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713Y1 -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713Y1
KR200275713Y1 KR2020020004251U KR20020004251U KR200275713Y1 KR 200275713 Y1 KR200275713 Y1 KR 200275713Y1 KR 2020020004251 U KR2020020004251 U KR 2020020004251U KR 20020004251 U KR20020004251 U KR 20020004251U KR 200275713 Y1 KR200275713 Y1 KR 200275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frigerant circulation
joint
indoor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욱채
Original Assignee
그린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4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713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매순환 파이프와 실내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지그에 삽입하여 냉매순환 파이프와 실내기 파이프를 연결할 때 조인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파이프 연결공정을 간편하게 하고, 실내기의 배수파이프가 케이스의 바닥면 더 아래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증발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또한 커버가 벽면과 일치되게 조립하여 벽면을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연결장치는 조인트(25)를 지그(26)의 수용홈(26b)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25a)를 회전시켜 조인트(25)와 냉매순환 파이프(23)의 이음이 완료될 시점이 되어도 조인트(25)는 지그(26)의 수용홈(26b)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실내기의 배수파이프(28)를 배수통(29)의 바닥면보다 더 하부에 형성된 조립공(38)에 삽입된 배수안내관(39)에 연결하여 배수파이프(28)가 종래보다 더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증발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스크류(S)를 커버(31)의 체결공(31b)과 본체(30) 나사공(33)에 체결할 때 탄성부재(27)가 커버(31)를 밀착하게 되므로, 스크류가 완전히 체결하지 않아도 케이스는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벽면에 커버를 일치되게 조립한다.

Description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Pipe connecting means for circulating fluid of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건물 벽체에 매립된 냉매순환 파이프를 실내기 파이프와 연결하기 위한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매순환 파이프와 실내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지그에 삽입하고 이 조인트의 너트를 회전시켜 냉매순환 파이프와 실내기 파이프를 연결할 때 조인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파이프 연결공정을 간편하게 하고, 실내기의 배수파이프가 케이스의 바닥면 더 아래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증발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또한 벽체에 매립된 케이스에 커버를 조립할 때 커버가 벽면과 일치되게 조립하여 벽면을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은 압축기가 열교환매체를 기체상태로 압축시키고, 응축기가 상기 압축된 냉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킨 후 팽창밸브로 보내게 되면, 팽창밸브는 냉매를 안개상태로 팽창시켜 증발기로 보내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는 냉매를 외부공기와열교환시켜 증발기 주변의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실내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은 증발기가 설치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실외기로 구분되는데, 이들 실내,외기는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실외기와 연결된 냉매순환 파이프가 실내기 파이프와 이음된다.
종래의 에어컨 설치방식은, 실외기와 연결된 냉매순환 파이프를 실내기에 연결하기 위해서 건물의 벽체에 구멍을 뚫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공수가 난이하고, 구멍을 뚫을 때 발생된 충격에 의해 건물을 손상될 뿐만 아니라 이 때 심한 소음이 발생하여 주변의 환경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멍을 통해 연결된 냉매순환 파이프는 건물 벽체와 실내에 노출되기 때문에 건물 외관 및 실내의 미관을 해치고, 또한 실내기에는 냉매가 증발할 때 발생하는 증발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수파이프가 인출되는데, 이 배수파이프는 반드시 하향으로 배치되어야 하나 설치시 부주의나 또는 배관된 배수파이프의 배치상태를 변경하여 배수파이프가 하향으로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증발수가 원할히 배출되지 않게 되고, 특히 배수파이프의 일부분이 연결부분보다 더 상승하게 되면 증발수가 역류하여 실내기 내부로 공급되어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건물시공시 냉매순환 파이프 및 실내기의 증발수를 배출하는 배수안내관을 벽체 내부에 매립하여, 냉매순환 파이프에 실내기 파이프를 연결하고 또한 배수안내관에 실내기의 배수파이프를 각각 연결하는 방법으로 에어컨을 설치하고 있다.
