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840Y1 -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 - Google Patents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840Y1
KR200273840Y1 KR2020020003618U KR20020003618U KR200273840Y1 KR 200273840 Y1 KR200273840 Y1 KR 200273840Y1 KR 2020020003618 U KR2020020003618 U KR 2020020003618U KR 20020003618 U KR20020003618 U KR 20020003618U KR 200273840 Y1 KR200273840 Y1 KR 200273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a
diary
attached
pres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미스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스터케이 filed Critical (주)미스터케이
Priority to KR2020020003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840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이어리를 휴대하면서 동시에 편리하게 PDA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표지(1a, 1b)를 절첩가능하게 구성한 케이스(1)와, 케이스 내측의 중앙부에 부착된 고정구(2), 및 고정구(2)의 복수개의 고정링(2a)에 결합된 기록지묶음(3)으로 이루어진 다이어리(diary)에 있어서, 양측표지중 앞쪽의 제 1 표지(1a)에는 그 외측면에서 내측면측으로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일체로 형성된 PDA삽입구(4)가 구비되고, PDA삽입구(4)는 PDA(6)를 고정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쪽 내측면에 부착된 고정수단(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를 제시한다.

Description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DIARY WITH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본 고안은 휴대용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다이어리에 PDA를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이어리를 사용하면서 편리하게 PDA를 사용할 수 있는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은 휴대성이 편리한 기능성 수첩으로서 다이어리(diary)를 많이 사용한다. 다이어리는 소정 기간의 계획과 일정, 약속, 그날 그날의 대소사 등을 간단히 기록하고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 주머니에 넣고 다니거나 손으로 들고 다닌다.
또한, 최근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휴대하고 이동중에 PDA를 통해 전자책을 보거나 무선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확인하고 검색하는 사람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PDA는 디지털 문화로 산업 문화가 발전되면서 개인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는 기기를 뜻하며, 기본적으로 개인의 일정, 연락처, 할일 등의 개인의 일상 생활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oftware)의 기능 외에도, 문서와 각종 데이터, 무선데이타 통신 등을 할 수 있는 이동 정보 단말기를 일컫는다.
특히 인터넷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 따라 사용자들의 인터넷 사용 환경에 대한 인식이 모바일 환경으로 발전되게 되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소형, 축약 기술이 발전되어 소형의 다양한 PDA 단말기들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다이어리와 PDA를 휴대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다이어리와 PDA를 각각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그것들을 각각 꺼내어 사용한다.
즉, 다이어리와 PDA를 별도로 휴대하는 경우, 다이어리와 PDA를 휴대하는데 따른 노력이 중복되고, 또한 다이어리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PD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보관된 PDA를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꺼내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이어리와 PDA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을 제거하고 다이어리를 사용하면서도 편리하게 PDA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PDA를 분리하여 PDA만을 들고 다닐 수 있는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를 제공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이어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PDA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PDA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다이어리에서 앞쪽 표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앞쪽 표지에 대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고정구
3 : 기록지묶음 4 : PDA삽입구
5 : 고정밴드 6 : PDA
7 : 고정수단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양측표지를 절첩가능하게 구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의 중앙부에 부착된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의 복수개의 고정링에 결합된 기록지묶음으로 이루어진 다이어리(diary)에 있어서, 앞쪽의 제 1 표지에는 그 외측면에서 내측면측으로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일체로 형성된 PDA삽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PDA삽입구는 PDA를 고정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쪽 내측면에 부착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벨크로(velcro)와 유사한 한쌍의접착천이고, 상기 한쌍의 접착천은 상기 PDA삽입구의 적어도 한쪽 내측면과 상기 PDA의 대응하는 소정 부분에 각각 부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양측표지(1a, 1b)를 절첩가능하게 구성한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측의 중앙부에 부착된 고정구(2), 및 고정구(2)의 복수개의 고정링(2a)에 결합된 기록지묶음(3)으로 이루어진 다이어리(diary)에 있어서, 앞쪽의 제 1 표지(1a)에는 그 외측면에서 내측면측으로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일체로 형성된 PDA삽입구(4)가 구비되고, PDA삽입구(4)는 PDA(6)를 고정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쪽 내측면에 부착된 고정수단(도 2의 7 참조)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케이스(1)는 다이어리의 형태 유지를 위해 다소 딱딱한 내부소재와 외부에 피복시킨 비닐소재를 사용하여 앞쪽과 뒤쪽 표지들 및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표지로 만들어지며, 그 가운데 앞쪽과 뒤쪽 표지는 대략 가로 13㎝ 세로 19㎝의 크기로 만들어진다. 앞쪽 표지(1a)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구(2)는 금속으로 복수개의 고정링(도 4의 2a 참조)을 포함하고 케이스(1)의 중간표지 내측에 고정 부착되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록지묶음(3)을 복수개의 고정링(2a)을 통해 케이스(1) 내에 유동가능하게 고정시킨다.
