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584Y1 -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임펠러 - Google Patents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임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584Y1
KR200276584Y1 KR2020020005134U KR20020005134U KR200276584Y1 KR 200276584 Y1 KR200276584 Y1 KR 200276584Y1 KR 2020020005134 U KR2020020005134 U KR 2020020005134U KR 20020005134 U KR20020005134 U KR 20020005134U KR 200276584 Y1 KR200276584 Y1 KR 200276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arc portion
blade
arc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경
Original Assignee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5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584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임펠러는 서어징 구간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종래의 시로코형 임펠러와 같이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베인을 필요로 하거나 블레이드의 치수가 확대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는 시로코형 임펠러의 장점을 모두 가지면서도 서어징 영역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별도의 흡입측 가이드 베인을 구비하지 않고도 다량의 공기를 송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서어징 영역을 발생시키지 않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IMPELLER HAVING BLADES OF AN IMPROVED SHAPE FOR A CENTRIFUGAL BLOWER}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고, 블레이드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별도의 흡입측 가이드 베인을 구비하지 않고도 다량의 공기를 송출할 수 있으며, 서어징 영역을 발생시키지 않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Impeller)에 관한 것이다.
송풍기는 공기조화장치, 환기장치 또는 기타의 통풍 장치에 사용되는 공기이송장치의 하나이다. 송풍기는 공기의 이송 방식에 따라 축류형과 원심형 송풍기로 나누어지며, 이 중 원심형 송풍기는 비교적 다량의 공기를 처리할 수 있어서 공기 조화용이나 환기용으로 특히 적합하다. 원심형 송풍기는 임펠러(Impeller)에서의 블레이드(Blade)의 형상과 배치에 따라, 다익형(多翼型), 방사형(Radial Type), 리미트 로드형(Limit Load Type) 및 에어포일 형(Airfoil Type) 등등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형에 따라 풍량이나 소음 또는 효율 등에 있어 고유의 특성을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시로코형(Sirocco Type 원심형 다익 송풍기의 임펠러(10)는 대략 40 내지 64 개의 다수의 블레이드(11)를 구비한다. 각각의 블레이드(11)는 그 내측단(12)으로부터 외측단(14) 까지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만곡되어 있으며, 만곡의 방향은 전곡형(forward curve)으로서 임펠러(10)의 회전 방향을관찰하였을 때 전방을 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블레이드(11)의 외측단(14)은 내측단(12)을 통과하는 법선(normal line; N) 보다 임펠러(10)의 회전 방향의 전방에 배치되며, 블레이드(11)의 곡률 반경의 중심(C)도 블레이드(11)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시로코형 임펠러(10)에 의하면, 블레이드(11)는 그 형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공기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며,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송출 방향은 임펠러(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전방을 향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리미트 로드형 임펠러(20)는 대략 6 내지 12 개의 블레이드(21)를 가지며, 각각의 블레이드(21)는 이중으로 만곡되어 변곡점(27)이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즉, 블레이드(21)는 변곡점(27)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 원호부(25) 및 외측 원호부(26)를 가진다. 내측 원호부(25)의 곡률 반경의 중심(C1)은 임펠러(20)의 회전 방향에서 볼 때 블레이드(21)의 전방에, 그리고 외측 원호부(26)의 반경 중심(C2)은 블레이드(21)의 후방에 배치된다.