도 1 은 이와 같이 건물 벽체(1)에 매립된 냉매순환 파이프(2)를 연결하기 위한 박스(3)가 벽체(1)에 매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종래의 박스(3)는 단순한 통상의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벽체(1)에 매립된 냉매순환 파이프(2)가 그 하부에 통공된 안내공(4)으로 삽입되어 커버(5)의 구멍(6)을 통해 삽입된 실내기 파이프(7)와 조인트(8)로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박스에 수납된 양측 파이프(2)(7)는 조인트(8) 양단부에 설치된 너트(8a)로 체결하게 되는데, 조인트(8)의 너트(8a)를 회전시켜 냉매순환 파이프(2)에 연결할 때 너트(8a)의 조임이 거의 완료되는 시점에 이르면 상기 너트(8a)와 함께 조인트(8)가 같이 회전하게 되므로 조인트(8) 타단부의 너트(8a)가 실내기 파이프(7)와 조립위치가 맞지 않게 되므로, 공구를 이용하여 조인트(8)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너트(8a)를 회전시켜 연결하였다.
따라서, 냉매순환 파이프(2)에 조인트(8)를 연결할 때 조인트(8)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조인트(8)를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려 고정해야 하므로 체결공수가 복잡하고, 특히 상기 박스의 내부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양손을 이용하여 너트(8a)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조인트(8)를 고정시켜야 하므로 파이프 연결공정이 난이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실내기의 배수파이프(9)는 도 2 와 같이 박스(3) 바닥면에 형성된 조립공(10)으로 돌출된 배수안내관(11)에 연결하게 되는데, 이는 배수안내관(11) 단부의 위치가 높아 실내기의 배수파이프(9)가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실내기의 증발수가 배수안내관(11)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에어컨 설치가 끝난 다음에는 상기 박스(3) 전방에 커버(5)를 조립하여 폐쇄하게 되는데, 상기 박스(3)가 벽 내부에 깊이 매립될 경우에는 상기 박스(3)에 조립된 커버(5)는 건물 벽면과 일치되지 않고 벽면 내부로 더 삽입된 상태가 되어 에어컨 설치 후 벽면의 외관이 미려하기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냉매순환 파이프와 실내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지그에 고정시켜 냉매순환 파이프에 조인트를 연결할 때 조인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파이프 연결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내기의 배수파이프가 케이스 바닥면보다 더 하부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증발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 벽체에 매립된 케이스에 커버를 조립할 때 커버가 벽면과 일치되게 조립하여 에어컨 설치 후 벽면을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며, 전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되며, 이 수납실의 모서리 부분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냉매순환 파이프가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안내공이 형성된 본체를 가지며, 상기 본체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본체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 몸체 전방에 냉매순환 파이프와 실내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용홈이 절개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수납실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지그; 상기 케이스의 나사공 전방에 설치되어, 케이스의 커버가 본체에 조립될 때 커버의 배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연통되게 하부로 요입되고 그 바닥면에 에어컨의 실내기의 배수파이프가 관통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배수통;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외기와 연결된 냉매순환 파이프를 상기 케이스의 안내공에 삽입하고, 실내기 파이프를 케이스 커버의 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케이스 수납실에 수용된 냉매순환 파이프 및 실내기 파이프 단부를 조인트의 너트에 체결할 때 상기 지그의 수용홈에 조인트를 삽입하여 조인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박스가 벽체에 매립된 측단면도로서, 냉매순환 파이프와 실내기 파이프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박스가 벽체에 매립된 측단면도로서, 실내기의 배수파이프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것으로, 냉매순환 파이프가 실내기 파이프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것으로, 냉매순환 파이프가 실내기 파이프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것으로, 실내기에 연결된 배수파이프가 벽체에 매립된 안내파이프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의 본체에 커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도 8 은 도 7 의 원내부를 확대하여 커버의 조립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 22 : 케이스
23 : 냉매순환 파이프 24 : 실내기 파이프
25 : 조인트 26 : 지그
26b : 수용홈 27 : 탄성부재
29 : 배수통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20)는 실내기가 설치되는 건물 벽체(21)에 매립되는 케이스(22), 상기 케이스(22) 내부에 설치되어 냉매순환 파이프(23) 및 실내기 파이프(24)를 연결하는 조인트(25)를 고정하는 지그(26), 상기 케이스(22)의 커버가 고정되는 본체의 나사공 전방에조립되어 커버를 벽면과 일치되게 조립되도록 하는 탄성부재(27) 및 상기 케이스(22)의 바닥면보더 더 하부에 위치되어 실내기의 배수파이프(28)의 연결위치를 낮추어 증발수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통(29);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2)는 냉매순환 파이프(23) 실내기 파이프(24)가 삽입되는 본체(30), 상기 본체(30)의 전방 개방된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그 개방부분을 개폐하는 커버(31)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2)의 본체(30)는 전방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수납실(32)이 형성된 함체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실(32)의 모서리 부분에는 도 8 과 같이 상기 커버(31)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공(33)이 요입된 블록(34)이 형성되는데, 이 블록(34)의 선단부는 상기 커버(31)와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27)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 3,7 에서와 같이 수납실(32)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본체(30)의 하부 벽체(21)에는 매립된 냉매순환 파이프(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안내공(35)이 형성되고, 전방과 대향되는 벽체(21)에는 상기 지그(26)를 수용하는 슬롯(36)이 형성되며, 양측벽 중 어느 일측벽에는 전원케이블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37)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35)은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데, 에어컨 1개당 2개1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짝수의 수량을 가지며, 실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에어컨을 모두 연결할 경우에는 그 에어컨 수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립공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에어컨과 일대일로 대응하여 2개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슬롯(36)은 그 측벽에 상기 지그(26)의 돌기(26a)가 외부로 관통하여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통로(36a)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30)의 개방부분을 개폐하는 커버(31)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고, 판상의 몸체 소정위치에는 냉매순환 파이프(23) 및 실내기의 배수파이프(28)가 본체(30) 수납실(32)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통공되고, 모서리 부분에는 스크류(S)에 의해 상기 본체(30)의 나사공(33)과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31b)이 관통된다.
