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736Y1 -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736Y1
KR200276736Y1 KR2020020007262U KR20020007262U KR200276736Y1 KR 200276736 Y1 KR200276736 Y1 KR 200276736Y1 KR 2020020007262 U KR2020020007262 U KR 2020020007262U KR 20020007262 U KR20020007262 U KR 20020007262U KR 200276736 Y1 KR200276736 Y1 KR 200276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rash
waste bin
bin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섭
Original Assignee
문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화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7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73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있어서, 분리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격실을 가지도록 분할되며 또한, 수거대상 쓰레기의 형태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갖는 수거함을 설치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쓰레기통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1 쓰레기통(20)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고, 개방부의 외주에 하부방향으로 삽입홈(40)이 형성되며, 제1 쓰레기통(20)의 바깥면 또는 내부면과 접해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쓰레기통(20)의 개방부의 가장자리가 삽입홈(40)에 삽입된 상태로 제1 쓰레기통(20)에 밀착되어 위치하는 제2 쓰레기통(30, 30')을 포함하며, 삽입홈(40)은 제2 쓰레기통(30, 30')의 외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분리수거용 쓰레기통{Dustbin for seperating collection}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분리 수거되는 쓰레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한 수거함들을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수거대상물의 양에 따라 수거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쓰레기통은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의 몸체로서, 일부의 쓰레기통은 개방된 쓰레기통의 입구에 뚜껑을 설치하여 쓰레기통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 음식물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음식물일 경우에는 그 냄새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쓰레기들은 재활용할 수 있는 것들과, 재사용 하지 못하는 것들 및, 음식물 쓰레기로 분리되어 처리되어야 한다. 이런 분리수거는 자연환경을 보호하며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런 쓰레기 분리수거는 전세계적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도 이런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해서 발생한 쓰레기를 분리하여 보관하는 다수 개의 쓰레기통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쓰레기통을 다수 개 배치해 두고 분리수거를 수행하다보면, 쓰레기통이 실내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버려지는 쓰레기의 종류별로 일정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한 예로서, 쓰레기통의 일정한 공간에 컵을 보관하여 수거하는 경우에 있어서, 무분별하게 적층하여 수거한 컵의 개수보다는 컵을 포개서 적층하여 수거한 컵의 개수가 훨씬 많다. 이와 같이, 버려지는 쓰레기의 형상과 구조에 따라 적합한 쓰레기통의 형상을 갖고 있으면 쓰레기통의 수거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으나, 종래의 쓰레기통은 단순 원통형의 형상으로서, 이와 같은 쓰레기통의 수거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자주 쓰레기통을 비워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쓰레기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분리된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수의 쓰레기통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차지하는 공간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쓰레기통의 내부와 외부에 제2 쓰레기통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쓰레기통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쓰레기통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컵을 수용하는 제2 쓰레기통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쓰레기통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7은 병원등에서 사용되는 대소변받이통을 걸어두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컵 20 : 제1 쓰레기통
30, 30' : 제2 쓰레기통 31 : 뚜껑
32 : 수직벽 33 : 수평면
35 : 수직면 40, 40' : 삽입홈
100 :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쓰레기통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1 쓰레기통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개방부의 외주에 하부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쓰레기통의 바깥면 또는 내부면과 접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쓰레기통의 개방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쓰레기통에 밀착되어 위치하는 제2 쓰레기통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2 쓰레기통의 외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2 쓰레기통의 개방부에는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이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 쓰레기통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2 쓰레기통은 상기 제1 쓰레기통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의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쓰레기통의 내부와 외부에 제2 쓰레기통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쓰레기통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쓰레기통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컵을 수용하는 제2 쓰레기통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쓰레기통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100)은 다른 종류의 쓰레기통(20, 30)들을 포함한다. 제1 쓰레기통(20)은 종래의 쓰레기통과 유사하게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쓰레기통이다.
한편, 이런 제1 쓰레기통(20)의 둘레에는 다수 개의 제2 쓰레기통(30)들이 위치한다. 이런 제2 쓰레기통(30)은 초승달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그 오목면은 제1 쓰레기통(20)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볼록면 또한 제1 쓰레기통(20)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그리고, 오목면과 볼록면이 만나는 부위는 라운드처리된 것이 양호한 구조의 제2 쓰레기통(30)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제2 쓰레기통(30)의 개방된 입구의 바깥방향으로는 삽입홈(40)이 형성되는데, 이런 삽입홈(40)은 제2 쓰레기통(30)의 수직벽(32)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면(33)과 이런 수평면(33)의 단부에서 수직벽(3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직면(35)의 안쪽 공간이다. 한편, 제2 쓰레기통(30)의 오목면과 볼록면이 접하는 부위에는 이런 수평면(33)과 수직면(35)이 절단되어 있다.
또한, 제2 쓰레기통(30)의 개방부에는 힌지결합된 뚜껑(31)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제2 쓰레기통(30)의 개방부를 개폐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설치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제1 쓰레기통(20)만이 존재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종래의 쓰레기통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분리 수거하여야 할 2종류의 쓰레기의 양이 각각 작을 경우에는 제2 쓰레기통(30)을 제1 쓰레기통(20)의 안쪽에 위치하여 설치한다. 즉, 제2 쓰레기통(30)을 제1 쓰레기통(20)의 안쪽에 위치하고 제2 쓰레기통(30)의 볼록면에 형성된 삽입홈(40)에 제1 쓰레기통(20)의 입구가 삽입되도록 위치한다. 이때, 제2 쓰레기통(30)의 볼록면과 오목면의 반경은 제1 쓰레기통(20)의 반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쓰레기통(30)이 제1 쓰레기통(20)의 안쪽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 쓰레기통(20, 30)을 설치하면 쓰레기통(100)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2종류의 쓰레기 중에서 어느 한 쓰레기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제2 쓰레기통(30)을 제1 쓰레기통(20)의 바깥면에 설치하는데, 이때 제2 쓰레기통(30)의 오목면이 제1 쓰레기통(20)의 바깥면과 접하도록 위치하고 오목면에 형성된 삽입홈(40)에 제1 쓰레기통(20)의 입구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제1 쓰레기통(20)에 많은 양의 쓰레기를 투입하고, 제2 쓰레기통(30)에는 작은 양의 쓰레기를 투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쓰레기통(20)에 총 4개의 제2 쓰레기통(30)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총 5종류의 쓰레기를 분리 수거할 수 있으며, 제1, 제2 쓰레기통(20, 30)이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쓰레기통(20, 30) 전체의 부피를 최대로 축소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제2 쓰레기통(30)의 형상이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응용하여 다른 형태의 제2 쓰레기통(30)을 제작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을 분리수거하기 위한 제2 쓰레기통(30')의 경우에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그 개방된 입구의 바깥쪽에 반원으로 삽입홈(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컵(1)을 분리 수거하는 제2 쓰레기통(30')은 제1 쓰레기통(20)의 안쪽에 제2 쓰레기통(30')을 위치하여 제1 쓰레기통(20)의 내면과 제2 쓰레기통(30')의 외면을 밀착한 후에 제2 쓰레기통(30')을 하향으로 이동하여 제2 쓰레기통(30')의 삽입홈(40')에 제1 쓰레기통(20)의 입구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컵(1)을 분리 수거하는 제2 쓰레기통(3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쓰레기통(30)의 입구의 반경이 폐쇄부의 반경보다 큰 역사다리꼴 구조를 갖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도 7은 병원등에서 사용되는 대소변받이통을 걸어두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쓰레기통(20")에는 병실 또는 수술실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분리 수거할 수 있는 제2 쓰레기통(30")이 체결되는데, 제2 쓰레기통(30")을 대신하여 병실에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배설한 대소변을 받아 내는 대소변통(50)을 수거하는 제2 쓰레기통(3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쓰레기통(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소변통(50)의 평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통으로서, 제1 쓰레기통(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들을 분리 수거할 수 있어 가정집 또는 분리수거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는 병원 및, 산업쓰레기 등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제2 쓰레기통의 입구에는 뚜껑이 설치되어 위생적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쓰레기의 배출량에 따라 수거하는 쓰레기통을 달리함으로써, 쓰레기통을 자주 비워야 하는 번거러움을 감소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배출되는 쓰레기의 모양과 형상에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2 쓰레기통이 제작되고 제1 쓰레기통에 설치됨으로써, 많은 양의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제2 쓰레기통에 뚜껑이 설치되어 위생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

