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544Y1 -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544Y1
KR200275544Y1 KR2020020006028U KR20020006028U KR200275544Y1 KR 200275544 Y1 KR200275544 Y1 KR 200275544Y1 KR 2020020006028 U KR2020020006028 U KR 2020020006028U KR 20020006028 U KR20020006028 U KR 20020006028U KR 200275544 Y1 KR200275544 Y1 KR 200275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ransfer
temporary
chord
loa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석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06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54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 트러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건물의 하중전이용 보의 시공 시, 상기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가설지지수단을 다수의 층에 걸쳐 설치하는 대신, 한 개 층에만 트러스형식의 가설재를 설치함으로서, 하중전이용 보 시공에 필요한 가설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을 하부층의 기둥으로 직접 전달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건물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다수 층에 걸친 가설지지수단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하부층의 내부 마감공사 등을 조기에 시작할 수 있어 공사의 공기단축 및 공사비절감이 가능한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층의 기 시공된 보의 위로 형성된 상부기둥 상부면에, 잭 서포트와 같은 가설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하중전이용 보; 및 상기 기 시공된 보의 아래로 형성된 하부기둥 사이 및 보의 저면에, 기 시공된 보인 상현재, 하부기둥 사이에 걸쳐 연결되는 강봉인 하현재, 중간재 및 상기 상현재, 하현재,중간재,기둥 과 보의 결합수단를 포함하는 가설트러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temporary truss system for transfer girder using steel bar}
본 고안은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 트러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건물의 상부층 및 하부층의 기둥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상부층의 하중을 하부층 기둥으로 전달하기 위한 하중전이용 보의 시공 시, 상기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강관파이프와 같은 가설지지수단을 다수의 층에 걸쳐 설치하는 대신, 한 개 층에만 트러스형식의 지지용 가설재를 설치함으로서, 하중전이용 보 시공에 필요한 가설지지수단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을 하부층의 기둥으로 직접 전달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건물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다수 층에 걸친 가설지지수단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하부층의 내부 마감공사 등을 조기에 시작할 수 있어, 공사의 공기단축 및 공사비절감이 가능한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상복합건물 또는 오피스텔과 같이 건물의 상부층은 주거 및 거주공간을 형성하는 층으로 시공되고, 건물의 하부층은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일정 기둥 모듈로 설계되는 경우에, 구조적으로 상부층 및 하부층의 기둥이 서로 수직으로 일치하도록 설계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 상부층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직접 하부층의 기둥으로 전달하기 위해, 하중전이용 보(수직으로 일치하지 않는 기둥 사이에 하중전이용 보를 설치하여, 상부층 하중이 상기 하중전이용 보를 경유하여 하부층 기둥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는 하중전달 메커니즘)를 설치하는데, 건물이 고층화 되고, 기둥 간 사이가 커지는 경우 상기 하중전이용 보의 크기는 증대할 수밖에 없으며, 하중전이용 보를 철근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경우 자중이 상당히 커질 수 밖에 없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시까지 그 자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관파이프등과 같은 가설지지수단(300)을 도1과 같이, 상기 하중전이층(하중전이용 보가 설치되는 층,400) 아래 다수의 하부층(500,통상 3-5개층)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설지지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가설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고, 특히 다수의 층에 가설지지수단을 설치함에 따른 공간상 제약 때문에, 상기 가설지지수단이 설치된 층의 내부마감공사 등이 시행될 수 없어 효율적인 공정관리가 될 수 없고, 하중전이용 보의 시공 시 그 자중이 하부층의 바닥판에 직접 전달됨으로서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이 매우 커지는 경우 건물에 구조적으로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하중전이용 보의 시공에 있어, 최소한의 가설지지수단을 이용하면서도 후속공정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효율적인 하중전달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하중전이용 보의 시공방법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본 고안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중전이층 하부의 1 개층에 설치되는 가설트러스 만으로 철근콘크리트 하중전이용 보의 시공시 발생하는 자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 트러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하중전이용 보의 시, 하중 전이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층의 내부마감공종과 같은 후속공종에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공기단축 및 공사비절감이 가능한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 트러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하중전이용 보의 시공 시, 하중 전이층의 하부에 전달되는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의 전달을 하부층의 기둥으로 직접 전달 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구조적으로 안전한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하중전이용 보의 설치 시 다수의 하부층에 설치된 가설지지수단이 설치된 건물의 입면도의 구체예이다.
