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742B1 - 현악기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742B1
KR101433742B1 KR1020120027223A KR20120027223A KR101433742B1 KR 101433742 B1 KR101433742 B1 KR 101433742B1 KR 1020120027223 A KR1020120027223 A KR 1020120027223A KR 20120027223 A KR20120027223 A KR 20120027223A KR 101433742 B1 KR101433742 B1 KR 10143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and
pedestal
extending
stringed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087A (ko
Inventor
김영채
Original Assignee
김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채 filed Critical 김영채
Priority to KR102012002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74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수평면 상에 놓이는 받침대; 이 받침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형성된 본체; 받침대의 상부로부터 측방으로 뻗어 현악기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현악기의 목부를 수납하는 포크를 포함하되, 지지대는 절곡하여 U자형으로 형성된 결합부, 이 결합부로부터 벌어져 평행하게 뻗은 지지부, 및 이 지지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된 후 하향으로 만곡되어 수평면을 향해 뻗은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서, 크기가 큰 현악기도 안전하고 단정하게 거치하면서 신축 및 접철이 가능하며 충격 등에 의해 구성요소가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신뢰성 있고 상품성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현악기용 스탠드 {STAND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악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악기를 안전하고 단정하게 거치하면서 신축 및 접철이 가능하며 충격 등에 의해 구성요소가 분리되지 않도록 된 신뢰성 있는 현악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기는 외부의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영향에 매우 민감하다. 기타(Guitar) 등의 현악기와 같이 연주시마다 조율이 필요한 악기들은 그 조율 기구에 가벼운 접촉이 있는 것만으로도 악기의 조율된 상태가 흐트러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악기는 항상 그 민감한 구성 부분이 바닥, 벽, 또는 통행자와의 접촉에 노출되지 않도록 놓여져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거의 모든 휴대용 악기에는 악기의 형태에 맞게 형성되어 악기를 놓아두거나 보관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악기를 지지 또는 보관함에 있어서도 악기의 비교적 둔감한 부분이 지지되게 한다.
특히, 기타나 첼로 등의 현악기와 같이 길이가 길고 좁은 목(Neck)부와 넓은 몸통을 구비하는 악기의 경우에는, 그 악기를 안정되게 세워둘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스탠드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탠드는 사용자가 악기를 일정 부위에 정확히 삽입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미리 정해진 위치로부터 약간만 벗어나도 악기가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때에 외부로부터 약간의 충격만 있어도 악기가 바닥에 떨어질 소지가 있다. 그러한 사태가 발생하면, 악기의 조율된 상태가 흐트러질 뿐만 아니라 심지어 악기가 손상되기까지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악기가 그로부터 빠져 나와 떨어질 수 없도록 구성된 스탠드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21174호에 "현악기용 안치대"라는 명칭으로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현악기용 안치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현악기용 안치대에서 목받침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현악기용 안치대(100)는 지주관(50)의 상단으로 조임구(51)를 설치하고, 이 조임구(51)의 안내공(61) 측으로는 목받침대(75)의 승강봉(71)이 삽입 결합되게 하여 조임나사(62)로서 승강봉(71)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가능토록 한다. 지주관(50)의 하측 재치대(80)의 일측으로 홀(Hole; 81)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3방향으로 고정편(56)을 각각 돌설하여 받침간(53, 54)이 접철 또는 전개되도록 하는 고정구(58)를 마련하되, 이들 고정편(56)은 선단 상측으로 걸림돌편(55)을 형성하고 걸림홈을 요설하며, 받침간(53, 54)은 선형 봉상체로 구성하여 일단에 논슬립(Non-Slip)편(57)을 착설시키고 일단의 곡형부(53', 54')가 고정편(56)의 걸림홈에 끼움 결합하게 되어 있다.