상기 지그(26)는 몸체 전방에 상기 조인트(25)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용홈(26b)이 절개되고, 상기 수용홈(26b)과 대향되는 배면에는 상기 슬롯(36)의 통로(36a)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26a)가 형성되는데, 이 돌기(26a)가 콘크리트에 매립되기 때문에 견고히 고정되어 냉매순환 파이프(23)에 조인트(25)를 연결할 때 지그(26)가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 지그(26)의 수용홈(26b)은 도 5 와 같이 조인트(25)를 경사지게 배치하여 케이스(22)의 폭을 줄일 수 있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부재(27)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34)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7)는 케이스(22)의 본체(30)에 커버(31)를 조립할 때 커버(31)의 배면을 탄성력으로 밀착하여 커버(31)를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커버(31)를 체결하는 스크류(S)가 상기 나사공(33)에 풀회전 하지 않더라도 상기 탄성부재(27)가 커버(31)를 밀착하게 되므로 커버(31)의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하여 커버(31)가 벽면과 일치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배수통(29)은 상기 케이스(22)의 하부 바닥면과 연통되게 하부로 요입되고 그 바닥면에 실내기의 배수파이프(28)가 관통하는 조립공(3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수통(29)은 상기 조립공(38)이 케이스(22)의 바닥면보다 더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내기의 배수파이프(28)가 종래보더 더 하향으로 배치되어 증발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에어컨의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20)를 이용하여 냉매순환 파이프와 실내기 파이프를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하겠다.
먼저, 본 고안의 케이스(22)의 본체(30), 냉매순환 파이프(23)및 실내기의 증발수를 배출안내하는 배수안내관(39)은 건물 시공시 건물 내부에 매립되는데, 상기 본체(30)는 실내기가 설치되는 실내의 장소 벽면에 매립되고, 냉매순환 파이프(23)는 일측단부가 실외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인출되어 그 실외기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30)의 안내공(35)을 통해 본체(30) 수납실(32)에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31)의 구멍(31a)을 관통한 실내기 파이프(24)를 본체(30) 수납실(32)로 삽입하여 조인트(25)에 의해 상기 냉매순환 파이프(23)와 실내기 파이프(24)를 연결시키기 위한 준비를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25)의 너트와 냉매순환 파이프(23) 및 실내기 파이프(24)의 연결부분은 통상적이 이음수단으로 이미 관이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준비가 완료되면 조인트(25) 하부에 구비된 너트(25a)를 스패너 등으로 회전시켜 매립된 냉매순환 파이프(23) 단부에 체결하기 시작한다. 이 때 상기 조인트(25)는 상기 지그(26)의 수용홈(26b)에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너트(25a)를 회전시켜 조인트(25)와 냉매순환 파이프(23)의 이음이 완료될 시점이 되면, 상기 너트(25a)의 조임에 의해 조인트(25)가 너트(25a)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조인트(25)는 지그(26)의 수용홈(26b)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립자는 너트(25a)를 더 회전시켜 실외기 파이프에 조인트(25)를 연결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조립순서에 따라 실내기 파이프(24)를 상기 조인트(25) 타단부에 구비된 너트(25a)에 일치시키고, 이 너트(25a)를 회전시켜 조인트(25)와 실내기 파이프(24)를 연결하여, 조인트(25)를 매개체로 하여 냉매순환 파이프(23)와 실내기 파이프(24)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립공정은 조인트(25)가 지그(26)의 수용홈(26b))에 수용되기 때문에 실외기 파이프에 조인트(25)를 체결이음할 때 조인트(25)가 회전하기 않게 됨으로 좁은 수납실(32)에서 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양측 파이프를 간단히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음으로 상기 실내기의 배수파이프(28)를 배수통(29)의 조립공(38)에 삽입된 배수안내관(39)에 연결한 다음 마지막으로 스크류를 커버(31)의 체결공(31b)과 본체(30) 나사공(33)에 체결하여 케이스(22)의 조립을 완료하여 에어컨의 설치를 끝내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는 조인트를 지그의 수용홈에 수용하기 때문에 냉매순환 파이프에 조인트를 연결할 때 조인트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한 손으로 간편하게 냉매순환 파이프를 이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실내기의 배수파이프는 케이스의 바닥면보더 더 아래에 위치한 배수통의 조립공에 연결되므로 배수파이프가 종래보다 더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증발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에어컨의 설치가 완료된 후 케이스의 본체에 커버를 조립할 때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커버의 배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스크류가 완전히 체결하지 않아도 케이스는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스크류를 적절하게 회전시켜 벽면에 커버를 일치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건물 벽체에 매립되며, 전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되며, 이 수납실의 모서리 부분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냉매순환 파이프가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안내공이 형성된 본체를 가지며, 상기 본체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본체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
