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350Y1 - 피.씨.비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피.씨.비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350Y1
KR200275350Y1 KR2020020004713U KR20020004713U KR200275350Y1 KR 200275350 Y1 KR200275350 Y1 KR 200275350Y1 KR 2020020004713 U KR2020020004713 U KR 2020020004713U KR 20020004713 U KR20020004713 U KR 20020004713U KR 200275350 Y1 KR200275350 Y1 KR 200275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strate
ground
in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옥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배은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배은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배은정밀
Priority to KR2020020004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35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P.C.B기판에 일체로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접지단자와 커버의 구조를 변경하여 고전압으로부터 접지단자와 +, - 단자가 단락되어 기기에 하자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방지함과 동시에 전자파의 발생을 감쇄시키고 조립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씨.비 기판용 인레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통공이 형성된 플렌지부를 포함하는 기판의 전측에 플러그 삽입구와 후측에 +, -, 접지단자가 일렬로 배열된 단자고정구에 커버를 결합한 고정핀에 의해 P.C.B 기판에 고정되는 통상의 인레트에 있어서, 상기 단자고정구에 내측에 마련된 3개의 지지편에 +단자와 -단자 및 접지단자를 삼각형상으로 배설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피.씨.비기판용 인레트의 구조{Inlet structure for printed circuit board}
본 고안은 P.C.B 기판에 일체로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접지단자와 커버의 구조를 변경하여 고전압으로부터 접지단자와 + , - 단자가 단락되어 기기에 하자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방지함과 동시에 전자파의 발생을 감쇄시키고 조립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씨.비 기판용 인레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인레트의 구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일체의 본체(10)에 형성된 단자고정구에 + 전원이 인가되는 + 단자(11)와 - 전원이 인가되는 - 단자(12) 및 그라운드(Ground)에 접지되는 접지단자(13)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 단자(11)와 - 단자(12) 및 접지단자(13)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ㄱ"형상으로 일측에는 플러그삽입구(11a,12a,13a)와 타측에는 접지부(11c,12c,12c)를 갖는 직립부(11b,12b,13b)가 형성된 것으로서, 인레트 본체(10)에 마련된 단자고정구(8)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열된 각 단자를 P.C.B(Printed circuit board)기판(20)에 형성된 체결공(20a)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각 단자의 배열은 각단자간의 간격을 넓게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기의 작동중 고전압이나 이상전압이 걸리게 되면 단락되거나 또는 기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게되며, 또 단자 상호간의 간섭을 받아 각종의 전자파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하는 + 단자와 - 단자 및 접지단자의 간극을 최대한 넓게 확보함으로써 이상전압에 의한 단자의 단락방지와 전자파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피.씨.비 기판용 인레트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를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그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씨.비 기판용 인레트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를 고정하는 체결구의 외주연에 롤링부를 형성하여 P.C.B기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피.씨.비 기판용 인레트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통공이 형성된 플렌지부를 포함하는 기판의 전측에 플러그 삽입구와 후측에 +, -, 접지단자가 일렬로 배열된 단자고정구에 커버를 결합한 고정핀에 의해 P.C.B 기판에 고정되는 통상의 인레트에 있어서, 상기 단자고정구에 내측에 마련된 3개의 지지편에 +단자와 -단자 및 접지단자를 삼각형상으로 배설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본체의 중앙에 매립되는 접지단자는 직립부의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단부를 하향으로 절곡한 접지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P.C.B기판에 결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구성요소인 접지단자의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인레트에 사용되는 단자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플러그 삽입구 2…플렌지부 2a…통공 3…고정핀
4…기판 5,6,7…지지편 5a,6a,7a…안착홈 8…단자고정구
9…커버 10…본체 11…+ 단자 12…- 단자 13…접지단자
20…P.C.B기판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P.C.B기판에 결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구성요소인 접지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동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커버(9)를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고정되는 + 단자(11)와 - 단자(12) 및 접지단자(13)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기판(4)의 전측에는 플러그를 결합하기 위한 플러그삽입구(1)가 구비되고 후측에는 단자고정구(8)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기판(4)의 저면에는 통공(2a)이 형성된 플렌지부(2)가 일체로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통공(2a)에는 외주연에 롤링부(3a)가 형성된 고정핀(3)을 결합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핀(3)의 외주연에 형성된 롤링부(3a)는 본체(10)를 P.C.B기판(20)에 결합시에 요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자고정구(8)는 양측면과 상면에는 커버(9)를 슬라이딩 결합하기 위한 체결편(8a)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 - 및 접지단자(11,12,13)를 고정하기 위한 안착홈(5a,6a,7a)이 형성된 3개의 지지편(5,6,7)이 배설된 것으로서, 상기 3개의 지지편(5,6,7)에서 접지단자(13)를 결합하게 되는 중앙의 지지편(6)은 상부로 연장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3개의 지지편(5,6,7)에 일체로 결합되는 3개의 단자중 + 단자(11)와 - 단자(12)는 일측은 플러그가 결합되는 플러그 삽입부(11a,12a)와, 상기 플러그 삽입부(11a,12a)의 외측단부에는 P.C.B기판(20)에 고정되는 접지부(11c,12c)를 포함하는 직립부(11b,12b)가 일체로 형성된 "ㄱ" 형상으로서 이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다.
중앙에 위치하는 접지단자(13)는 + 단자(11), - 단자(12)와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그 구조를 하기와 같이 변형시킨 것이다.