시로코형 임펠러(10)의 경우와는 반대로, 리미트 로드형 임펠러(20)에서는, 블레이드(21)의 외측단(24)은 내측단(22)을 통과하는 법선(N) 보다 임펠러(20)의 회전 방향으로 볼 때 후방에 배치된 후곡형(backward curve)이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21)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가 되며, 공기의 송출 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시로코형 임펠러(10)의 경우와는 반대로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후방을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로코형 임펠러(10)는 동일 지름 및 동일 회전수에서가장 많은 풍량을 얻을 수 있어서 각종의 공기조화기, 급ㆍ배기용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11)의 형상으로부터 비롯되는 구조적인 특징이 유체 역학적으로 무리한 승압을 일으키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고속 회전에 적합하지 않고 높은 압력을 얻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어징(surging)의 발생영역이 넓다. 서어징이란 풍량 및 풍압에 맥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서어징 영역에서는 진동과 소음이 커므로 송풍기의 운전이 거의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리미트 로드형 임펠러(20)는 서어징 영역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20)의 수에 한계가 있어 최대 16개 이상의 블레이드(20)를 가지기 어렵고, 풍량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동일한 풍량에서는 블레이드(20)의 크기가 다른 기종에 비해 125% 를 가지는 것이 보통이고, 이로인해 흡입측에 별도의 가이드 베인(guide vane)을 설치해야 한다. 그러므로, 송풍기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대하고 가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시로코형 임펠러의 장점을 모두 가지면서도 서어징 영역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별도의 흡입측 가이드 베인을 구비하지 않고도 다량의 공기를 송출할 수 있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로코형 임펠러의 개략적인 일부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리미트 로드형 임펠러의 개략적인 일부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의 사시도 및 일부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임펠러의 개략적인 일부 평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임펠러에 구비된 블레이드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일부 확대 평단면도.
도 7은 도 3의 임펠러의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 은 종래의 시로코형 임펠러에 대한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임펠러 110 : 블레이드
112 : 내측단 114 : 외측단
120 : 내측 원호부 130 : 외측 원호부
140 : 변곡점 102 : 보스
104 : 주판 108 : 환형판
N1, N2 : 제 1,2 법선 M : 가상선
C, C1, C2 : 곡률 중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는, 임펠러의 회전축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는 평행하게 정열되고 가로 방향으로는 방사상으로 연장ㆍ정열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가로방향 단면(斷面)상에서 볼 때, 상기 블레이드 각각은 변곡점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 원호부와 외측 원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 원호부와 상기 외측 원호부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고, 상기 내측 원호부의 호의 길이는 상기 외측 원호부의 호의 길이 보다 길게 마련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측을 전방이라 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측을 후방이라 할 때, 상기 내측 원호부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상기 내측 원호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원호부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상기 외측 원호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단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과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단을 통과하는 제 1 법선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임펠러의 회전방향측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측을 후방이라 하며, 길이의 단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mm로 하고 그 단위를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의 사시도 및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임펠러의 개략적인 일부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임펠러에 구비된 블레이드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00)는 회전축(도시 생략)이 끼워지는 보스(102)를 구비한다. 