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598Y1 -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 Google Patents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598Y1
KR200275598Y1 KR2020020003389U KR20020003389U KR200275598Y1 KR 200275598 Y1 KR200275598 Y1 KR 200275598Y1 KR 2020020003389 U KR2020020003389 U KR 2020020003389U KR 20020003389 U KR20020003389 U KR 20020003389U KR 200275598 Y1 KR200275598 Y1 KR 200275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support
cello
pedestal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국원
Original Assignee
윤국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국원 filed Critical 윤국원
Priority to KR2020020003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598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되는 첼로의 스텐드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3각 스탠드(1)에 있어서, 스탠드(1)의 하부 지지대(2)에 축삽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지지대(3)의 상단부에 지지편(4)을 가로로 형성하여 지지편(4)과 맞댄 협착편(5) 사이에 받침대 (6)를 나사(3a)로 유착하고 받침대(6)에는 보조대(7)를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하나의 다리 끝에 형성된 받침컵(3c)에 첼로의 엔드 핀을 대고 체로의 상부체를 받침대(6)에 기대어 세우고 체결밴드(5b)로 체결하여 첼로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스탠드를 작게 절첩할수 있는 등 구조의 견고성과, 설치의 용이성, 사용의 편리성, 휴대의 간편성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FOLDABLE CELLO STAND}
본 고안은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음악 연주를 하지 않는 동안 첼로(cello)를 세워 둘 적당한 거치(据置)수단이 없었다. 물론 첼로를 의자에 기대거나 혹 악보 대에 기댈 수는 있으나 불안전하여 넘어지기 쉽고 넘어지면 충격으로 목재질의 약한 첼로 몸체가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 연주자가 의자에 앉아 쉬는 동안에도 커다란 첼로를 세워 잡고 있는 실정이며 첼로를 거치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불편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통상의 3각(脚) 스탠드에 있어서, 3각의 한 다이 끝에 받침컵을 형성하고 스탠드의 하부 지지대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지지대의 상단부에 지지편을 가로로 형성하여 지지편과 맞댄 협착편 사이에 받침대를 끼워 나사로 관통되게 유착하여 받침대를 수평방향이나 하방으로 접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좌우의 받침대에는 보조대를 각각 조임나사로 유착하여 첼로의 크기에 적합한 폭으로 받침대의 좌우 폭을 보조대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스탠드를 소정의 높이로 조절하고 좌우 양측의 받침대를 수평으로 벌리어 나사로 고정한 다음 첼로의 엔드핀을 받침컵에 대고 첼로의 상부체를 상기 받침대에 기대어 세운다. 필요에 따라서 첼로의 상부체를 체결밴드로 체결하여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다.
스탠드를 사용한 후에는 스탠드를 수축하고 받침대를 아래로 제치어 작은 길이로 접을 수 있게 하여 구조의 견고성과, 설치의 용이성, 사용의 편리성, 휴대의 간편성이 구비되어 각종 현악기를 유효하게 거치(据置)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쪽 받침대부분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받침대부분의 평단면도.
도 4는 동 받침대를 지지편의 핀에 고정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동 받침대를 지지편의 핀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탠드 2 : 하부 지지대
3 : 상부 지지대 3c : 받침컵
4 : 지지편 5 : 협착편
5b : 체결밴드 6 : 받침대
7 : 보조대 8 : 승강링,
8a : 연결간
절첩되는 3개의 다리(2a)와, 연결간(2r)과, 고정나사(2c)를 가진 승강링(2b)이 구비된 통상의 3각(脚) 스탠드(1)에 있어서,
3각의 하나의 다리(2a)에 받침컵(3c)을 형성하고 스탠드(1)의 하부 지지대(2)에 고정나사(3a)로 조일 수 있게 결합된 신축성 상부 지지대(3)의 상단부에 약 120도 각도로 절곡된 지지편(4)을 가로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편(4)과 맞댄 협착편(5) 사이에 받침대(6)의 일단부를 끼우고 조임나사(5a)를 협착편(5)과 받침대(6)를 관통하여 지지편(4)의 나사공(4a)에 나사로 끼워서 지지편(4)의 나사공 (4a)의 측방에 형성된 돌기(4b)가 받침대(6)의 결합공(6b)에 결합되게 받침대(6)를 유착(遊着) 한다.
