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213Y1 - Support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Support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213Y1
KR200276213Y1 KR2020020005968U KR20020005968U KR200276213Y1 KR 200276213 Y1 KR200276213 Y1 KR 200276213Y1 KR 2020020005968 U KR2020020005968 U KR 2020020005968U KR 20020005968 U KR20020005968 U KR 20020005968U KR 200276213 Y1 KR200276213 Y1 KR 200276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ailstock
main shaft
pulle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9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의열
강성규
김상회
Original Assignee
소의열
강성규
김상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의열, 강성규, 김상회 filed Critical 소의열
Priority to KR2020020005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21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213Y1/en

Links

Abstract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축과 심압대축이 동기되어 가공물의 떨림현상 및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초소형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홀더장치는 연삭기의 이송테이블 상부에 고정되는 베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베드부의 상부면 상에는 동기부, 주축부 및 심압대부가 배치된다. 동기부는 베드부의 상부면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는 제 1, 제 2 지지대에 장착되면서 외주면 상에는 제 1, 제 2, 제 3 회전풀리가 장착된 동기축 및 동기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3 회전풀리와 제 1 동력전달벨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4 회전풀리를 가지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주축부는 주축지지대와, 주축지지대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주축센터가 장착된 주축을 한정하는 주축하우징을 구비한다. 이때. 주축에는 제 1 회전풀리와 제 2 동력전달벨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5 회전풀리가 장착된다. 한편, 심압대부는 심압대지지대 및 심압대지지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주축센터와 마주보는 심압대센터가 장착된 심압대축을 한정하는 심압대하우징을 구비한다. 이때 심압대축에는 제 2 회전풀리와 제 3 동력전달벨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6 회전풀리가 장착된다.A second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is disclosed, which is capable of processing a small and high quality workpiece by not only being restricted by a place but also preventing the shaking and slip of the workpiece by synchronizing the main shaft and the tailstock shaft.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ed portion fixed to the transfer table top of the grinding machi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portion, the synchronization portion, the main shaft portion and the tailstock portion are disposed. The third synchronization unit is moun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and rotates the synchronization shaft and the synchronization shaft o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pulleys ar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drive motor having a fourth rotating pulley connected by the pulley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belt. The main shaft portion includes a main shaft support and a main shaft housing that is slidably disposed on the main shaft support and defines a main shaft in which the main shaft center is mounted. At this time. The main shaft is equipped with a fifth rotating pulley connected by the first rotating pulley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belt. On the other hand, the tailstock portion is slidably arranged on the upper end of the tailstock support and the tailstock support and has a tailstock housing defining a tailstock shaft equipped with a tailstock center facing the spindle center. At this time, the tailstock shaft is equipped with a sixth rotation pulley connected by the second rotation pulley and the third power transmission belt.

Description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Support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Support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 {Support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

본 고안은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연삭기의 이송테이블에 설치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주축과 심압대축을 같은 속도비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축과 심압대축이 동기되어 가공물의 떨림현상 및 슬립(slip)현상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초소형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installed on a transfer table of a conventional grinding machine, and is also restricted by a place by rotating the main shaft and the tailstock shaft at the same speed ratio by using one driving moto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capable of processing high quality micro work pieces by preventing the shaking and slip of the work by synchronizing the main shaft and the tailstock shaft.

일반적으로, 연삭기는 공구연삭, 원통연삭, 평면연삭, 내경연삭 및 고정밀 공구 연삭과 같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연삭에 사용되는 연삭기의 종류는 크게 공구연삭기, 원통연삭기, 평면연삭기, 내경연삭기 등이 있다. 여기서 기존 연삭기는 연삭숫돌과 주축대의 회전에 의해서 연삭이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떨림현상과 슬립(slip)현상이 발생하여 요구되는 정밀도와 표면 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초소형 제품의 연삭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grinding machines are used in such fields as tool grinding, cylindrical grinding, planar grinding, internal grinding and high precision tool grinding. The types of grinding machines used for grinding include tool grinding machines, cylindrical grinding machines, planar grinding machines, and internal grinding machines. Here, the existing grinding machine is ground by the grinding wheel and the spindle, so the shaking and slip of the product occur, causing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required precision and surface roughness. There was a problem.