도2는 본 고안의 가설트러스가 설치된 하부층 및 하중전이층을 도시한 건물의 입면도의 구체예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가설트러스에 의한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의 전달흐름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가설트러스가 설치된 하중전이층을 도시한 건물의 입면도의 다른 구체예이다.
도5는 본 고안의 가설트러스의 중간재가 경사지게 설치된 도2의 변형예이다.
도6a, 도6b 도6c 및 도6d는 본 고안의 가설트러스의 상현재, 중간재, 하현재, 기둥과 보의 결합수단의 구체예이다.
도7은 본 고안의 가설트러스의 중간재 및 하현재의 다른 결합방식에 의한 도2의 변형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가설트러스의 상현재 20:가설트러스의 중간재
30:가설트러스의 하현재 40a,40b,40c,40d:결합수단
100:가설트러스 200:하중전이용보
300:가설지지수단 400:하중전이층
500:하부층 510:하부층의 보
600a,600b:상부기둥,하부기둥
본 고안은 건물의 하중전이용 보의 시공에 있어, 하중전이용 보가 설치되는 하중전이층(400) 또는 하중전이용 보 하부 1개층(500)에 상현재, 중간재 및 하현재로 구성되는 가설트러스(100)를 기둥(600a,600b) 사이에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서 하중전이용 보(200)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동안 발생하는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을 상기 가설트러스에 의하여 가설트러스가 설치되는 기둥(600a,600b)에 전달하는 하중 전달 메커니즘을 이루고 있어, 종래와는 달리 하중전이용 보 아래 다수의 하부층에 가설지지수단을 설치함으로서 필연적으로 가설지지수단의 설치 및 해체를 반복해야하고, 다수의 하부층에서의 후속공종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2 내지 도7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은 가설트러스(100)의 설치위치에 따라 크게 실시예1 및 실시예 2로 구분된다.
상기 실시예1은 도2와 같이 하중전이용 보(200)가 설치되는 하중전이층(400)의 바로 아래 하부층에 가설트러스(100)가 설치되고, 하부전이층(400)에는 잭 서포트와 같은 가설지지수단(300)이 설치되며,
상기 실시예2는 도4와 같이 하중전이용 보(200)가 설치되는 하중전이층(400)에 가설트러스가 설치되어 실시예1과는 달리 하중전이층에 직접 가설트러스가 설치되어 잭 서포트와 같은 가설지지수단(300)을 별도로 이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는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을 지지하는 가설트러스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고, 실시예1과 실시예2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하중전이층 바로 아래 하부층에 가설트러스를 설치하는 방식>
상기 실시예1은 도2와 같이 특정 층 즉, 하중전이층(400)의 바로 아래 1개 하부층(500)에 기 시공된 보(510)의 위로 형성되는 상부기둥(600a)의 상부면에, 잭 서포트와 같은 가설지지수단(300)에 의해 지지되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하중전이용 보(200); 및 상기 기 시공된 보(510)의 아래로 형성된 하부기둥(600b) 사이 및 보(510)의 저면에, 기 시공된 보인 상현재(10), 하부기둥 사이에 걸쳐 연결되는 강봉인 하현재(20), 중간재(30) 및 상기 상현재, 하현재, 중간재, 보 및 기둥의 결합수단(40a,40b,40c,40d)을 포함하여 설치되는 가설트러스(1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하중전이용 보가 설치되는 구조물 즉, 주상복합건물 또는 오피스텔과 같이 건물의 상부층은 주거 및 거주공간을 형성하는 층으로 시공되고, 건물의하부층은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일정 기둥 모듈로 설계되는 경우에 있어, 구조적으로 상부층 및 하부층의 기둥이 서로 수직으로 일치하도록 설계할 수 없는 경우에, 상부층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직접 하부층의 기둥으로 전달하기 위해, 하중전이용 보(수직으로 일치하지 않는 기둥 사이에 하중전이용 보를 설치하여, 상부층 하중이 상기 하중전이용 보를 경유하여 하부층 기둥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는 하중전달 메커니즘)를 설치하는 데 적용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하중전이용 보 및 하중전이용 보를 직접 지지하는 기둥은 콘크리트 타설 전이라는 의미로서 일점쇄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상기 하중전이용 보를 지지하는 상부기둥(600a)으로 구성되는 층을 본 고안에서는 하중전이층(400)이고 하고, 가설트러스(100)가 설치되는 1개의 아래층을 본 고안에서는 하부전이층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다는 의미로 하부층(500)이라고 하며, 상기 하중전이층(400)을 구성하는 하중전이용 보(200) 및 상부기둥(600a)과 상기 하부층(500)을 구성하는 보(510) 및 하부기둥(600b)은 통상적인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하중전이층(400)을 구성하는 하중전이용 보(200) 및 상부기둥(600a)을 일체로 콘크리트로 제작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는 일정 크기 및 형상의 거푸집이 미리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을 미리 지지하며, 하중전이용 보를 형성시키기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그 하중을 지지하며, 나아가 타설된 콘크리트의 자중을 하부층(500)에 전달하기 위해 잭 서포트(일종의 강관파이프)와 같은 가설지지수단(300)을 기 시공된 하부층(500)의 보(510)에 수직으로 도2와 같이 다수 설치한다.