지주관(50)의 하단에 위치하는 재치대(80)는 철심을 절곡하여 결합부(82)를 U자형으로 형성하는 한편, 고정구(58)의 상단에 양측으로 안착부(58a)를 마련하고 후방에 걸림부(59a)가 있는 결합구(59)를 형성하여 재치대(80)를 결합하게 된다. 재치대(80)를 회동시켜 안착부(58a)에 안착시킬 때에는 재치대(80)가 고정구(58)를 협지하면서 안착부(58a)에 안치된다.
그리고 승강봉(71)의 상단에는 승강봉(71)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장치구(72)를 구비한다. 또, 장치구(72)의 양측으로는 안착부(73)를 마련하고 후방으로 걸림부(74a)가 마련되는 결합구(74)를 형성하여, 철심으로 절곡된 목받침대(75)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목받침대(75)의 절곡 상태는 양측 안착부(73)에 결합될 수 있도록 U자의 공간부(76)가 형성되며 일측을 타측보다 협소하게 하여 장치구(72)를 협지하도록 구성한다. 목받침대(75)의 전방에는 고정간(77)을 마련하여 내입되는 악기를 안치대(100)에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재치대(80)와 목받침대(75)에는 악기가 접하는 부위에 고무튜브(78, 83)를 씌워, 악기를 보호토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현악기용 안치대(100)를, 예컨대 첼로와 같이 크기가 큰 현악기에 대해 사용하는 경우에 그 무게를 지탱하지 못할 정도로 불안정하여 넘어지기 쉽고, 만일 넘어지면 그 충격으로 인해 목재로 만들어진 현악기의 몸통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는 안치대(100)의 높이 또는 크기를 대형화한다고 해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개선된 구조의 안치대가 요구되었다.
또한, 전술한 구성의 현악기용 안치대(100)에서는, 목받침대(75)에 현악기의 목부를 거치할 때 또는 목받침대(75)에 작은 충격이 가해질 때 목받침대(75)가 장치구(72)의 결합구(74)로부터 빠져 나와 분리되는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도 구성요소의 제작 및 조립을 정밀하게 한다고 해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개선된 구조의 안치대가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크기가 큰 현악기를 안전하고 단정하게 거치하면서 신축 및 접철이 가능하며 충격 등에 의해 구성요소가 분리되지 않도록 된 신뢰성 있는 현악기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스탠드는, 수평면 상에 놓이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형성된 본체; 상기 받침대의 상부로부터 측방으로 뻗어 현악기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현악기의 목부를 수납하는 포크를 포함한 현악기용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절곡하여 U자형으로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벌어져 평행하게 뻗은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된 후 하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수평면을 향해 뻗은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스탠드에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고리 형상의 장치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치구의 일측 양측면에는 단차부가 마련되고, 반대측 내면으로 걸림부를 갖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악기용 스탠드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크기가 큰 현악기도 안전하고 단정하게 거치하면서 신축 및 접철이 가능하며 충격 등에 의해 구성요소가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신뢰성 있고 상품성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구조의 견고성과, 설치의 용이성, 사용의 편리성, 휴대의 간편성 등과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현악기용 안치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현악기용 안치대에서 목받침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현악기용 스탠드를 휴대하기 편리하게 완전히 접철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현악기용 스탠드를 휴대하기 편리하게 완전히 접철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4는 도 3과 대략 동일한 방향에서 바라보지만, 스탠드 전체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게 일부 구성요소의 배치관계를 변형하면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스탠드(200)는, 지면이나 바닥과 같은 수평면 상에 놓이는 받침대(210); 이 받침대(210)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형성된 본체(220); 받침대(210)의 상부로부터 측방으로 뻗어 현악기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대(230); 및 본체(2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현악기의 목부를 수납하는 포크(240)를 포함한다.
받침대(210)는 3방향으로 고정편(202)을 각각 돌설하여 3개의 받침간(203, 204)이 접철 또는 전개되도록 하는 고정구(201)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고정편(202)은 선단 상측으로 걸림돌편(205)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간(203, 204)은 선형 봉상체를 가늘고 긴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일단에 논슬립(Non-Slip)편(207)을 착설시키고 일단의 곡형부(206)가 고정편(202)의 걸림돌편(205)에 걸림 지지되게 되어 있다.