한편, 최근 전자 및 반도체 등의 첨단 분야의 발달로 여러 가지 첨단 기계들이 소형 및 경량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부품 또한 소형화되고 있으며 초정밀 가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소형,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려면 우선적으로 가공을 위한 초정밀 장치와 초정밀공구들이 개발되어야 하는데, 초정밀 공구를 제작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경제적인 면이나 효율적인 면을 고려할 때, 연삭 가공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high-tech fields such as electronics and semiconductors, various high-tech machines are becoming smaller and lighter. Therefore, 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parts are also miniaturized and ultra precision machining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achieve such a small and precise machining, ultra-precision devices and ultra-precision tools have to be developed first, and various methods for manufacturing ultra-precision tools have been proposed, but considering the economical and efficient aspects, grinding processing methods This is known to be the best.

일반적인 가공 혹은 공구들을 가공할 경우에 범용 연삭기가 주로 사용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연삭 장치들은 다양한 가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에는 편리하나, 제품이 아주 작을 경우에는 장착이 어려우며, 가공 중에 떨림 및 진동 현상이 생기고, 특히 제품을 지지하는 심압대 부분이 동일 회전수로 회전되지 않아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가공물 표면에 손상이 일어나고, 간헐적인 정지현상에 의해서 제품표면이 긁혀 무늬가 형성되어 조도를 나쁘게 하여 가공이 불량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general purpose grinder is mainly used for general machining or tools. However, these general grinding devices are convenient to use because they are manufactured for various processing purposes, but when the product is very small,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m, and vibration and vibration occur during processing, especially the tailstock part supporting the product rotates in the same way. Since it does not rotate by water, friction occurs.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is damaged, the surface of the product is scratched due to the intermittent stop phenomenon, the pattern is formed, the roughness is bad, and the processing is poo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 공작기계의 베드위에 설치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주축과 심압대축을 같은 속도비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축과 심압대축이 동기되어 가공물의 떨림현상 및 슬립(slip)현상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초소형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an be installed on the bed of a general machine tool, but also by rotating the main shaft and tailstock shaft at the same speed ratio by using a single drive mo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that can process high quality micro work pieces by not only being restricted by a place but also preventing the shaking and slip of the work by synchronizing the main shaft and the tailstock shaf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의 정면도이며, 그리고FIG. 2 is a front view of the auxiliary holder device for the grinding machine shown in FIG. 1, an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shown in FIG.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보조 홀더장치 110 : 베드부100: auxiliary holder device 110: bed part

120 : 동기부 122a : 제 1 지지대120: synchronizer 122a: first support

122b : 제 2 지지대 124 : 동기축122b: second support 124: synchronous shaft

126 : 구동모터 130 : 주축부126: drive motor 130: spindle

132 : 주축지지대 134 : 더브테일홈132: spindle support 134: dovetail groove

136 : 피니언 138 : 제 1 이송레버136: pinion 138: first transfer lever

140 : 주축하우징 142 : 주축140: spindle housing 142: spindle

148 : 더브테일돌기 150 : 심압대부148: dovetail protrusion 150: tailstock

152 : 심압대지지대 154 : 엘엠가이드레일152: tailstock support 154: LM guide rail

158 : 이송레버브라켓 160 : 심압대하우징158: conveying lever bracket 160: tailstock housing

162 : 심압대축 166 : 제 2 이송레버162: tailstock shaft 166: second feed lever

168 : 엘엠가이드블록168: LM Guide Block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통상의 연삭기의 이송테이블에 형성된 티이(T)홈 및 티이(T)홈 볼트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턱이 각각 형성되며 중앙에는 가공물의 정밀한 각도 연삭을 위한 기준핀이 장착된 베드부;Fixed jaws are formed on both sides to be fixed by a tie (T) groove and a tie (T) groove bolt formed in a transfer table of a conventional grinding machine, and a bed part equipped with a reference pin for precise angular grinding of a workpiece in the center thereof. ;

베드부의 상부면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는 제 1 지지대 및 제 2 지지대와, 제 1 지지대 및 제 2 지지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은 제 1 지지대의 외부로 연장되는 동기축과, 동기축의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 1 회전풀리 및 제 2 회전풀리, 제 3 회전풀리와, 제 3 회전풀리와 제 1 동력전달벨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4 회전풀리가 형성된 구동모터를 갖는 동기부;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synchronous axis pivotally mounted to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one end extending outward of the first support, and A synchronizer having a first and second rotary pulleys mounted on one end and the other end, a third rotary pulley, and a driving motor having a fourth rotary pulley connected by the third rotary pulley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belt. ;