보스(102)에는 모자(cap)형으로 만곡된 단면(段面)을 가지는 주판(104)의 중앙부측이 조립되는데, 주판(104)의 테두리부측은 보스(102)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게 연장한다. 보스(102)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하는 주판(104)의 테두리부에는 임펠러(100)의 블레이드들(110)의 일단이 직각으로 조립되고, 블레이드들(110)의 타단은 측판(108)에 조립된다. 따라서, 블레이드들(110)은 세로방향으로는 임펠러(100)의 회전축이 되는 보스의 중심축(X)에 대해 평행하고, 가로방향으로는 중심축(X)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정열된다. 블레이드들(110)은 주판(104)에 의해 지지되고, 측판(108)은 별도의 지지체가 없으므로 블레이드들(1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임펠러(100)에서는 회전축에 의해 보스(102)가 회전함으로써 다수의 블레이드들(11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00)의 회전방향인 전방으로 공기를 송출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임펠러(100)의 각각의 블레이드(110)는 변곡점(140)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 원호부(120) 및 외측 원호부(130)를 가진다. 내측 원호부(120)의 곡률 반경의 중심(C1)은 임펠러(100)의 회전 방향에서 볼 때 내측 원호부(120)의 전방에, 그리고 외측 원호부(130)의 반경 중심(C2)은 외측 원호부(130)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블레이드(110)의 외측단(114)은 내측단(112)을 통과하는 제 1 법선(normal line; N1) 보다 임펠러(110)의 회전 방향으로 볼 때 전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블레이드(110)의 각 부분의 치수는 적절하게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한 임펠러(100)의 각종 형상의 블레이드(110)에 대한 성능 시험의 결과에 따르면, 내측 원호부(120)와 외측 원호부(130)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질 때 내측 원호부(120)의 호의 길이가 외측 원호부(130)의 호의 길이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 원호부(120)의 호의 길이 : 외측 원호부(130)의 호의 길이 = 34 : 11 내지 23 : 15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단(114)과 내측단(112)을 통과하는 가상선(M)을 그었을 때, 외측단(114)를 지나는 제 2 법선(N2)과 상기 가상선(M)과의 교각은 22°내지 3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내측 원호부(120)와 외측 원호부(130)는 각각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내측 원호부(120)의 곡률 반경이 외측 원호부(130)의 곡률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는, 임펠러(100)의 외측 반경 즉, 보스(102)의 중심축에서 블레이드(110)의 외측단(114) 까지의 거리는 151㎜이며, 내측 원호부(120) 및 외측 원호부(130)는 다 같이 16의 곡률 반경을 가진다. 그리고, 내측 원호부(120)의 호의 길이는 27㎜인 반면에, 외측 원호부(130)의 호의 길이는 13㎜ 이다. 또한, 상기 가상선(M)과 제 2 법선(N2)과의 교각은 25°이다. 이들 치수를 임펠러(100)의 외경(d)에 대해 환산하여 보면, 외측 반경은0.5d, 내측 원호부(120) 및 외측 원호부(130) 각각의 곡률 반경은 0.053d, 내측 원호부(120)의 호의 길이는 0.09d, 그리고 외측 원호부(130)의 호의 길이는 0.043d가 된다.
한편, 표 1과 도 7에는, 도 6의 임펠러(100)에 대한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 및 그래프로 각각 나타내었으며, 표 2와 도 8에는 본 고안의 임펠러(100)와의 비교를 위해 종래의 시로코형 임펠러(10)에 대한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 및 그래프로 각각 나타내었다. 도 7과 도 8의 그래프에서, 곡선 R, W, P 및 E 는 각각 임펠러의 회전수, 소비 전력, 풍압 및 정압 효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정압 효율은 공기 동력을 소비 전력으로 나눈 값이며, 공기 동력은 정압에 풍량을 곱한 후 6120 을 나누어 구해지는 값이다.
항목 풍량 동압 정압 정압 효율 소비전력 소음
단위 (m3/min) (mmAq) (mmAq) (%) (Watt) (dBA)
1 7.31 0.21 63.39 17.61 429.70 69.38
2 16.68 0.95 63.27 31.09 554.40 73.83
3 35.43 4.30 49.58 32.10 893.63 76.42
4 52.11 9.30 25.34 16.07 1342.72 81.33
5 59.43 11.89 9.56 5.92 1565.70 83.44
항목 풍량 동압 정압 정압 효율 소비전력 소음
단위 (m3/min) (mmAq) (mmAq) (%) (Watt) (dBA)
1 8.31 0.29 49.55 16.82 400.02 67.90
2 18.06 1.13 57.48 32.78 517.27 69.27
3 34.50 4.24 42.24 29.19 815.48 73.82
4 51.81 9.53 22.79 15.25 1264.40 79.55
5 57.53 11.24 9.02 5.62 1508.93 82.39
도 7과 도 8의 그래프에서 독립 변수는 풍량이며, 각각의 곡선은 풍량의 변화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표 1 및 표 2, 그리고 도 7 및도 8을 각각 서로 비교해 보면, 독립 변수인 풍량의 변화에 따른 종속 변수들 중 정압 효율이나 소음등의 값은 거의 비슷함을 알 수 있으며, 다만 풍량이 약 20 m3/min 이하인 구간에서 정압의 측정치 만이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서어징 구간의 존재 여부를 나타낸다.
