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80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806B1
KR100535806B1 KR10-2004-0039313A KR20040039313A KR100535806B1 KR 100535806 B1 KR100535806 B1 KR 100535806B1 KR 20040039313 A KR20040039313 A KR 20040039313A KR 100535806 B1 KR100535806 B1 KR 10053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compressor
main body
opening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105A (ko
Inventor
정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80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6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30Insulation with respect to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using multiple air f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5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front top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 F25D2323/0027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from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실의 구조를 개선한 냉장고를 개시한 것이다. 개시한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기계실과, 기계실 내부를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으로 구획하며 양측에 공기의 유통을 위한 공기유통공이 각각 형성된 차음판과, 후방공간 내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냉각팬과, 전방공간의 양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와, 압축기 주위의 기계실 내면에 설치되는 방음부재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기계실의 전장상자와 급수밸브가 기계실 내부의 상반된 양측에 배치된다. 또 본 발명은 기계실 내부에 메인전원 차단을 위한 메인전원스위치가 마련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상부에 마련되는 기계실의 내부구성을 개선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본체의 하측 후방이나 본체의 상부에 별도의 공간으로 마련되는 기계실을 구비한다. 그리고 기계실에는 실내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응축기, 냉매를 고압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와 압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일본 특개평8-278075호에는 본체 상부에 기계실이 마련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이 냉장고의 기계실은 본체의 전방 쪽에 기계실 내부로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기계실 내부를 거친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기계실의 상부를 통하여 다시 전방 쪽으로 형성된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계실 내부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응축기, 송풍기, 압축기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이는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기계실 전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기계실 내부의 응축기와 압축기를 냉각시킨 후 토출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고의 기계실은 기계실이 본체 상부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마련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압축기 등이 본체의 상측 후방에 배치되게 되어 압축기 등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수리가 어렵고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 이러한 냉장고의 기계실은 전방에 공기의 입출을 위한 흡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계실 내부의 압축기 소음이 흡입구와 배출구를 통하여 실내공간으로 전해져 기기의 동작소음이 큰 문제가 있었다.
또 최근의 대형냉장고는 냉동실 내부에 자동 제빙장치를 구비하거나, 도어 전방에 외부로부터 냉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물 공급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들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를 구비한다. 이 급수밸브는 통상 기계실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냉장고를 설치할 때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수배관을 급수밸브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고는 기계실 내부의 급수밸브 및 급수를 위한 배관들이 기계실 내부의 전장부품들과 인접한 상태로 함께 설치되기 때문에 급수배관이나 급수밸브의 누수발생 시 기기의 손상을 초래하거나 감전의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냉장고는 기계실 내부 점검 및 고장수리를 수행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 냉장고는 별도의 전원스위치가 없기 때문에 통상 냉장고 후방 쪽에 위치하는 전원플러그를 뽑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실의 내부수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기계실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전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실 내부의 배치구조 개선을 통해 전기적인 절연성, 기계실 내부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플러그를 뽑지 않고서도 메인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 내부를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으로 구획하며 양측에 공기의 유통을 위한 공기유통공이 각각 형성된 차음판과, 상기 후방 공간 내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냉각팬과, 상기 전방공간의 양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와, 상기 압축기 주위의 상기 기계실 내면에 설치되는 방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공간 내에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는 쪽으로부터 상기 응축기, 상기 냉각팬, 상기 압축기가 차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냉각팬과, 상기 본체 쪽으로의 물 