상기 받침대(6)의 안내공(6a)에는 부드러운 커버(7c)가 피복된, 절곡단부 (7e)를 가진 보조대(7)를 조임나사(7a)로 유착하여 조임나사(7a)의 노브를 잡고 안내공(6a)의 좌우로 보조대(7)를 슬라이딩하여 받침대(6)의 폭을 신축 조절하고 조임나사(7a)로 보조대(7)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협지편(5)에는 버클(5c)과 훅크(5d)가 구비된 체결밴드(5b)를 연결하여 첼로(c)를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하여서, 다리(2a) 끝에 형성된 받침컵(3c)에 첼로 (c)의 엔드 핀(p)을 대고 첼로의 상부체를 수평으로 고정된 받침대(6)에 기대어 세우고 밴드(5b)로 첼로의 상부체를 체결하여 안전하게 거치(据置)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도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의 상부 지지대(3)의 상단부에 핀(6p)으로 유착된 받침대(6)와, 상부 지지대(3)에 유삽된 고정나사 (8b)를 가진 승강링(8)에 연결간(8a)의 양단부를 핀(8p)으로 유착하여 승강링(8)에 의하여 받침대(6)를 상하로 조작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으로부터 용이하게 설계 변경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가감 또는 대치하는 것도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부언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스탠드(1)에 첼로를 세우고자 할 경우, 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다리(2a)를 펴고 승강링(2b)의 고정나사(2c)를 조여서 고정한 다음 스탠드(1)의 상부 지지대(3)를 소정의 높이(첼로를 세우기에 적합한 높이)로 신장하여 고정나사(3a)로 조여서 고정한다. 이어서 받침대(6)를 좌우 수평으로 제치어 조임나사(5a)로 조이면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협착편(5)과 지지편(4) 사이에 받침대(6)가 고정되면서 지지편(4)에 형성된 돌기(4b)가 받침대(6)에 형성된 결합공(6b)에 결합되어 받침대(6)가 수평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도3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6)의 안내공(6a)에 유착된 조임나사(7a)의 노브를 잡고 좌우 보조대(7)를 소정의 폭(첼로의 상부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폭)으로 조절한 다음 조임나사(7a)를 조여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첼로(c)의 엔드핀(p)을 받침컵(3c)에 대고 받침대(6)에 첼로를 기대어 세운다. 이때 첼로의 엔드핀(p)은 받침컵(3c)에 안전하게 받쳐있고 첼로(c)의 상부체가 받침대(6)의 양측 보조대(7)의 절곡단부(7e) 안쪽에 수용되기 때문에 세워 둔 첼로가 좌우 어느 쪽으로 넘어질 우려가 없이 받침컵(3c)과 받침대(6)에 이르는 대각선 방향의 비스듬히 안전하게 거치 (据置)된다. 더욱 안전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첼로의 상단부를 밴드(5b)의 버클(5c)과 훅크(5d)를 이용하여 결착(結着) 한다. 버클(5c)과 훅크(5d)는 원터치로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또한 보조대(7)에 피복된 부드러운 재질의 커버(7c)에 의하여 악기에 마찰흠집이 생기지 않는다.
스탠드(1)를 사용한 후에는 버클(5c)과 훅크(5d)에 의하여 밴드(5b)를 풀고 첼로를 들어낸 다음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임나사(5a)를 약간 풀면 협착편(5)이 지지편(4)에서 벌어지므로 받침편(6)을 뒤쪽으로 약간 제치어 지지편(4)의 돌기 (4b)와 받침대(6)의 결합공(6b)이 분리되게 하고 조임나사(5a)를 지축으로 한 받침대(6)를 보조대(7)와 함께 상부 지지대(3)와 나란하게 아래로 늘어트리고 조임나사 (5a)를 조여서 받침대(6)가 움직이지 않게 한다. 보조대(7)는 한번 조절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매번 조절할 필요는 없다. 이어서 고정나사(3a)를 풀어 상부 지지대(3)를 하부 지지대(2)에 작은 길이로 축삽(縮揷) 하여 빠지지 않도록 다시 고정나사(3a)를 조여 고정하고 승강링(2b)의 고정나사(2c)를 풀고 승강링(2b)을 하부 지지대(2)의 위쪽으로 당기어 3개의 다리(2a)를 하부 지지대(2)에 밀접되게 작은 길이로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한다.
도 7에 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의 스탠드(1)의 받침대(6)는 승강링(8)과 연결간(8a)에 의하여 수평으로 뻗치게 하고 조임나사(8b)로 고정시키며 스탠드(1)의 받침대(6)에 첼로를 기대어 세우는 것은 이미 설명한 것과 같다.
