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144Y1 - 대나무 술통 - Google Patents

대나무 술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144Y1
KR200276144Y1 KR2020020004855U KR20020004855U KR200276144Y1 KR 200276144 Y1 KR200276144 Y1 KR 200276144Y1 KR 2020020004855 U KR2020020004855 U KR 2020020004855U KR 20020004855 U KR20020004855 U KR 20020004855U KR 200276144 Y1 KR200276144 Y1 KR 200276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amboo
lid
keg
diaphrag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2020020004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14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나무 마디부분의 상하측 격판(10)(12)과 이들 격판(10)(12)사이의 통체(14)로 구성되는 술통(16)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측 격판(10)을 포함하는 통체(14)의 상부를 절단하여 뚜껑(18)을 구성하고 이 뚜껑(18)의 하측외면에 외측 나선부(20)를 형성하며 절단된 통체(14)의 상측내면에 내측 나선부(22)를 형성하여 뚜껑(18)을 통체(1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통체(14)의 상부측면에 주출구(26)를 부착하여 탄성재질의 마개봉(28)을 강제삽입하여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대나무 술통 {LIQUOR BARREL MADE OF BAMBOO}
본 고안은 대나무 술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술통몸체가 대나무의 마디와 마디 사이의 통체로 구성되는 형태의 대나부 술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술에서 좋은 대나무 향기가 나도록 하는 대나무 술통은 대나무의 마디부분에 형성된 격판을 이용하여 대나무의 마디와 마디 사이의 통체가 그대로 술통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부의 격판에 통체내부로 술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공을 뚫고 이를 통하여 술을 주입한다음 이를 적당히 밀봉하여 대나무 술통에술이 주입되어 유통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술을 주입하였던 주입공을 사용시 술의 주출공으로 이용하여 이를 통하여 술을 따랐다. 그러나 대나무의 마디와 마디 사이의 통체가 그대로 술통으로 이용되고 상부의 격판에 통체내부로 술을 주입하는 주입공을 뚫어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주입공이 작아 술통에 술을 주입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양산에 문제가 있고 사용시 이러한 주입공이 술을 따르는 주출공으로 사용될 때 술의 주출이 원활치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대나무의 마디부분에 형성된 격판을 이용하여 대나무의 마디와 마디 사이의 통체를 그대로 술통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되 상부마디의 격판을 포함하여 통체의 상부를 통체의 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하여 뚜껑으로 구성하고 뚜껑과 통체사이를 나선결합부를 이용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며 통체의 상부 측면에 별도의 주출구를 형성하여 술의 주출이 원활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대나무 술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대나무 마디부분의 상하측 격판과 이들 격판사이의 통체로 구성되는 술통(16)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측 격판을 포함하는 통체의 상부를 절단하여 뚜껑을 구성하고 이 뚜껑의 하측외면에 외측 나선부를 형성하며 절단된 통체의 상측내면에 내측 나선부를 형성하여 뚜껑을 통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통체의 상부측면에 주출구를 부착하여 탄성재질의 마개봉을 강제삽입하여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출구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4... 통체 16... 술통
18... 뚜껑 20, 22... 나선부
26... 주출구 28... 마개봉
대나무 마디부분의 상하측 격판(10)(12)과 이들 격판(10)(12)사이의 통체(14)로 구성되는 술통(16)에 있어서, 상측 격판(10)을 포함하는 통체(14)의 상부를 이 통체(14)의 축선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뚜껑(18)을 구성하고 이 뚜껑(18)의 하측외면에 외측 나선부(20)를 형성하며 절단된 통체(14)의 상측내면에 내측 나선부(22)를 형성하여 뚜껑(18)을 통체(1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통체(14)의 상부측면에 주출공(24)을 뚫고 그 외측에 비교적 짧은 길이의 주출구(26)를 부착하여 탄성재질의 마개봉(28)을 강제삽입하여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측 격판(10)을 포함하는 통체(14)의 상부를 이 통체(14)의 축선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뚜껑(18)을 구성함으로서 통체(14)내부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위생적이며 대나무 향기가 좋은 술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최초 술의 주입이 편리하게 이루어져 양산체제에 적합하도록 하며 뚜껑(18)의 하측외면에 외측 나선부(20)를 형성하며 통체(14)의 상측내면에 형성하는 내측 나선부(2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술통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통체(14)의 상부측면에 주출공(24)을 뚫고 그 외측에 주출구(26)를 부착함으로서 술의 주출이 원활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탄성재질의 마개봉(28)을 강제삽입하여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 일단 개봉된 마개봉(28)이 다시 주출구(26)에 삽입하기 어렵도록 함으로서 술의 위조를 방지할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마개봉(28)은 최초 밀봉시 가는 선단부를 갖는 기다란 마개봉소재를 사용하여 주출구(26)에 강제삽입후 통체(14)의 내부에서 소재의 선단부를 잘라내고 외부에서 적당한 길이만을 남기고 절단하여 마개봉(28)이 밀봉될 수 있도록 한다. 마개봉(28)이 개봉된 후에는 그 탄성의 성질 때문에 직경이 확장된 상태에 놓이므로 다시 주출구(28)에 삽입하기가 매우 어려워 위조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대나무의 마디부분에 형성된 격판을 이용하여 대나무의 마디와 마디 사이의 통체를 그대로 술통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되 상부마디의 격판을 포함하여 통체의 상부를 통체의 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하여 뚜껑으로 구성하고 통체의 상부 측면에 별도의 주출구를 형성하여 술의 주출이 원활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대나무 술통을 제공한다.