공급을 위해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급수밸브와, 냉장고의 동작제어를 위한 각종 전장부품 및 배선을 수용하도록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전장상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상자와 상기 급수밸브가 상기 기계실 내부의 상반된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계실 내부는 어느 한쪽으로부터 그 반대쪽으로 상기 전장상자, 상기 응축기, 상기 냉각팬, 상기 압축기, 상기 급수밸브가 차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이들을 냉각시키는 냉각팬과, 상기 기계실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열고 메인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 후방의 상기 기계실의 개구부 쪽에 설치되는 메인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의 저장실이 중간벽(11)에 의해 구획된 좌측의 냉동실(12)과 우측의 냉장실(13)을 구비하고, 냉동실(12)과 냉장실(13)의 전면을 각각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4)와 냉장실도어(15)를 구비한다. 또 냉장고는 저장물을 수납하기 용이하도록 냉동실(12)과 냉장실(13)에 설치되는 다수의 선반들(16)을 포함한다. 또 이 냉장고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냉동실도어(14)의 전면에 마련되는 물 공급장치(17)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얼음 제조를 위해 냉동실(12) 내부에 설치되는 제빙장치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증발기(24)와 냉기순환팬(25)을 수용하는 냉각실(20)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10)의 후방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8)를 포함한다. 이는 냉동실(12)과 냉장실(13)의 후방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공간이 확대되는 냉각실(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냉각실(20)이 냉동실(12) 및 냉장실(13)의 상부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18)는 본체(10)와 일체로 마련되고 냉각실(20)이 외부와 단열될 수 있도록 본체(10)와 마찬가지의 단열벽체로 이루어진다. 또 냉각실(20)은 하부가 냉동실(12) 및 냉장실(13)의 내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 및 그 내부의 장치들은 양측이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므로, 이하에서는 냉장실(13)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돌출부(18) 안쪽의 냉각실(20)에는 그 내부를 전방공간(21)과 후방공간(22)으로 구획하는 유로구획판(28)이 설치된다. 이 유로구획판(28)은 냉각실(20)의 전방공간(21)과 후방공간(22)이 상부에서 연통되는 연통유로(23)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단이 냉각실(20)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또 유로구획판(28)을 통해 구획된 냉각실(20)의 후방공간(22)에는 상술한 증발기(24)가 설치되고, 증발기(24)의 상측으로 냉기순환팬(25)이 설치된다. 또한 냉기순환팬(25)은 냉각실(20)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그 외주부가 유로구획판(28)의 상단과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통상의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으로 이루어지고, 이 팬은 구동모터(26)를 통해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은 냉기순환팬(25)이 동작할 때 증발기(24)가 설치된 냉각실(20)의 후방공간(22)으로부터 전방공간(21) 쪽으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냉장실(13) 내부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며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냉장실(13)의 후면에는 냉기순환팬(25)이 동작할 때 증발기(24)가 설치된 냉각실(20)의 후방공간(22) 쪽으로 내부의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흡입유로(31)가 형성되고, 냉장실(13)의 상면에는 냉각실(20)을 거쳐 토출되는 공기가 냉장실(13) 상부 전역에 고루 분산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유로(32)가 형성된다. 흡입유로(31)는 상단이 유로구획판(28)의 하단과 연결된 상태로 냉장실(13)의 후면에 이격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흡입구(34)가 형성되는 평판형의 흡입안내부재(33)를 통해 이루어지고, 토출유로(32)는 후단이 유로구획판(28) 하단에 연결된 상태로 냉장실(13) 상면에 이격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토출구(36)가 형성되는 평판형의 토출안내부재(35)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41) 및 응축기(42)와 이들을 냉각시키는 냉각팬(43) 등의 설치를 위해 본체(10) 상부의 돌출부(18)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기계실(40)을 구비한다. 또 이 기계실(40) 내에는 냉장고의 동작제어를 위한 다수의 전장부품과 전기배선들을 수용하는 전장상자(44)와, 냉동실도어(14) 전면의 물 공급장치(17) 및 냉동실(12) 내부의 제빙장치 쪽으로의 물 공급제어를 위한 급수밸브(45)가 설치된다.
이러한 기계실(40)은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면이 개방된 기계실케이스(50)와, 기계실케이스(50)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3)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 기계실케이스(50)의 내부는 다수의 공기유통공(54a,54b)이 형성된 차음판(54)을 통해 전방공간(55)과 후방공간(56)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술한 응축기(42), 압축기(41), 냉각팬(43), 전장상자(44), 급수밸브(45)는 후방공간(56)의 내부에 설치되고, 기계실(40) 내부의 공기유통을 위한 흡입구(51)와 토출구(52)는 전방공간(56)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 전방공간(56)의 내부에는 그 내부를 흡입구(51)와 연통하는 공간과 토출구(52)와 연통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57)가 설치된다. 여기서 차음판(54)은 다수의 공기유통공(54a,54b)을 통해 공기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압축기(41)와 냉각팬(43)의 동작소음이 흡입구(51)와 토출구(52)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구획부재(57)는 전방공간(55)을 구획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차음판(54) 양측의 공기유통공(54a,54b)은 기계실(40) 내부로의 공기순환이 원활해지도록 하기 위해 각각 흡입구(51)의 위치와 토출구(52)의 위치에 대응하는 차음판(54)의 양측에 형성된다.