받침간(203, 204)들은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적어도 하나의 받침간(예컨대 203)이 상이한 길이를 가져서, 후술하는 본체(220)가 수직으로 직립하거나, 다소 경사진 채로 세워질 수 있게 된다.
고정구(201)의 상단에는 양측으로 단턱에 의한 안착부(208)를 마련하고 후방에 걸림부(212)가 있는 결합구(211)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지지대(230)를 결합하게 된다. 안착부(208)의 선단에는 이 선단으로부터 직립하여 연장한 돌설부(209)가 더 형성되어 있어, 지지대(230)가 벌어지지 않고 안착부(208)에 위치맞춤하여 안착되게 된다. 지지대(230)를 회동시켜 안착부(208)에 안착시킬 때에는 지지대(230)가 고정구(201)를 협지하면서 안착부(208)에 안치된다.
본체(220)는, 일단이 고정구(201)의 상부 개구부에 억지끼움 결합된 지주관(221)과, 이 지주관(221)으로부터 또는 지주관(221) 내로 신축(伸縮)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승강봉(222)을 구비한다. 지주관(221)의 상단으로 조임구(223)가 설치되고, 이 조임구(223)의 안내공(224) 내에 승강봉(222)이 삽입 결합되게 된다. 조임구(223)에 있는 조임나사(225)의 조임과 해제에 의해 승강봉(222)의 연장하는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는 2개의 승강봉을 갖춘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1승강봉(222a)의 상단에 추가 조임구(223a)가 더 설치되고, 이 추가 조임구(223a)의 안내공(224a) 내에 포크(240)가 장착된 제2승강봉(222b)이 삽입 결합된 후, 추가 조임구(223a)에 있는 조임나사(225a)를 통해 제1승강봉(222a) 및 제2승강봉(222b)의 연장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대(230)는 지주관(221)의 하단에 위치하는 받침대(210)의 고정구(201)에 설치되게 된다. 지지대(230)는 중실(Solid)의 막대 또는 중공(Hollow)의 관부재를 구부려서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대(230)는, 절곡하여 U자형으로 형성된 결합부(231), 이 결합부(231)로부터 상당히 벌어져 평행하게 뻗은 지지부(232), 및 각 지지부(232)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된 후 하향으로 만곡되어 수평면(지면 또는 바닥면)을 향해 뻗은 만곡부(233)를 구비한다. 결합부(231)는 절곡된 부분이 고정구(201)의 후방에 있는 결합구(211)에 끼움 결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또, 결합부(231)의 평행한 부분이 고정구(201)의 양측에 있는 안착부(208) 상에 안착된다. 지지부(232)의 외주면은 현악기가 접하는 부위이므로, 현악기를 보호하기 위해 탄성튜브(234)를 씌워두는 것이 좋다. 이러한 탄성튜브(234)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스탠드(200)의 주요 특징을 구성하는 지지대(230)의 만곡부(233)는, 현악기가 지지부(232)에 놓일 때 현악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로 작용하며, 지지부(232) 상에 크기가 큰 현악기가 놓이더라도 만곡부(233)의 아래로 뻗은 자유단이 수평면(지면 또는 바닥면)에 닿아 지탱할 수 있게 되어서, 스탠드(200) 자체뿐만 아니라 현악기도 넘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현악기용 스탠드(200)는 현악기를 안전하고 단정하게 거치할 수 있다.
본체(2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승강봉(222)의 상단에는 직립된 자세로 배치되어 승강봉(222)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대략 고리 형상의 장치구(241)를 구비한다. 이 장치구(241)의 일측 양측면에는 단차부(242)가 마련되고, 반대측 내면으로는 걸림부(244)를 갖춘 끼움홈(24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단차부(242)의 측면으로는, 즉 폭 방향으로는 장치구(241)의 폭을 증대시키는 보조 단차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어서, 후술하는 포크(240)가 회동하여 단차부(242)에 안착될 때에 포크(240)의 삽입부 사이에 보조 단차부가 빡빡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포크(240)가 단차부(242) 상에 걸림 안착되게 된다.
