다층 벽 하수관(1000)은 프로파일(100)이 나선형으로 감기고, 감긴 부위들 사이가 결합 수지(1100)로 용착된다. 프로파일(100)은 도 2에 도시된 프로파일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프로파일(10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프로파일들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파일(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합 수지(1100)는 용용 상태로 프로파일(100)의 감긴 부위들 사이로 공급된 후 경화됨으로써 프로파일(100)의 감긴 부위들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수지(1100)는 프로파일(100)의 외관과 동일한 재질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파일(100)은 중앙 보강부(111)가 프로파일(100)의 감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감길 수 있다. 그러면, 다층 벽 하수관(1000)이 축 방향으로 휘거나 변형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100)의 외관(120)은 내관(110)의 편평한 바깥 면들과 대응되는 부위가 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프로파일(100)로 다층 벽 하수관(10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100)의 감김 부위들과 결합 수지(1100) 간의 결합 면적이 증대할 수 있으므로, 결합이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100)의 바깥 면, 즉 외관(120)의 바깥 면에는 외관 요철부(1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외관 요철부(121)는 외 관(120)의 바깥 측면에 복수 개의 홈들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외관 요철부(121)는 프로파일(100)로 다층 벽 하수관(10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100)의 감김 부위들과 결합 수지(1100) 간의 결합 면적이 증대할 수 있으므로, 결합이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외관 요철부(121)는 외관(120)의 바깥 4측면들 모두에 형성되는 경우, 결합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프로파일에 대한 변형 예들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벽 하수관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변형 예들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프로파일 110..내관
111..중앙 보강부 112..돌출부
113..내관 요철부 120..외관
121..외관 요철부 1000..다층 벽 하수관
1100..결합 수지

Claims (6)

  1. 4개의 내벽들을 갖고 길게 연장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둘레를 감싸는 외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관에는:
    상기 4개의 내벽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내벽들에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관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는 중앙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4개의 내벽들 중 상기 중앙 보강부의 양단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내벽들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각각 하나 이상씩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각 단부가 상기 중앙 보강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관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내관의 바깥 측면들에는 내관 요철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2. 삭제
  3.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감기고, 감긴 부위들 사이가 결합 수지로 용착된 것으로,
    상기 프로파일은 4개의 내벽들을 갖고 길게 연장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둘레를 감싸는 외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관에는:
    상기 4개의 내벽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내벽들에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관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는 중앙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4개의 내벽들 중 상기 중앙 보강부의 양단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내벽들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각각 하나 이상씩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각 단부가 상기 중앙 보강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관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내관의 바깥 측면들에는 내관 요철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관의 바깥면들 중 상기 결합 수지와 결합되는 바깥면에는 외관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중앙 보강부가 상기 프로파일의 감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벽 하수관.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72451A 2009-08-06 2009-08-06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 KR10109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51A KR101095653B1 (ko) 2009-08-06 2009-08-06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51A KR101095653B1 (ko) 2009-08-06 2009-08-06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70A KR20110014870A (ko) 2011-02-14
KR101095653B1 true KR101095653B1 (ko) 2011-12-19

Family

ID=4377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451A KR101095653B1 (ko) 2009-08-06 2009-08-06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97B1 (ko) * 2013-06-13 2014-09-12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516B1 (ko) * 2006-05-06 2006-08-08 주식회사천마산업사 강성이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KR100741173B1 (ko) * 2006-09-27 2007-07-23 주식회사 중원 보강편이 형성된 프로파일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다층벽하수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516B1 (ko) * 2006-05-06 2006-08-08 주식회사천마산업사 강성이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KR100741173B1 (ko) * 2006-09-27 2007-07-23 주식회사 중원 보강편이 형성된 프로파일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다층벽하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70A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8375B (zh) 用于螺旋波纹形塑钢缠绕管的钢带增强复合带材
CN102689442B (zh) 中空滚压成型内肋增强缠绕波纹管及制造工艺
KR101095653B1 (ko)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
KR100741173B1 (ko) 보강편이 형성된 프로파일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다층벽하수관
KR200365608Y1 (ko) 합성수지관의 구조
KR101160052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1200091B1 (ko) 내경코팅부를 구비한 원료 절약형 폴리프로필렌 하수관
KR101532663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CN204477528U (zh) 一种钢塑复合螺纹波纹管
WO2012042666A1 (ja) 継手付き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接続構造
KR200352642Y1 (ko) 터널형 구조 복합관
CN202674796U (zh) 用于内肋增强缠绕波纹管的异型材及内肋增强缠绕波纹管
JP5770536B2 (ja) 製管用部材
WO2012031478A1 (zh) 一种双平壁管带材搭接结构及使用该结构的双平壁管
KR200231581Y1 (ko) 합성수지 삼중벽 평활관
FI115484B (fi) Putken valmistuksessa käytettävä onteloprofiili
KR101857091B1 (ko) 강성이 보강된 이중벽 합성수지관
KR101033215B1 (ko) 복합재료 풍력 타워 및 그 제조방법
CN110242802A (zh) 一种双高筋结构壁管
JP2015006744A (ja)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99475B1 (ko) 프로파일의 빈 공간을 순차적으로 막는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0533946B1 (ko) 소경관 일체형 다중 합성수지관
KR101132239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749463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CN219866706U (zh) 中空壁加筋缠绕波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