제 1 지지대의 일측 베드부 상에 고정배치되는 주축지지대와, 주축지지대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주축센터가 장착된 주축을 한정하는 주축하우징과, 주축에 장착되어 제 1 회전풀리와 제 2 동력전달벨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5 회전풀리를 갖는 주축부; 및A main shaft support fixed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a main shaft housing slidably disposed above the main support, and a main shaft housing defining a main shaft in which the main shaft center is mounted; A main shaft portion having a fifth rotary pulley connected by two power transmission belts; And

제 2 지지대 및 구동모터 사이에 고정배치되는 심압대지지대와, 심압대지지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주축센터와 마주보는 심압대센터가 장착된 심압대축을 한정하는 심압대하우징과, 심압대축에 장착되어 제 2 회전풀리와 제 3 동력전달벨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6 회전풀리를 갖는 심압대부로 이루어진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를 제공한다.A tailstock housing that is fixedly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and the driving motor, and a tailstock housing that is slidably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tailstock support and has a tailstock center in which the tailstock center faces the main shaft center; Provided is an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comprising a tailstock portion attached to the tailstock shaft and having a sixth rotation pulley connected by a second rotational pulley and a third power transmission bel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 공작기계의 베드위에 설치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주축과 심압대축을 같은 속도비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축과 심압대축이 동기되어 가공물의 떨림현상 및 슬립(slip)현상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초소형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be installed on the bed of a general machine tool but also rotates the main shaft and the tailstock shaft at the same speed ratio by using a single drive motor, so that the main shaft and the tailstock are not restricted in place. Synchronization of the large axis prevents the shaking and slipping of the workpiece, thereby processing high-quality miniature workpiece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의 정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shown in Figure 1 to be.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100)는 회전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통상의 연삭숫돌(10)이 장착된 연삭기(도시되지 않음)의 이송테이블(도시되지 않음)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베드부(110) 및 베드부(110)의 상부면 상에 장착되는 동기부(120), 주축부(130) 및 심압대부(150)를 구비한다.1 and 2, the auxiliary holder device 100 for a gri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inding machine (not shown)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grinding wheel 10 for driving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motor 12 Bed portion 110 disposed on the transfer surface (not shown) and the synchronization portion 120, the main shaft portion 130 and the tail stock 150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110 do.

먼저, 베드부(110)는 연삭기의 이송테이블에 형성된 티이(T)홈 및 티이(T)홈 볼트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양단에 계단형상의 고정턱(112)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베드부(110)의 중앙에는 가공물의 정밀한 각도 연삭을 위한 기준핀(114)이 장착된다.First, the bed 110 has stepped fixing jaw 112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be fixed by a tie (T) groove and a tie (T) groove bolt formed on the transfer table of the grinding machine. In the center of the bed 110, a reference pin 114 for precise angular grinding of the workpiece is mounted.

동기부(120)는 제 1 지지대(122a), 제 2 지지대(122b), 동기축(124) 및 구동모터(126)를 구비한다. 제 1 지지대(122a) 및 제 2 지지대(122b)는 베드부(110)의 상부면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며, 제 1 지지대(122a) 및 제 2 지지대(122b)에는 동기축(124)이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동기축(124)의 일단은 제 1 지지대(122a)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 1 회전풀리(P1)가 장착되며, 동기축(124)의 타단 인접한 제 2 지지대(122b)의 내측에는 제 2 회전풀리(P2) 및제 3 회전풀리(P3)가 각각 장착된다.The synchronizer 120 includes a first support 122a, a second support 122b, a synchronization shaft 124, and a driving motor 126. The first support 122a and the second support 122b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part 110, and the synchronization shaft 124 is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122a and the second support 122b. It is pivotally mounte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ynchronous shaft 124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 (122a) is mounted to the first rotary pulley (P1),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122b)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ynchronous shaft (124) The second rotary pulley P2 and the third rotary pulley P3 are mounted, respectively.