  1. 쓰레기통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1 쓰레기통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개방부의 외주에 하부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쓰레기통의 바깥면 또는 내부면과 접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쓰레기통의 개방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쓰레기통에 밀착되어 위치하는 제2 쓰레기통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2 쓰레기통의 외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쓰레기통의 개방부에는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쓰레기통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2 쓰레기통은 상기 제1 쓰레기통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의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20020007262U 2002-03-12 2002-03-12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0276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62U KR200276736Y1 (ko) 2002-03-12 2002-03-12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62U KR200276736Y1 (ko) 2002-03-12 2002-03-12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736Y1 true KR200276736Y1 (ko) 2002-05-25

Family

ID=7305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262U KR200276736Y1 (ko) 2002-03-12 2002-03-12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7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5508A (zh) * 2019-09-11 2019-11-01 上海碧兰环保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社区电池垃圾分类桶
KR20210073789A (ko) 2019-12-11 2021-06-21 강유선 합체 분리가 가능한 3단 음료 쓰레기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5508A (zh) * 2019-09-11 2019-11-01 上海碧兰环保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社区电池垃圾分类桶
KR20210073789A (ko) 2019-12-11 2021-06-21 강유선 합체 분리가 가능한 3단 음료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59748A2 (en) Cassette for dispensing pleated tubing
KR10085111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276736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101639476B1 (ko) 분리수거함
KR20090028333A (ko)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05906Y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100748615B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20140002739U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200437809Y1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0305770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KR200351204Y1 (ko)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KR200295741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101232280B1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190026119A (ko) 1 회용 비닐봉투가 연속하여 제공되는 생리대 수거함
KR20090060729A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KR970004709Y1 (ko)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KR100361074B1 (ko) 거치대를 구비한 휴지통
KR20120002919U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용기
KR200350056Y1 (ko) 공중 쓰레기통
KR200486589Y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KR200452276Y1 (ko) 쓰레기봉투 내장형 쓰레기통
KR200300357Y1 (ko) 쓰레기통
KR200362970Y1 (ko) 오물수거통
KR200428781Y1 (ko) 음식쓰레기 압축 보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