    몸체 전방에 냉매순환 파이프와 실내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조인트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용홈이 절개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수납실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지그;
    상기 케이스의 나사공 전방에 설치되어, 케이스의 커버가 본체에 조립될 때 커버의 배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연통되게 하부로 요입되고 그 바닥면에 에어컨의 실내기의 배수파이프가 관통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배수통;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외기와 연결된 냉매순환 파이프를 상기 케이스의 안내공에 삽입하고, 실내기 파이프를 케이스 커버의 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케이스 수납실에 수용된 냉매순환 파이프 및 실내기 파이프 단부를 조인트의 너트에 체결할 때 상기 지그의 수용홈에 조인트를 삽입하여 조인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수용홈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
KR2020020004251U 2002-02-08 2002-02-08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75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51U KR200275713Y1 (ko) 2002-02-08 2002-02-08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51U KR200275713Y1 (ko) 2002-02-08 2002-02-08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713Y1 true KR200275713Y1 (ko) 2002-05-13

Family

ID=7311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251U KR200275713Y1 (ko) 2002-02-08 2002-02-08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7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656A (ko) * 2021-03-25 2022-10-05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배수용 드레인박스
KR20220133657A (ko) * 2021-03-25 2022-10-05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드레인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656A (ko) * 2021-03-25 2022-10-05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배수용 드레인박스
KR20220133657A (ko) * 2021-03-25 2022-10-05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드레인 구조
KR102535867B1 (ko) * 2021-03-25 2023-05-26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배수용 드레인박스
KR102655657B1 (ko) * 2021-03-25 2024-04-09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드레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49358B2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EP3864355B1 (en) Refrigerator
JP4598188B2 (ja) 冷却貯蔵庫
KR200275713Y1 (ko) 에어컨의 냉매순환 파이프 연결장치
JP4518997B2 (ja) 冷却貯蔵庫
JP2007064497A (ja) 冷却貯蔵庫
JP4555142B2 (ja) 冷却貯蔵庫
JP3679934B2 (ja) 冷蔵庫におけるホースの固定構造
JP3488640B2 (ja) 冷蔵庫
JP2008082632A (ja) 空気調和装置
JP4644521B2 (ja) 冷却ユニット
KR100512750B1 (ko) 냉장고
KR200221006Y1 (ko) 저온을 필요로 하는 소도구함의 벽매입 구조
JP2763287B2 (ja) 空調用エアコンディショナの配管回り構造
KR100819513B1 (ko) 냉장고의 증발기 도어 장착구조
JP2001116429A (ja) 冷蔵庫
JP2002333261A (ja) 冷却器のドレン排水装置
KR19980022426U (ko)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장치
KR200373172Y1 (ko) 실외기의 제어장치 일체형 서비스함 구조
KR200287412Y1 (ko) 이동형 에어컨의 증기 배출 연결체
KR100535806B1 (ko) 냉장고
KR100468471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08235A (ko) 천정형 공기 조화기
KR200141496Y1 (ko) 냉장고의압축기취부장치
KR20040068386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