한편, 구동모터(126)는 제 2 지지대(122b)의 배면의 베드부(110)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26)에는 회전속도를 변환할 수 있는 기어박스(127) 및 제 4 회전풀리(P4)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4 회전풀리(P4)는 제 1 동력전달벨트(V1)에 의해서 제 3 회전풀리(P3)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회전풀리(P1) 및 제 2 회전풀리(P2)는 3단 고장력풀리를 채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motor 126 is mounted to the bed portion 110 on the back of the second support (122b). The drive motor 126 is equipped with a gear box 127 and the fourth rotary pulley (P4) capable of converting the rotational speed. The fourth rotary pulley P4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third rotary pulley P3 by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belt V1. Preferably, the first rotary pulley P1 and the second rotary pulley P2 adopt a three-stage high tensile pulley.

주축부(130)는 제 1 지지대(122a)의 일측에 고정배치되는 주축지지대(132) 및 주축지지대(132)의 상부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주축하우징(140)을 구비한다. 이러한 주축지지대(132)의 상부면 상에는 더브테일홈(134)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압축스프링(137)이 배치되며, 압축스프링(137)의 일측에는 피니언(136)이 배치된다. 이때, 피니언(136)은 주축지지대(132)의 상부로 노출되며, 피니언(136)에는 주축지지대(132)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이송레버(138)가 장착된다. 한편, 주축하우징(140)은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된 주축(142)을 한정한다. 이러한 주축(142)의 일단에는 제 2 동력전달벨트(V2)에 의해서 제 1 회전풀리(P1)와 연결되는 제 5 회전풀리(P5)가 장착되며, 주축(142)의 타단에는 주축센터(144)가 장착된다. 이때, 주축하우징(140)의 하부에는 피니언(136)에 맞물리면서 압축스프링(137)을 선택적으로 압축시키는 랙크(146)가 형성되며, 랙크(146)의 일측에는 더블테일홈(134)에 대응하는 더블테일돌기(148)가 형성된다.The main shaft unit 130 includes a main shaft support 132 fixed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122a and a main shaft housing 140 slidably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support 132. The dovetail groove 13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haft support 132, the compression spring 137 is disposed inside, the pinion 136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ion spring 137. At this time, the pinion 136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indle support 132, the pinion 136 is mounted with a first conveying lever 138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spindle support (132). On the other hand, the main shaft housing 140 defines a main shaft 142 horizontally disposed therein. One end of the main shaft 142 is equipped with a fifth rotary pulley P5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pulley P1 by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belt V2,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shaft 142 is the main shaft center 144. ) Is mounted. 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shaft housing 140 is engaged with the pinion 136 and a rack 146 for selectively compressing the compression spring 137 is formed, one side of the rack 146 corresponding to the double tail groove 134 Double tail protrusion 148 is formed.

바람직하게는, 주축지지대(132)의 일단에는 제 2 동력전달벨트(V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 장력풀리(Q1)가 장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5회전풀리(P5)는 제 1 회전풀리(P1) 및 제 2 회전풀리(P2)와 마찬가지로 3단 고장력풀리를 채택한다.Preferably, the first tension pulley Q1 may be mounted at one end of the main shaft support 132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belt V2. More preferably, the fifth rotary pulley P5 adopts a three-stage high tensile pulley similarly to the first rotary pulley P1 and the second rotary pulley P2.