Claims (1)

  1. 대나무 마디부분의 상하측 격판(10)(12)과 이들 격판(10)(12)사이의 통체(14)로 구성되는 술통(16)에 있어서, 상측 격판(10)을 포함하는 통체(14)의 상부를 절단하여 뚜껑(18)을 구성하고 이 뚜껑(18)의 하측외면에 외측 나선부(20)를 형성하며 절단된 통체(14)의 상측내면에 내측 나선부(22)를 형성하여 뚜껑(18)을 통체(1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통체(14)의 상부측면에 주출구(26)를 부착하여 탄성재질의 마개봉(28)을 강제삽입하여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대나무 술통.
KR2020020004855U 2002-02-19 2002-02-19 대나무 술통 KR200276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55U KR200276144Y1 (ko) 2002-02-19 2002-02-19 대나무 술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55U KR200276144Y1 (ko) 2002-02-19 2002-02-19 대나무 술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44Y1 true KR200276144Y1 (ko) 2002-05-21

Family

ID=7311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855U KR200276144Y1 (ko) 2002-02-19 2002-02-19 대나무 술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1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6326B3 (en) A needle free access valve
US7232044B1 (en) Disposable pierce fitting
PL1809540T3 (pl) Pojemnik, zwłaszcza ampułka
SE0101502L (sv) Vätskebehållare med däri anordnat sugrör
JPH08506311A (ja) 瞬間接着剤用の新規な容器
ATE399145T1 (de) Ausgabehah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hahns
KR200276144Y1 (ko) 대나무 술통
US6213349B1 (en) Cap structure of a glue container
ATE335706T1 (de) Siphonkopf
US5471784A (en) Gas dispensing tap or plug
KR200400170Y1 (ko) 수목의 밀폐 압력식 수간주입기
EA200401115A1 (ru) Самогерметизирующийся выдачной затвор для гибких упаковок
CA2499610A1 (en) Injection needl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representative fluid sample into a sample bottle by means of a such injection needle
JPS6330224B2 (ko)
KR20180023213A (ko) 빨대 삽입형 병마개
JP4296156B2 (ja) 竹筒容器及び竹筒容器の製造方法
US20020053552A1 (en) Jar with conical neck
CN1359283A (zh) 易开式细管状容器
KR200200587Y1 (ko) 실리콘 튜브
KR200191086Y1 (ko) 생수통 마개
JP2010051336A (ja) 小型調味料容器
TWI275533B (en) Stopper for opening of container
KR200250733Y1 (ko) 액체저장 용기용 공기유입구
KR200284480Y1 (ko) 대나무 술병
JPH07101470A (ja) スプレー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