상기 가설트러스(100)는 하부층(500)의 하부기둥(500a) 사이에, 기 시공된 보(500)의 저면에 상기 보(510)인 상현재, 하부기둥 사이에 걸쳐 형성되는 강봉인 하현재, 상기 상현재 및 하현재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재 및 그 결합수단으로 구성되며, 하중전이층(400)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전이용 보(200)의 자중을 하부기둥(600b)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중 전달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3과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 될 하중전이용 보(200)의 자중은 상부기둥(600a)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잭 서포트와 같은 가설지지수단(300)에 의하여 하부층(500)의 보(510)에 전달된다.
상기 전달된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은 상기 보(510)에 압축력으로 작용되어 보(510)의 강성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보(510)는 본 고안의 가설트러스(100)의 상현재(10)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전달된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은 상기 보의 저면 과 하부기둥(600b) 사이에 걸쳐 다수의 강봉이 연결되어 설치된 하현재(20)에는 인장력으로 작용되어 역시 하현재의 강성에 의해 지지된다.
나아가 상기 전달된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은 상기 보(510)인 상현재(10)와 하현재(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중간재(30)에 압축력으로 작용되어, 역시 중간재의 강성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서 하중전이용 보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은 가설트러스(100)에 의해 대부분 지지되면서 최종적으로 하부기둥(600b)를 통해 하부층으로 전달되어 결국,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에 해당하는 하중이 하중전이층의 아래1개층인 하부층에만 설치되는 가설트러스에 의해 지지됨으로서, 종래처럼 여러 하부층에 잭 서포트와 같은 가설지지수단(300)을 설치하지 않다고 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서 하부층(500) 이하의 층에서는 내부 마감과 같은 후속 공종이 방해 받지 않고 시행될 수 있어, 건물시공에 있어 공정관리의 계속성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건물시공의 공기단축 과 공사비절감의 효과가 있다.
상기 가설트러스(100)는 상현재(10), 중간재(20), 하현재(30) 및 결합수단(40a,40b,40c,40d)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 시공된 하부층(500)의 보(510)가 실시예1에서는 상현재(10)로 기능한다. 즉 하중전이용 보(200)의 자중이 잭 서포트와 같은 가설지지수단(300)에 의해 하부층의 보(510)에 압축력으로 작용하면, 그 압축력이 보의 강성에 의해 지지된다. 즉 하부층의 보를 가설트러스의 상현재로서 이용함으로서, 별도의 상현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적인 가설트러스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중간재(20)는 도2와 같이 기 시공된 보(510)의 저면에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도5와 같이 좌, 우로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하부기둥(600b) 사이의 거리, 하중전이용 보(200)의 자중 등과 같은 지배인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간재(20)와 하부층(500)의 보(510)인 상현재(10)의 결합수단(40a)의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 도6a이다. 즉, 상기 보(510)의 저면에 먼저 사각형상의 베어링판(41)을 중간재가 설치되어야 하는 부위에 먼저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판(41)과 접하여 중간재의 상부면에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된 강판(42)을 설치한 후, 앵커볼트(43)로 베어링판 및 강판을 관통하여 보(510)에 삽입하여 중간재(20)가 상현재(10)인 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서 삽입된 앵커볼트를 제거하면 용이하게 찰탁이 가능하다.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중간재를 도5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우에도 베어링판, 강판 및 앵커볼트를 이용하되, 중간재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중간재의 상부단면을 가공하여 강판이 베어링판에 접하도록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하면 된다.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간재(20)는 도2와 같이 하현재(30)에 의하여 선단부가 결합수단(40b)에 막혀 지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도7과 같이 하현재(30)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하부층(500)의 바닥판(520) 근처까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중간재를 하부층의 보(510)의 저면으로부터 바닥판까지 수직으로 받침판(530)을 이용하여 설치한 후, 상기 받침판을 제거함으로서 가능하다. 도7과 같이 중간재를 설치하면 가설트러스 특히 중간재의 현장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중간재(20)는 통상 강관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앵글과 같은 형강을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간재(20)가 후술되는 하현재(30)의 결합수단(40b)에 막혀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경우의 결합수단의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 도6b이다.