한편, 심압대부(150)는 제 2 지지대(122b) 및 구동모터(126) 사이에 베드부(110)에 고정배치되는 심압대지지대(152) 및 심압대지지대(152)의 상부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심압대하우징(160)을 구비한다. 이러한 심압대지지대(152) 상부면 상에는 엘엠(LM)가이드레일(154)이 형성된다. 그리고 심압대지지대(152)의 일단에는 내주면 상에 암나사가 형성된 이송공(156)이 천공된 이송레버브라켓(158)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장착된다. 한편, 심압대하우징(160)은 주축(142)과 평행하게 배치된 심압대축(162)을 한정한다. 이러한 심압대축(162)의 일단에는 주축센터(144)와 마주보는 심압대센터(164)가 장착되고, 타단에는 제 2 회전풀리(P2)와 제 3 동력전달벨트(V3)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6 회전풀리(P6)가 장착된다. 이때, 제 6 회전풀리(P6)에 인접하게는 제 3 동력전달벨트(V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2 장력풀리(Q2)가 배치되며, 심압대하우징(160)의 일단에는 이송공(156)에 관통결합되면서 원주면 상에는 이송공(156)의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된 제 2 이송레버(166)가 심압대하우징(160)의 외부로 연장되고, 하부면 상에는 엘엠가이드레일(154)에 대응하는 엘엠가이드블록(168)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tail stock 150 is slid on the top surface of the tail stock support 152 and the tail stock support 152 fixedly disposed on the bed 110 between the second support 122b and the drive motor 126. The tailstock housing 160 is arranged to be possi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il stock support 152, an LM guide rail 154 is formed. Then, one end of the tail stock supporter 152 is mounted with the transfer lever bracket 158 which is formed with a female hol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ed hole 156. Meanwhile, the tailstock housing 160 defines the tailstock shaft 162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main shaft 142. One end of the tailstock shaft 162 is equipped with the tailstock center 164 facing the main shaft center 144, the other end is connected by the second rotary pulley (P2) and the third power transmission belt (V3). 6 Rotating pulley (P6) is mounted. At this time, the second tension pulley (Q2) is dispos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third power transmission belt (V3) adjacent to the sixth rotation pulley (P6), one end of the tailstock housing 160, the transfer hole ( The second transfer lever 166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tail stock housing 160 while the second transfer lever 166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s a 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of the transfer hole 156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LM guide block 168 corresponding to) is formed.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xiliary holder device 100 for a grinding machine form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작업자는 홀더장치(100)를 통상의 연삭기의 이송테이블 위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홀더장치(100)가 고정되면,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을 주축부(130)와 심압대부(150) 사이에 장착시킨다.First, in order to use the auxiliary holder device 100 for a gri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or first fixes the holder device 100 on a transfer table of a conventional grinding machine. When the holder device 100 is fixed in this way,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is mounted between the main shaft portion 130 and the tail stock portion 150.

이렇게 주축부(130)와 심압대부(150) 사이에 가공물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가공물의 길이에 맞추어 심압대하우징(160)을 선택적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이송레버브라켓(158)을 관통하여 장착된 제 2 이송레버(168)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심압대하우징(160)은 엘엠가이드블럭(168) 및 엘엠가이드레일(154)에 의해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심압대하우징(160)이 이송완료되면, 가공물의 일단을 심압대센터(164)에 밀착시킨 상태 하에서 주축센터(144)에 가공물의 타단을 밀착시켜 주축부(130)와 심압대부(150) 사이에 가공물을 장착한다. 이때, 주축센터(144)에 가공물의 타단을 밀착시키기 위해서 작업자는 주축지지대(132)에 형성된 제 1 이송레버(13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이송레버(138)는 피니언(136)을 회전시키고 피니언(136)은 랙크(146)를 직선운동시킨다. 이때, 랙크(146)는 일측으로 이송하면서 피니언(136)의 일측에 배치된 압축스프링(137)을 압축하며서 주축하우징(140)은 더브테일홈(134) 및 더브테일돌기(148)에 의해서 일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작업자는 가공물의 타단을 주축센터(144)에 인접하게 배치시킨 상태 하에서 제 1 이송레버(138)를 놓으면 압축스프링(137)은 랙크(146)를 밀게되고, 그 결과 주축하우징(140) 및 주축센터(144)는 더브테일홈(134) 및 더브테일돌기(148)을 따라서 심압대부(150) 측으로 이송하게되어 가공물의 타단을 강력밀착하게된다.In order to mount the workpiece between the main shaft 130 and the tailstock 150, the tailstock housing 160 is selectively trans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workpiece. At this time,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second conveying lever 168 mounted through the conveying lever bracket 158 to one side, the tail stock housing 160 is conveyed by the LM guide block 168 and the LM guide rail 154. do. When the tailstock housing 160 is transferred in this manner, the other end of the workpie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pindle center 144 under one state of contact with the tailstock center 164. Mount the workpiece between the). At this time, in order to bring the other end of the workpiec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pindle center 144, the operator rotates the first feed lever 138 formed on the spindle support 132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feed lever 138 is the pinion 136. The pinion 136 rotates the rack 146 linearly. At this time, the rack 146 compresses the compression spring 137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inion 136 while conveying to one side, and the main shaft housing 140 has one side by the dovetail groove 134 and the dovetail protrusion 148. Is transferred to. At this time, when the operator places the first transfer lever 138 under the stat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workpiec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pindle center 144, the compression spring 137 pushes the rack 146, and as a result, the spindle housing 140. And the main shaft center 144 is transferred to the tailstock portion 150 side along the dovetail groove 134 and the dovetail protrusion 148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workpiece.