즉, 직립부(13b)를 + 단자(11)와 - 단자(12)보다 길게 하여 단부를 내향으로 절곡한 절곡부(13d)와, 상기 절곡부(13d)의 단부를 다시 하향으로 절곡하여 접지부(13c)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 - 단자(11,12) 및 접지단자(13)를 단자고정구(8)에 형성된 지지편(5,6,7)에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각 단자간의 간격이 넓게 확보됨으로써 단자의 단선을 방지하고 P.C.B기판(20)상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또 단자간의 간격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전자파의 발생이 예방되는 것이다.
또한 단자고정구(8)에 형성된 체결편(8a)에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9)는 내주면에 안내레일(9a)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기 체결편(8a)에 안내레일(9a)을 밀어 넣음으로서 커버(9)를 본체(10)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지단자(13)의 구성을 도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러그 삽입부(13a)와 직립부(13b)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직립부(13b)의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절곡부(13d)와, 상기 절곡부(13d)를 다시 하향으로 절곡한 접지부(13c)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절곡부(13d)의 길이는 후술하는 + 단자(11)와 - 단자(12)보다 길게 연장하여 + 단자(11)와 - 단자(12)와 삼각형상으로 이룸으로써, 그 만큼 각 단자간의 간격을 넓게 확보되어 상호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전자파 등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접지단자(13)는 본체(10)에 + 단자(11)와 - 단자(12)와 함께 고정되는 것으로서, 본체(10)에 3개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중앙에는 접지단자(13)를 결합하고, 상기 접지단자(13)의 양측에는 "ㄱ"자 형상의 + 단자(11)와 - 단자(12)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 단자(11)와 - 단자(12) 및 접지단자(13)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삼각형을 이루어 각각의 단자사이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 단자의 넓은 간극으로 기기의 사용중 고전압이나 이상전압이 인가되어도 단자가 단락되므로서 기기에 손상을 미치지 않게 되어 각 단자와의 간극이 넓어짐으로써 각종의 전자파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P.C.B기판(20)상에 본체(10)의 결합에 있어서도 3개의 단자가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지단자와 커버의 구조를 변형함으로써 + 단자와 - 단자 및 접지단자와의 상호간의 간격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이로 인한 단자의 단락이나 손상 및 전자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P.C.B기판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자고정구에 마련된 체결편에 커버를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그만큼 조립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통공(2a)이 형성된 플렌지부(2)를 포함하는 기판(4)의 전측에 플러그 삽입구(1)와 후측에 +, -, 접지단자(11,12,13)가 일렬로 배열된 단자고정구(8)에 커버(9)를 결합하여 고정핀(3)에 의해서 P.C.B 기판에 장착되는 통상의 인레트에 있어서, 상기 단자고정구(8)에 내측에 마련된 3개의 지지편(5,6,7)에 +단자(11)와 -단자(12) 및 접지단자(13)를 삼각형상으로 배설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지지편(5,6,7)에서 접지단자(13)를 고정하는 중앙의 지지편(6)은 상부로 연장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13)의 직립부(13b)의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절곡부(13d)와 상기 절곡부(13d)의 단부를 하향으로 절곡한 접지부(13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3)은 외주연에 롤링부(3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9)의 내측면에는 단자고정구(8)에 형성된 체결편(8a)에 일체로 결합되는 안내레일(9a)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KR2020020004713U 2002-02-18 2002-02-18 피.씨.비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KR200275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13U KR200275350Y1 (ko) 2002-02-18 2002-02-18 피.씨.비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13U KR200275350Y1 (ko) 2002-02-18 2002-02-18 피.씨.비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350Y1 true KR200275350Y1 (ko) 2002-05-11

Family

ID=7311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713U KR200275350Y1 (ko) 2002-02-18 2002-02-18 피.씨.비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3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7723B2 (en) 2003-11-20 2006-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inlet soc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7723B2 (en) 2003-11-20 2006-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inlet so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799A (en) Board-mountabl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867268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273398B2 (en) Electrical device carrier contact assembly
JP3811403B2 (ja) パネル表裏何れの壁面からも取付可能な係止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
JPH1050410A (ja) コネクタ
US7641507B2 (en) Cable connector
JP2005158710A (ja) パワーインレットソケット
JPH113749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WO2001003246A1 (fr) Connecteur pour cartes avec contact a la masse
KR20010082144A (ko) 회로 기판 스트래들 장착식 커넥터
KR200275350Y1 (ko) 피.씨.비기판용 인레트의 구조
JP2002151191A (ja) 電気コネクタ
KR100291289B1 (ko) 향상된접지접촉부를구비한안내부시를갖는커넥터
US20060128213A1 (en) Connector and nut holding structure for connector
JPH06140096A (ja) 電気コネクタに於けるガイド部材
JP2000156263A (ja) 回路基板に実装する為の補強シ―ルド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CN217934332U (zh) 一种用于高速连接器的带供电结构光模块
JP2000068013A (ja) 変換コネクタ
KR200398887Y1 (ko) 케이블 커넥터
US20030181096A1 (en) Structure of connector outer shell
JPS6026463Y2 (ja) 小型電球の装着装置
KR200183101Y1 (ko)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JPH0522982Y2 (ko)
JP2001332343A (ja) 電気コネクタ
US6331125B1 (en) Structure of a connector for computer peripher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