상기 결합수단(40b)은 수직재(20)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중간재수용부가 형성된 몸체(44), 상기 몸체 양쪽에 형성된 보강판(gusset plate,45), 상기 보강판에 연결핀(46)으로 결속되는 소켓(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중간재(20)는 선단부가 몸체(44)의 중간재수용부에 삽입되어 몸체의 막힌 하단부에 지지되어 고정되고, 몸체의 양쪽에 형성된 소켓에 하현재(30)인 강봉이 사다리꼴 형상이 머리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7과 같이 중간재가 결합수단(40b)을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결합수단의 몸체의 하단부가 막히지 않은 것을 이용하면 된다.
하현재는 본 고안에서 고강도 강봉을 이용하며, 도2와 같이 하부층의 보(510)의 저면에 설치된 베이링판 및 강판으로 구성된 결합수단(40a)에 설치해도 되고, 하부층의 하부기둥(600b)에 도6c와 같이 상기 하부기둥(600b)에 형성된 보강판(gusset plate,45), 상기 보강판에 연결핀(46)으로 결속되는 소켓(47)을 이용하여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7과 같이 4개의 경사진 중간재를 사용하는 경우 하현재를 하부기둥(600b) 또는 보에 매입하되, 도6d와 같이 기둥 또는 보에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매입되는 인서트(48), 상기 정착판(49)을 관통하여 인서트를 고정시키는 연결볼트 및 상기 정착판(49)에 연결핀 등으로 설치되는 소켓(47)을 이용하여강봉(3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중간재 및 하현재는 다양한 기계적 결합수단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해체가 가능하며, 하부층의 바닥판과는 일정높이로 상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설트러스가 지지하는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이 직접 하부층의 바닥판에 전달되지 않고, 가설트러스가 형성되는 하부층의 하부기둥(600b)으로 최종적으로 전달된다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2:하중전이층에 가설트러스를 설치하는 방식>
상기 실시예2는 도4와 같이 기시공된 하중전이층(400)의 상부기둥(600a)에 지지되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하중전이용 보(200); 및 상기 상부기둥(600a) 사이 및 하중전이용 보(100)의 저면에, 형강과 같은 강재인 상현재(10), 상부기둥 사이에 걸쳐 연결되는 강봉인 하현재(20), 중간재(30) 및 상기 상현재, 하현재, 중간재,기둥 및 보의 결합수단(40a,40b,40c,40d)을 포함하여 설치되는 가설트러스(100)를 포함한다.
즉 실시예1과는 달리 가설트러스(100)를 하중전이층(400)에 직접설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하중전이층(400)의 상부기둥(600a)이 먼저 하부층(500)의 보(510) 상부면에 기시공되어 가설트러스의 하현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시공되어야 하며, 실시예1에서는 가설트러스의 상현재로서 기 시공된 하부층(500)의 보(510)가 기 시공 되었기 때문에 직접 상기 보(510)를 상현재로 이용할 수 있었지만, 실시예 2에서는 하중전이용 보(200)가 형성되기 전이므로 미리 상현재로서 형강과 같은 강재를 사용하여 별도로 하현재(10)을 형성시킨다는 데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가설트러스(100)의 중간재(20) 및 하현재의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중간재를 도2 및 도7과 같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현재에 선단부가 하현재에 막혀 지지되도록 설치할 수 도 있고, 하현재를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나아가 하현재의 경우도 강봉을 이용하되, 그 결합수단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실시예2는 실시예1과 비교하여 가설지지수단이 형성되는 공간을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어, 실시예1보다는 가설수단의 설치 및 해체비용, 가설수단을 많이 설치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후속공종의 방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하중전이용 보의 시공에 있어, 하중전이용보의 자중을 하중전이층 또는 하중 전이층 아래 하부 1개층에 형성되는 하부층에 가설트러스에 의해 지지하고, 나아가 하부층의 기둥에 의하여 전달시킴으로서, 종래와는 달리 여러 하부층에 가설지지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가설지지수단의 설치 및 해체비용이 절감되고, 하부층의 후속공종을 방해받지 않고 시공할 수 있어 건물시공에 있어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

Claims (8)

  1. 건물의 하중전이용 보(transfer beam)의 시공에서,
    특정 층의 기 시공된 보의 위로 형성된 상부기둥 상부면에, 잭 서포트와 같은 가설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하중전이용 보; 및
    상기 기 시공된 보의 아래로 형성된 하부기둥 사이 및 보의 저면에, 기 시공된 보인 상현재, 하부기둥 사이에 걸쳐 연결되는 강봉인 하현재, 중간재 및 상기 상현재, 하현재, 중간재, 하부기둥 과 보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가설트러스;
    를 포함하며, 여러 층에 걸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지지수단이 필요 없이도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2. 건물의 하중전이용 보(transfer beam)의 시공에서,
    특정 층의 기 시공된 보의 위로 형성된 기둥 상부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하중전이용 보; 및