이렇게 가공물이 주축대부(130)와 심압대부(150) 사이에 장착되면, 작업자는구동모터(126)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126)를 회전시킨다. 회전하는구동모터(126)는 제 4 회전풀리(P4)를 회전시키고, 제 4 회전풀리(P4)는 제 1 동력전달벨트(V1)에 의해서 연결돤 제 3 회전풀리(P3)를 회전시킨다. 그 결과 제 1 회전풀리(P1) 및 제 2 회전풀리(P2)가 장착된 동기축(124)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기축(124)과 함께 회전하는 제 1 회전풀리(P1) 및 제 2 회전풀리(P2)는 다시 제 2 동력전달벨트(V2) 및 제 3 동력전달벨트(V3)에 의해서 연결된 제 5 회전풀리(P5) 및 제 6 회전풀리(P6)를 회전시킨다. 이렇게 제 5 회전풀리(P5) 및 제 6 회전풀리(P6)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 5 회전풀리(P5) 및 제 제 6 회전풀리(P6)와 연결된 주축(142) 및 심압대축(162)을 회전하게되고, 그 결과 주축센터(144) 및 심압대센터(164) 사이에 장착된 가공물을 회전하게된다.When the workpiece is mounted between the main shaft unit 130 and the tailstock unit 150, the operator applies power to the drive motor 126 to rotate the drive motor 126. The rotating drive motor 126 rotates the fourth rotary pulley P4, and the fourth rotary pulley P4 rotates the third rotary pulley P3 connected by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belt V1. As a result, the synchronous shaft 124 on which the first rotary pulley P1 and the second rotary pulley P2 are mounted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otary pulley P1 and the second rotary pulley P2 rotating together with the synchronous shaft 124 are again connected by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belt V2 and the third power transmission belt V3. The rotary pulley P5 and the sixth rotary pulley P6 are rotated. As the fifth rotary pulley P5 and the sixth rotary pulley P6 rotate in this manner, the main shaft 142 and the tailstock shaft 162 connected to the fifth rotary pulley P5 and the sixth rotary pulley P6 rotate. As a result, the workpiece mounted between the spindle center 144 and the tailstock center 164 is rotated.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물이 회전되면, 작업자는 연삭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모터(12)와 연결된 연삭숫돌(10) 및 이송테이블을 왕복이송시키면서 회전하는 가공물을 연마작업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workpiece is rotated, the operator applies power to the grinding machine to perform grinding work on the workpiece while rotating while reciprocating the grinding wheel 10 and the transfer table connected to the rotary motor 1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100)는 주축(142)과 심압대축(162)이 동기축(124)에 의해서 동기되어서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종래 가공물에 발생하는 떨림현상 및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동모터(126)를 이용하여 주축(142) 및 심압대축(162)을 회전시킬 수 있어서 경제성 및 효율성 증대를 가져오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holder device 100 for a gri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used to occur in the conventional workpiece because the main shaft 142 and the tailstock shaft 162 is rotated at the same rotation speed by being synchronized by the synchronous shaft 124 The shaking phenomenon and the slip phenomenon can be prevented, and the main shaft 142 and the tailstock shaft 162 can be rotated using one driving motor 126,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economic efficiency and efficiency.

또한, 구동모터(126), 동기축(124), 주축(142) 및 심압대축(162)을 다수의 풀리와 동력전달벨트로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126)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콤팩트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일반 공작기계의 베드위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drive motor 126, the synchronous shaft 124, the main shaft 142 and the tailstock shaft 162 with a plurality of pulleys and a power transmission belt, the vibration of the drive motor 126 is minimized, compact structure By having the advantage, it can be easily mounted on a bed of a general machine tool.