포크(240)는 중실(Solid)의 막대 또는 중공(Hollow)의 관부재를 구부려서 형성한다. 이러한 포크(240)는, 절곡하여 U자형으로 형성되고 장치구(241)의 끼움홈(243)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부(245), 이 삽입부(245)로부터 벌어져 평행하게 뻗은 수납부(246), 및 이 수납부(246)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간(247)을 구비한다. 삽입부(245)는 절곡된 부분이 장치구(241)의 내면에 있는 끼움홈(243)에 끼움 결합되면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또, 삽입부(245)의 평행한 부분이 장치구(241)의 양측에 있는 단차부(242) 상에 안착되면서 보조 단차부에 밀착되게 된다. 수납부(246)의 외주면은 현악기가 접하는 부위이므로, 현악기를 보호하기 위해 탄성튜브(254)를 씌워두는 것이 좋다. 이러한 탄성튜브(254)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탄성튜브(254)의 중간은 도 4에서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튜브(254)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수납부(246)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씌워질 수 있게 되며, 삽입부(245)의 형상으로 파생된 수납부(246) 사이의 공간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하도록 이어준다.
고정간(247)의 일단은 수납부(246)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된 고리부(248)를 가지며, 고정간(247)의 타단은 수납부(246)의 타측 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쇠부(249)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고정간(247)에 의해 내입되는 현악기를 긴밀히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스탠드(200)의 다른 특징을 구성하는 장치구(241)는, 포크(240)의 삽입부(245)가 이탈될 수 없게 되어 있는데, 장치구(241)에다 포크(240)를 조립할 때에는 수납부(246)의 일측 단부를 고리 형상의 장치구(241)에 끼워 장치구(241)가 삽입부(245)까지 도달하게 한 다음, 중간이 절개된 탄성튜브(254)를 수납부(246)의 양측 단부로부터 씌워 삽입부(245) 또는 수납부(246)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포크(240)에 현악기의 목부를 거치할 때 또는 포크(240)에 작은 충격이 가해질 때 포크(240)가 장치구(241)의 끼움홈(243)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스탠드(200)의 또 다른 특징을 구성하는 장치구(241)는, 그 일측면에 돌출되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251)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이 걸이부(251)를 사용하여 활을 높이방향으로 걸어둘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현악기용 스탠드(200)에는 악기와 활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스탠드(200)의 사용방법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220)의 지주관(221)의 상단에 있는 조임나사(225)를 풀어 적어도 하나의 승강봉(222)을 필요한 높이로 연장시키고, 조임나사(225)를 다시 조여 승강봉(222)을 고정한다. 승강봉(222)이 2개 이상의 승강봉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각 승강봉에 있는 추가 조임구의 조임나사를 조정하여 승강봉(2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승강봉(222)의 상단에 있는 장치구(241)에서 포크(240)를 회동시켜 삽입부(245)가 장치구(241)를 협지하면서 단차부(242)에 안착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받침대(210)의 받침간(203, 204)을 손으로 잡고 그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긴 후 곡형부(206)가 각 걸림돌편(205)에 밀착되게 논슬립편(207)이 착설된 단부를 상향으로 올려주면, 곡형부(206)가 걸림돌편(205)에 대해 걸림 지지된다. 이에 따라 현악기용 스탠드(200)가 안정적인 자세로 세워지게 된다.
다음으로, 고정구(201)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대(230)를 회동시켜 안착부(208) 상에 안치시키고, 현악기를 지지대(230) 상에 올려놓는다. 현악기의 높이 또는 크기에 맞도록 높이가 조절되어 있는 승강봉(222)에 설치된 포크(240)의 수납부(246)에 현악기의 목부를 내입시키고, 고정간(247)으로 현악기의 목부를 고정하면 현악기를 안전하게 안치하게 되는 것이다.