    상기 기 시공된 기둥 사이 및 하중전이용 보의 저면에, 하중전이용 보의 저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형강과 같은 강재인 상현재, 기 시공된 기둥 사이에 걸쳐 연결되는 강봉인 하현재, 중간재 및 상기 상현재, 하현재, 중간재, 기둥과 보의 결합수단를 포함하는 가설트러스;
    을 포함하며, 여러 층에 걸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지지수단이 필요 없이도 하중전이용 보의 자중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상현재와 중간재의 결합수단은,
    상현재에 접하여 형성된 베어링 판;
    상기 베어링 판과 접하여 설치되며, 중간재에 형성된 강판; 및
    상기 베어링 판과 강판을 관통하여 상현재에 삽입되는 앵커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강봉인 하현재의 기둥 또는 보와의 결합수단은,
    기둥 또는 보에 형성된 소켓판에 연결핀으로 고정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 내부에 걸려 빠져 나오지 않도록 사다리꼴 형상과 같은 연결부가 형성된 강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강봉인 하현재의 기둥 또는 보와의 결합수단은,
    기둥 또는 보에 매입된 인서트에 연결볼트로 고정되는 정착판; 및
    상기 정착판에 연결핀에 의하여 설치되는 소켓에 설치된 강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강봉인 하현재와 중간재의 결합수단은,
    중간재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판에 연결핀으로 설치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 내부에 걸려 빠져 나오지 않도록 사다리꼴 형상과 같은 연결부가 형성된 강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중간재와 하현재의 결합수단에 설치되는 중간재는
    상기 중간재의 하단부가 상기 결합수단의 막힌 중간재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중간재의 하단부가 상기 결합수단의 중간재 수용부를 관통하여 일정길이 만큼 하현재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중간재는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KR2020020006028U 2002-02-28 2002-02-28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KR200275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28U KR200275544Y1 (ko) 2002-02-28 2002-02-28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28U KR200275544Y1 (ko) 2002-02-28 2002-02-28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544Y1 true KR200275544Y1 (ko) 2002-05-11

Family

ID=7307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28U KR200275544Y1 (ko) 2002-02-28 2002-02-28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5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8817B2 (ja) Pcトラス壁体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US5671573A (en) Prestressed concrete joist
KR20010078870A (ko) 프리스트레스트 복합 트러스 보의 개발 및 제작공법
JP2007077630A (ja) プレキャスト主桁セグメントを使用した連続桁およびその架設方法
KR101991930B1 (ko)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CN108316466B (zh) 一种预制飘窗构件、装配式飘窗节点构造及其施工方法
KR20020086506A (ko) 복합 구조 프레임 시스템
KR100788396B1 (ko) 무지주 프리스트레스트 보거푸집 및 이의 설치구조
KR100770006B1 (ko) Pc기둥 수직연결철근의 보강구조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20190007787A (ko) 확대블록을 갖는 psc 곡선 거더
KR200275544Y1 (ko) 강봉을 이용한 하중전이용 보의 가설트러스 시스템
KR102430362B1 (ko) 사일로 내부 콘 프리캐스트 시공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일로 내부 콘의 프리캐스트 시공방법
JP2006207209A (ja)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JP3877995B2 (ja) 張弦桁橋の構築方法
KR200233599Y1 (ko) 교각의 철근 설치구조
KR100841387B1 (ko) 무지주 프리스트레스트 보거푸집
KR20010088998A (ko) 가설교량 주거더에 있어 편향부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콤팩트 거더의 시공법과 그 구조
JP2003138521A (ja) 床版の打替工法
JPH0434161A (ja) Pc柱及びpc柱構法
RU2380494C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бор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лонн с монолитным перекрытием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0153719B1 (ko) 중간판이 형성된 기성콘크리트기둥 및 그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0946277B1 (ko) 아치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CN101454519A (zh) 面状的混凝土支承结构和用于制造该混凝土支承结构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