한편, 주축부(130)의 주축지지대(132)와 주축하우징(140) 사이에 더브테일홈(134) 및 더브테일돌기(148)형성하고, 심압대부(150)의 심압대지지대(152)와 심압대하우징(160) 사이에 엘엠가이드레일(154) 및 엘엠가이드블록(168)을 형성함으로써, 주축하우징(140) 및 심압대하우징(150)이 정밀한 직선운동을 하면서 양센터가 일치할 수 있어 종래 척에 고정이 어려운 초소형 가공물의 장착이 가능하여 반도체 부품 금형 및 고정밀 부품 연삭, 담배 절단용 원형타입 나이프 제작, 휴대폰 액정화면 유리 절단용 공구 제작, 초정밀 렌즈 가공 및 서브미크론 이하의 초정밀 가공을 구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Meanwhile, a dovetail groove 134 and a dovetail protrusion 148 are formed between the main shaft support 132 and the main shaft housing 140 of the main shaft unit 130, and the tail stock support 152 of the tail stock unit 150 is formed. By forming the LM guide rail 154 and the LM guide block 168 between the tailstock housing 160, the main shaft housing 140 and the tailstock housing 150 can be precisely linear movement and both centers can be matched. It is possible to mount the micro components that are difficult to fix on the conventional chuck, so that the semiconductor parts mold and high precision parts can be ground, the circular knife for cigarette cutting, the mobile phone LCD screen glass cutting tool, the ultra-precision lens processing and the sub-micron sub precision processing can be realized.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Claims (5)

통상의 연삭기의 이송테이블에 형성된 티이(T)홈 및 티이(T)홈 볼트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턱(112)이 각각 형성되며 중앙에는 가공물의 정밀한 각도 연삭을 위한 기준핀(114)이 장착된 베드부(110);Fixing jaws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to be fixed by a tie (T) groove and a tie (T) groove bolt formed in a transfer table of a conventional grinding machine, and a reference pin 114 for precise angular grinding of the workpiece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Bed unit 110 is mounted; 상기 베드부(110)의 상부면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는 제 1 지지대(122a) 및 제 2 지지대(122b)와, 상기 제 1 지지대(122a) 및 상기 제 2 지지대(122b)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제 1 지지대(122a)의 외부로 연장되는 동기축(124)과, 상기 동기축(124)의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 1 회전풀리(P1) 및 제 2 회전풀리(P2), 제 3 회전풀리(P3)와, 상기 제 3 회전풀리(P3)와 제 1 동력전달벨트(V1)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4 회전풀리(P4)가 형성된 구동모터(126)를 갖는 동기부(120);The first support 122a and the second support 122b and the first support 122a and the second support 122b that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110 may be pivotable. And a first end of which is mounted to the synchronous shaft 124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 122a, the first rotating pulley P1 and the second rotation mounted adjacent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ynchronous shaft 124. A driving motor 126 having a pulley P2, a third rotating pulley P3, and a fourth rotating pulley P4 connected by the third rotating pulley P3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belt V1. A synchronizer 120; 상기 제 1 지지대(122a)의 일측 베드부 상에 고정배치되는 주축지지대(132)와, 상기 주축지지대(132)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주축센터(144)가 장착된 주축(142)을 한정하는 주축하우징(140)과, 상기 주축(142)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회전풀리(P1)와 제 2 동력전달벨트(V2)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5 회전풀리(P5)를 갖는 주축부(130); 및A main shaft support 132 fixedly disposed on one side bed of the first support 122a, and a main shaft 142 which is slidably disposed above the main support 132, and has a main shaft center 144 mounted therein. Spindle housing having a main shaft housing 140 and a fifth rotary pulley P5 mounted to the main shaft 142 and connected by the first rotary pulley P1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belt V2. 130; And 상기 제 2 지지대(122b) 및 상기 구동모터(126) 사이에 고정배치되는 심압대지지대(152)와, 상기 심압대지지대(152)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주축센터(144)와 마주보는 심압대센터(164)가 장착된 심압대축(162)을한정하는 심압대하우징(160)과, 상기 심압대축(162)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회전풀리(P2)와 제 3 동력전달벨트(V3)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6 회전풀리(P6)를 갖는 심압대부(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The tail stock support 152 fixedly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122b and the driving motor 126, and is slidably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ail stock support 152, and the main shaft center 144 therein. The tailstock housing 160 for limiting the tailstock shaft 162 in which the tailstock center 164 is mounted and the tailstock shaft 162 are mounted to the second rotational pulley P2 and the third power transmission.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ilstock having a sixth rotary pulley (P6) connected by a belt (V3) (15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풀리(P1), 상기 제 2 회전풀리(P2), 상기 제 5 회전풀리(P5) 및 상기 제 6 회전풀리(P6)는 3단 고장력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otating pulley (P1), the second rotating pulley (P2), the fifth rotating pulley (P5) and the sixth rotating pulley (P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stage high-tensile pulley. Auxiliary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지지대(132)의 상부면 상에는 더브테일홈(134)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압축스프링(137)이 배치되며, 상기 압축스프링(137)의 일측에는 피니언(136)이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136)에는 상기 주축지지대(132)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이송레버(138)가 장착되고, 상기 주축하우징(140)의 일측면 상에는 상기 피니언(136)에 맞물리면서 상기 압축스프링(137)을 선택적으로 압축시키는 랙크(146)가 형성되며, 상기 랙크(146)의 일측에는 상기 더브테일홈(134)에 대응하는 더브테일돌기(14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dovetail groove 13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haft support 132, the compression spring 137 is disposed inside, the pinion 136 on one side of the compression spring 137 Is disposed, the pinion 136 is equipped with a first conveying lever 138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spindle support 132, on one side of the spindle housing 140 is engaged with the pinion 136 A rack 146 for selectively compressing the compression spring 137 is formed, the one side of the rack 146 for the gri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vetail protrusion 148 corresponding to the dovetail groove 134 is formed Auxiliary holde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지지대(132)의 일단에는 상기 제 2 동력전달벨트(V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 장력풀리(Q1)가 장착되며, 상기 심압대하우징(160)의 일측에는 상기 제 3 동력전달벨트(V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2 장력풀리(Q2)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main shaft support 132 is equipped with a first tension pulley (Q1)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belt (V2), one side of the tail stock housing (160) The auxiliary holder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ension pulley (Q2) is mount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third power transmission belt (V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압대지지대(152) 상부면 상에는 엘엠가이드레일(154)이 형성되며, 상기 심압대지지대(152)의 일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이송공(156)이 천공된 이송레버브라켓(158)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장착되고, 상기 심압대하우징(160)에는 일단에는 상기 이송공(156)에 관통결합되면서 원주면 상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된 제 2 이송레버(166)가 상기 심압대하우징(160)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심압대하우징(160)의 하부면 상에는 상기 엘엠가이드레일(154)에 대응하는 엘엠가이드블록(16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용 보조 홀더장치.The conveyance lever bracket of claim 1, wherein an L guide rail 154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ail stock supporter 152, and a feed hole 156 having a female thread formed in one end of the tail stock support 152. A second transfer lever 166 having a 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ilstock housing 160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ilstock housing 160. An auxiliary holder for a grinder, which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tailstock housing 160 and has an LM guide block 168 corresponding to the LM guide rail 154 on a lower surface of the tailstock housing 160. Device.
KR2020020005968U 2002-02-28 2002-02-28 Support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 KR2002762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968U KR200276213Y1 (en) 2002-02-28 2002-02-28 Support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968U KR200276213Y1 (en) 2002-02-28 2002-02-28 Support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213Y1 true KR200276213Y1 (en) 2002-05-18