또한 본 고안의 스텐드는 첼로 이외의 다른 각종 현악기나 기타 악기를 거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스탠드(1)는, 절첩되는 3각(脚)의 하부 지지대(2)와 상부 지지대 (3)가 임의 높이로 신축 조절하게 된 스탠드에 있어서, 상부 지지대의 상단부에 가로로 형성된 지지편(4)과 협착편(5) 사이에 받침대(6)를 나사로 조일 수 있게 유착하고 받침대(6)에는 보조대(7)를 좌우폭을 신축할 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용이하게 스탠드(11)를 설치하고 음악을 연주하지 않을 동안, 다리 끝에 형성된 받침컵 (3c)에 첼로(c)의 엔디핀(p)을 대고 첼로(c)의 상부체를 좌우로 벌린 받침대(6)에 기대어, 첼로를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첼로를 밴드(5b)로 결착할 수 있어, 거치된 첼로의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스탠드의 사용 후에는 작은 길이와 부피로 절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의 견고성과, 설치의 용이성, 사용의 편리성, 휴대의 간편성을 구비되어 각종 악기의 거치(据置)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3개의 다리(2a)를 가진 하부 지지대(2)와 신축성 상부 지지대(3)로 형성된 통상의 3각(脚) 스탠드(1)에 있어서, 스탠드의 하나의 다리(2a) 끝에 받침컵(3c)을 형성하고 스탠드(1)의 하부지지대(2)에 결합된 신축성 상부 지지대(3)의 상단부에 가로로 지지편(4)을 형성하여 지지편(4)에 맞댄 협착편(5) 사이에 받침대(6)를 나사(5a)로 관통되게 유착하여, 지지편(4)에 형성된 돌기(4a)가 받침대(6)에 형성된 결합공(6b)에 결합되게 형성하고 좌우 받침대(6)에 형성된 안내공(6a)에 절곡단부 (7e)를 가진 보조대(7)를 조임나사(7a)로 유착하여, 첼로의 엔드 핀을 상기 받침컵에 대고 첼로를 받침대에 거치(据置)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스탠드(1)의 상부체(3)에 형성된 협착판(5)에 버클(5c)과 훅크(5d)를 가진 한 쌍의 체결밴드(5b)가 연결되어, 스탠드에 세운 첼로의 상부체를 체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보조대(7)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커버(7c)가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4. 제1항에 있어서, 스탠드(1)의 상부 지지대(3)의 상단부에 핀(6p)으로 유착된받침대(6)와, 상부 지지대(3)에 유삽된 고정나사(8b)를 가진 승강링(8)에 연결간 (8a)의 양단부를 핀(8p)으로 유착하여 승강링(8)에 의하여 받침대(6)를 상하로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KR2020020003389U 2002-02-02 2002-02-02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KR200275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389U KR200275598Y1 (ko) 2002-02-02 2002-02-02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389U KR200275598Y1 (ko) 2002-02-02 2002-02-02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598Y1 true KR200275598Y1 (ko) 2002-05-17

Family

ID=7311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389U KR200275598Y1 (ko) 2002-02-02 2002-02-02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5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742B1 (ko) * 2012-03-16 2014-08-27 김영채 현악기용 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742B1 (ko) * 2012-03-16 2014-08-27 김영채 현악기용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1086B1 (en) Collapsible table
JP3445943B2 (ja) 楽器用肩当て
US8262045B2 (en) Stability support TV anti-tip device
WO2002095163A3 (en) Form brace with adjustable face
US9644785B2 (en) Keyboard stand
KR101676922B1 (ko) 3종 통합 색소폰 연주 스탠드 (보면대.거치대.연주 지지대)
US5893331A (en) Beach and outdoor tray attachment for lounge chairs and the like
US6508451B1 (en) Accessory support apparatus for hand held device
US20040051021A1 (en) Adjustable drum stand
KR200275598Y1 (ko)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JP2000500588A (ja) 折畳み式スタンド
US5346073A (en) Portable guitar stand
US7511209B1 (en) Structure of base drum counter-hoop mounted clamp
US7201170B2 (en) Support structure for adult devices
KR200275599Y1 (ko) 절첩되는 색소폰의 스탠드
KR100745333B1 (ko)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DK1279352T3 (da) Opfindelsen angår et klapbord
ATA150394A (de) Puppenständer puppenständer
WO2008033003A1 (en) Musical instrument holder
JPH11249647A (ja) 演奏用ギタースタンドのクランプ、ギターホルダー、ギターブラケット及び演奏用ギタースタンド
KR200348225Y1 (ko) 절첩 가능한 이젤
CN210956124U (zh) 一种古琴调音器
KR910003370Y1 (ko) 첼로 받침구
US20230154444A1 (en) Musical instrument support apparatus
KR20020046361A (ko) 전통악기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