현악기용 스탠드(200)의 사용이 끝난 후에는 전술한 방법을 반대로 하여 스탠드(200) 전체의 부피 및 길이를 도 4에서와 같이 축소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관 또는 운송시에 공간 점유율을 극소화할 수 있으며, 휴대하기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스탠드
210 : 받침대
220 : 본체
230 : 지지대
240 : 포크

Claims (6)

  1. 수평면 상에 놓이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형성된 본체; 상기 받침대의 상부로부터 측방으로 뻗어 현악기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악기의 목부를 수납하는 포크를 포함한 현악기용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절곡하여 U자형으로 형성된 결합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 양단으로부터 벌어져 평행하게 뻗은 지지부, 및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향으로 절곡된 후 하향으로 만곡되어 각각의 단부가 상기 수평면에 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현악기용 스탠드에 놓인 현악기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현악기용 스탠드 및 현악기의 넘어짐을 제한하는 만곡부
    를 구비하며,
    상기 현악기용 스탠드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고리 형상의 장치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치구의 일측 양측면에는 단차부가 마련되고,
    상기 장치구의 반대측 내면으로 걸림부를 갖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포크가 끼움홈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3방향으로 고정편을 각각 돌설하여 3개의 받침간이 접철 또는 전개되도록 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의 상단에는 양측으로 단턱에 의한 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의 선단에는 상기 선단으로부터 직립하여 연장한 돌설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의 후방에는 걸림부가 있는 결합구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를 결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스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구의 상부 개구부에 일단이 결합된 지주관과,
    상기 지주관으로부터 또는 상기 지주관 내로 신축(伸縮)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승강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스탠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절곡하여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치구의 내면에 있는 상기 끼움홈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부터 벌어져 평행하게 뻗은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스탠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구는, 그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스탠드.
KR1020120027223A 2012-03-16 2012-03-16 현악기용 스탠드 KR101433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23A KR101433742B1 (ko) 2012-03-16 2012-03-16 현악기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23A KR101433742B1 (ko) 2012-03-16 2012-03-16 현악기용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87A KR20130105087A (ko) 2013-09-25
KR101433742B1 true KR101433742B1 (ko) 2014-08-27

Family

ID=4945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223A KR101433742B1 (ko) 2012-03-16 2012-03-16 현악기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7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74U (ko) * 1999-05-21 2000-12-26 서동욱 현악기용 안치대
KR200275598Y1 (ko) * 2002-02-02 2002-05-17 윤국원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74U (ko) * 1999-05-21 2000-12-26 서동욱 현악기용 안치대
KR200275598Y1 (ko) * 2002-02-02 2002-05-17 윤국원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87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7110B2 (en) Instrument stand
US8020817B2 (en) Musical instrument stand having holding function
US1003774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 collapsible stand for a stringed instrument
JP3620363B2 (ja) 楽器用スタンド
KR101433742B1 (ko) 현악기용 스탠드
US6437225B1 (en) Compact stand for musical instrument
US20110240807A1 (en) Musical Instrument Stand
KR101850646B1 (ko) 색소폰용 스탠드
US7732688B2 (en) Portable instrument stand
KR100745333B1 (ko) 현악기용 안치대 구조
US9214141B2 (en) Stand and cradle for double bass and cello
KR101418336B1 (ko) 현악기 거치장치
US20140175241A1 (en) Guitar holding rack with an adjustable interval
WO2012164246A1 (en) Supporting stand for portable objects
JP4656020B2 (ja) 譜面立て
KR101592164B1 (ko) 낚시용 받침대
KR200275599Y1 (ko) 절첩되는 색소폰의 스탠드
US8403276B2 (en) Vertical support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KR200480325Y1 (ko) 기타 스탠드
CN220966853U (zh) 一种便携式折叠椅
KR200494061Y1 (ko) 낚시대 받침장치
KR101901331B1 (ko) 연주대
KR200275598Y1 (ko) 절첩되는 첼로의 스탠드
KR101751134B1 (ko) 악기 받침대용 장석 및 이를 구비한 악기받침대
KR102306367B1 (ko) 색소폰용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