즉, 서어징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풍량 및 풍압이 맥동하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풍량에 대한 풍압 곡선에서는 증가하는 구간으로 표시되며, 이러한 서어징 구간이 도 8에서는 구간 S로서 나타나는 데 반해 도 7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종래의 시로코형 임펠러(10)에서 발생하는 넓은 서어징 구간이 본 고안의 임펠러(100)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음을 표 1 및 표 2, 그리고 도 7 및 도 8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임펠러는 서어징 구간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종래의 시로코형 임펠러와 같이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베인을 필요로 하거나 블레이드의 치수가 확대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임펠러는 시로코형 임펠러의 장점을 모두 가지면서도 서어징 영역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별도의 흡입측 가이드 베인을 구비하지 않고도 다량의 공기를 송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서어징 영역을 발생시키지 않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사상의 범위안에서 다양한 변형, 수정 및 부가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Claims (4)

  1. 임펠러의 회전축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는 평행하게 정열되고 가로 방향으로는 방사상으로 연장ㆍ정열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가로방향 단면(斷面)상에서 볼 때, 상기 블레이드 각각은 변곡점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 원호부와 외측 원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 원호부와 상기 외측 원호부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고, 상기 내측 원호부의 호의 길이는 상기 외측 원호부의 호의 길이 보다 길게 마련되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측을 전방이라 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측을 후방이라 할 때,
    상기 내측 원호부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상기 내측 원호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원호부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상기 외측 원호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단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과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단을 통과하는 제 1 법선 보다 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원호부의 호의 길이 : 상기 외측 원호부의 호의 길이 = 34 : 11 내지 23 : 15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과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단을 통과하는 직선인 제 2 법선과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단과 내측단을 통과하는 직선인 가상선과의 교각은 22°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외경을 d 라고 할 때,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단 까지의 거리는 0.5d, 상기 내측 원호부 및 상기 외측 원호부 각각의 곡률 반경은 0.053d, 상기 내측 원호부의 호의 길이는 0.09d 및 상기 외측 원호부의 호의 길이는 0.043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KR2020020005134U 2002-02-21 2002-02-21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임펠러 KR200276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134U KR200276584Y1 (ko) 2002-02-21 2002-02-21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임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134U KR200276584Y1 (ko) 2002-02-21 2002-02-21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임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584Y1 true KR200276584Y1 (ko) 2002-05-24

Family

ID=7308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134U KR200276584Y1 (ko) 2002-02-21 2002-02-21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임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5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956B1 (ko) * 2016-10-06 2018-02-21 주식회사 팬직 송풍기용 임펠러
WO2018070643A1 (ko) * 2016-10-10 2018-04-19 소애련 후향 이중구배 단면 형상 깃 원심임펠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956B1 (ko) * 2016-10-06 2018-02-21 주식회사 팬직 송풍기용 임펠러
WO2018070643A1 (ko) * 2016-10-10 2018-04-19 소애련 후향 이중구배 단면 형상 깃 원심임펠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809B1 (ko)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US20210388839A1 (en) Counter-rotating fan
EP1704792B1 (en) Hair dryer
JPS63124900A (ja) 軸流送風機
US11391295B2 (en) Propeller fan
US7008189B2 (en) Centrifugal fan
KR101913147B1 (ko) 후향 이중구배 단면 형상 깃 원심임펠러
JP2001501284A (ja) 軸流ファン
US3059833A (en) Fans
US20170023001A1 (en) Centrifugal fan
KR200276584Y1 (ko)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임펠러
CN107313977B (zh) 离心风叶、离心风机和空调器
US6425739B1 (en) In-line centrifugal fan
KR100806149B1 (ko) 저소음형 송풍팬
US11536288B2 (en) Propeller fan
KR20000012664A (ko) 개선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원심형 송풍기용 임펠러
JP2019019759A (ja) 遠心ファンインペラおよび当該遠心ファンインペラを備える遠心ファン
JP4534477B2 (ja) ガス燃焼装置
CN113864210A (zh) 一种风机组件
KR20170116754A (ko) 고정압 원심임펠러
KR101817956B1 (ko) 송풍기용 임펠러
KR20060089870A (ko) 터보팬
CN113123977A (zh) 风机、空调室外机和空调器
CN219119506U (zh) 离心风机叶轮、离心风机及通气治疗设备
CN115523161B (zh) 一种低压轴流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