또 기계실(40)의 후방공간(56) 내에는 흡입구(51)와 인접하는 쪽으로부터 전장상자(44), 응축기(42), 냉각팬(43), 압축기(41), 급수밸브(45)가 차례로 설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흡입구(51)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응축기(42)가 먼저 냉각되도록 한 후 이 공기가 다시 압축기(41)를 냉각시키도록 함으로써 냉각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또 이러한 배치는 전장상자(44)와 급수밸브(45)가 기계실(40) 내부의 상반된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급수밸브(45) 쪽으로부터 혹 누수가 생기더라도 누수된 물이 전장상자(44)에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장상자(44)를 누수된 물로부터 보호할 뿐 아니라 감전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기계실(40)의 후방공간(56) 양쪽의 측면, 즉 기계실케이스(50)의 대향하는 양쪽 측면에는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보조흡입구(58)와 보조토출구(59)가 형성된다. 이는 상술한 흡입구(51)와 토출구(52)를 통한 공기순환 뿐 아니라 후방공간(56) 양쪽에 형성된 보조흡입구(58)와 보조토출구(59)를 통해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후방공간(56) 내의 응축기(42)와 압축기(41)의 냉각이 더욱 원활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보조흡입구(58)는 응축기(42)와 인접하는 쪽에 형성되고, 보조토출구(59)는 압축기(41)와 인접하는 쪽에 형성된다.
또한 기계실케이스(50)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전면의 상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50a)를 구비한다. 또 개폐부재(53)는 폐쇄된 전면부(53a)와, 이 전면부(53a)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테두리부(53b)를 포함한다. 그리고 개폐부재(53)의 상측 테두리부(53b)가 기계실케이스(50)의 연장부(50a)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개폐부재(53)를 상하 회동시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실(40) 내부 점검 및 고장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내부점검 및 고장수리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폐부재(53)를 열고 구획부재(57)와 차음판(54)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획부재(57)와 차음판(54)이 전방에서 분리할 수 있는 고정나사(미도시)를 통해 결합되거나 내측에 단지 걸린상태로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실(40)의 전방공간(55) 상부의 흡입구(51)는 개폐부재(53)의 상측 테두리부(53b)에 형성되는 제1흡입구(51a)와, 기계실케이스(50)의 연장부(50a)에 형성되는 제2흡입구(51b)를 포함한다. 그리고 타측의 토출구(52)는 개폐부재(53)의 상측 테두리부(53b)에 형성되는 제1토출구(52a)와, 기계실케이스(50)의 연장부(50a)에 형성되는 제2토출구(52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냉각팬(43)이 동작할 때 제1흡입구(51a)와 제2흡입구(51b)를 통해 기계실(40) 상측의 공기와 후방의 공기가 흡입되고, 제1토출구(52a)와 제2토출구(52b)를 통하여 기계실(40) 상방 및 후방으로 토출되면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는 개폐부재(53)의 전면부(53a)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냉장고 전면부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기계실(40) 내부의 소음이 냉장고의 전방 쪽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동작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40)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42)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압축기(42) 상부의 기계실케이스(50) 내면에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구비하는 방음부재(46)가 설치된다. 이 방음부재(46)는 표면에 요철을 구비하는 다공성 스펀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40)에는 사용자가 기계실(40)의 점검 또는 고장수리를 수행할 때 냉장고 메인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인전원스위치(47)가 설치된다. 이 메인전원스위치(4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계실(40) 전방의 개폐부재(53)를 열자마자 시야에 노출될 수 있도록 개폐부재(53) 후방의 기계실(40) 개구 쪽에 마련된다. 이는 사용자가 기계실(40) 점검 또는 고장수리를 위해 개폐부재(53)를 열고나서 메인전원스위치(47)를 통해 전원을 차단한 후 고장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를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이러한 냉장고 기계실의 전체적인 공기순환동작을 설명한다.