Family

ID=7308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968U KR200276213Y1 (en) 2002-02-28 2002-02-28 Support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21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7386B2 (en) Work sid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201432228Y (en) Silicon block chamfering processing device
CN216327506U (en) Plate polishing machine
KR200276213Y1 (en) Support holder device for grinding machine
CN111015982B (en) Combined special cutting tool for producing chip silicon and using method thereof
US7004826B2 (en) Device for smoothing gear wheels
KR200412773Y1 (en) Device for control three axes synchronous of general-purpose tool grinder
KR20030040133A (en) Tubular workpiece notching machine usable for general grinding operations
CN210499302U (en) Vertical fixture for automobile parts
CN112388460A (en) Production and processing technology of plastic pipe clamp
CN212918594U (en) Machine part centre gripping material feeding unit
JP2847140B2 (en) Work feed attachment and grinder
CN220145242U (en) Positioning tool for machining mechanical parts
KR20070076649A (en) Device for control three axes synchronous of general-purpose tool grinder
JP2002066895A (en) Polishing machine
JPH0523935A (en) Compound laser beam machine
CN110977529A (en) Fine machining tool convenient to clamp
JP7384079B2 (en) Work changer, work transfer device, processing device, ring bearing manufacturing method, machine manufacturing method,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CN215092869U (en) Feeder hole burnishing device
KR20170090769A (en) Crankshaft machining device
CN218984132U (en) Grinding device and drill bit processing lathe
CN210526567U (en) Conveying device for machining of machine tool accessories
CN215510514U (en) Burnishing device is used in production of nonrust steel bushing
CN218503874U (en) Clamp for sawing machine
CN220279306U (en) Mounting structure of grinding machine workb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