후방공간(56) 내에 설치된 냉각팬(43)이 동작하면, 전방공간(55) 상측의 제1흡입구(51a)와 제2흡입구(51b)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차음판(54)의 일측 공기유통공(54a)을 거쳐 후방공간(56)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후방공간(56)으로 유입된 공기는 응축기(42) 쪽으로부터 압축기(41) 쪽으로 흐르면서 응축기(43)와 압축기(41)를 차례로 냉각시킨 후, 차음판(54)의 타측 공기유통공(54b)을 통하여 전방공간(55)으로 흐르며 전방공간(55) 상측의 제1토출구(52a)와 제2토출구(52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 이러한 공기 순환동작과 함께 기계실 후방공간(56) 내부는 후방공간(56) 양측의 보조흡입구(58)와 보조토출구(59)를 통해서도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응축기(42)와 압축기(41)의 냉각이 더욱 원활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기계실이 본체의 전방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마련되고 기계실의 전면이 개폐부재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계실의 점검 및 내부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부재의 전면이 폐쇄된 구조이고, 기계실의 내부가 차음판을 통해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전방공간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며, 압축기 주위에 방음부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기계실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전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실 내부의 장치들이 어느 한 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전장상자, 응축기, 냉각팬, 압축기, 급수밸브 순으로 차례로 배치되기 때문에 기계실 내부의 냉각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실 내부의 전장상자와 급수밸브가 상반된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급수밸브의 누수가 생기더라도 전장상자를 보호할 수 있고,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실 점검 또는 고장수리를 수행할 때 사용자가 개폐부재를 열고나서 메인전원스위치를 통해 쉽게 메인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냉동실,
13: 냉장실, 18: 돌출부,
20: 냉각실, 24: 증발기,
25: 냉기순환팬, 40: 기계실,
41: 압축기, 42: 응축기,
43: 냉각팬, 44: 전장상자,
45: 급수밸브, 46: 방음부재,
47: 메인전원스위치, 50: 기계실케이스,
51a: 제1흡입구, 51b: 제2흡입구,
52a: 제1토출구, 52b: 제2토출구,
53: 개폐부재, 54: 차음판,
54a,54b: 공기유통공, 55: 전방공간,
56: 후방공간, 57: 구획부재,
58: 보조흡입구, 59: 보조토출구.

Claims (5)

  1.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 내부를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으로 구획하며 양측에 공기의 유통을 위한 공기유통공이 각각 형성된 차음판과, 상기 후방공간 내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냉각팬과, 상기 전방공간의 양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와, 상기 압축기 주위의 상기 기계실 내면에 설치되는 방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공간 내에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는 쪽으로부터 상기 응축기, 상기 냉각팬, 상기 압축기가 차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냉각팬과, 상기 본체 쪽으로의 물 공급을 위해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급수밸브와, 냉장고의 동작제어를 위한 각종 전장부품 및 배선을 수용하도록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전장상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상자와 상기 급수밸브가 상기 기계실 내부의 상반된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내부는 어느 한쪽으로부터 그 반대쪽으로 상기 전장상자, 상기 응축기, 상기 냉각팬, 상기 압축기, 상기 급수밸브가 차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냉각팬과, 상기 기계실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열고 메인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 후방의 상기 기계실의 개구부 쪽에 설치되는 메인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4-0039313A 2004-05-31 2004-05-31 냉장고 KR10053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313A KR100535806B1 (ko) 2004-05-31 2004-05-3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313A KR100535806B1 (ko) 2004-05-31 2004-05-3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105A KR20050114105A (ko) 2005-12-05
KR100535806B1 true KR100535806B1 (ko) 2005-12-12

Family

ID=3728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313A KR100535806B1 (ko) 2004-05-31 2004-05-3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8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105A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677B1 (ko) 냉장고
KR101390448B1 (ko) 냉장고
KR101106644B1 (ko) 냉장고
CN113544448B (zh) 冰箱
KR102492165B1 (ko) 냉장고
KR20100058362A (ko) 냉장고
KR20110116437A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구조
KR20220124925A (ko) 냉장고
KR100597300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10042397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28289B1 (ko) 냉장고
KR100535806B1 (ko) 냉장고
KR101640599B1 (ko)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
KR20090036189A (ko) 냉장고
KR100848512B1 (ko) 김치냉장고
KR102214651B1 (ko) 덕트어셈블리 및 냉장고
KR100528290B1 (ko) 냉장고
KR100549079B1 (ko) 냉장고
KR101594387B1 (ko)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
KR20050008333A (ko) 전기 냉동/냉장 쇼케이스
KR20060081806A (ko) 냉장고
KR100549080B1 (ko) 냉장고
KR20220100170A (ko) 냉장고
KR100757944B1 (ko) 냉장고
KR20000006564U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