기록지묶음(3)은 수십장 내외의 종이묶음으로 앞서 설명한 고정구(2)의 고정링(2a)을 통해 케이스(1)에 유동 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필기에 이용된다.
PDA삽입구(4)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PDA(6)를 세워서 끼울 수 있는 크기로 앞쪽 표지(1a)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일부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앞쪽 표지(1a)의 소정부분에 일체로 구비된다. 도면에서 PDA삽입구(4)에는 PDA(6)가 꼭맞게 삽입되어 있고 PDA(6)의 일부분이 앞쪽 표지(1a)의 표면상에 약간 돌출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은 다이어리의 PDA삽입구(4)의 전면(4a)측에서 PDA삽입구(4)에 삽입된 PDA(6)가 다이어리의 앞쪽 표지(1a)의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더욱 소형박형의 PDA를 이용하여 다이어리 및 PDA(6)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고 분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이어리에서는 다이어리를 덮고 그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5)가 뒤쪽 제 2 표지(1b)의 한쪽 측면 중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여 앞쪽 제 1 표지(1a)의 외측면 위에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고정밴드(5)의 말단부와 제 1 표지(1a)의 대응부분에 부착된 한쌍의 똑딱 단추(5a, 5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서 PDA(6)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PDA(6)를 분리하여 PDA만을 사용하거나 휴대할 때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PDA(6)는 일반적인 PDA보다 크기가 작은 소형 PDA를 사용한다. PDA(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버튼(6a)과 디스플레이부(6b) 및 플립형 투명창(6c)으로 이루어지고 투명창(6c)은 위쪽으로 개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PDA(6)는 PDA삽입구(4)에 적절하게 삽입고정되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DA보다 소형 박형인 PD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7)은 PDA삽입구(4)의 전면(4a)측에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의 바닥면에 부착된 접착천을 포함한다. 또한, 이 접착천과 결합하는 대응 접착천이 PDA(6)의 배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적절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고정수단(7) 즉, 한쌍의 접착천은 PDA(6)가 PDA삽입구(4)에 삽입되어 고정지지되도록 작용한다.
도 4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서 앞쪽의 제 1 표지(1a)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 1 표지(1a)에 일체로 부착되는 PDA삽입구(4)가 제 1 표지(1a)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 1 표지(1a)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표지(1a)는 외측 커버(1a1), PDA삽입구(4), 스펀지(1a2), 판지(1a3) 및 내측 커버(1a4)로 이루어진다.
외측커버(1a1)는 앞쪽 표지(1a)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PDA삽입구(4)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절단부(1a1a)를 갖는다. 분리된 PDA삽입구 형성 부재는 그의 접합부(4c)를 상술한 절단부(1a1a)의 가장자리(점선부분)에 열접합시킴으로써 외측커버(1a1)에 고정 부착된다.
또한 앞쪽 표지(1a)는 PDA삽입구(4)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절단부(1a2a; 1a3a)를 각각 갖는 스펀지(1a2)와 판지(1a3)를 사이에 두고 내측커버(1a4)와 가장자리 부분에서 서로 접합된다. 이때, PDA삽입부(4)의 배면(4b)은 스펀지(1a2)와 판지(1a3)의 각 절단부(1a2a; 1a3a)를 관통하여 내측커버(1a4)에 접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PDA삽입구(4)는 앞쪽 표지(1a)에 확실하게 고정 부착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이어리와 PDA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을 제거하고 다이어리를 사용하면서 편리하게 PDA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에서 PDA를 분리하여 PDA만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양측표지(1a, 1b)를 절첩가능하게 구성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 내측의 중앙부에 부착된 고정구(2), 및
    상기 고정구(2)의 복수개의 고정링(2a)에 결합된 기록지묶음(3)으로 이루어진 다이어리(diary)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지(1a)에는 그 외측면에서 내측면측으로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일체로 형성된 PDA삽입구(4)가 구비되고,
    상기 PDA삽입구(4)는 PDA(6)를 고정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쪽 내측면에 부착된 고정수단(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7)은 한쌍의 접착천이고,
    상기 한쌍의 접착천은 상기 PDA삽입구(4)의 적어도 한쪽 내측면과 상기 PDA(6)의 대응하는 소정 부분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
KR2020020003618U 2002-02-05 2002-02-05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 KR200273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18U KR200273840Y1 (ko) 2002-02-05 2002-02-05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18U KR200273840Y1 (ko) 2002-02-05 2002-02-05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840Y1 true KR200273840Y1 (ko) 2002-04-27

Family

ID=7307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618U KR200273840Y1 (ko) 2002-02-05 2002-02-05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8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094B1 (ko) * 2009-02-18 2012-05-17 백순현 디지털 다이어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094B1 (ko) * 2009-02-18 2012-05-17 백순현 디지털 다이어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4300B2 (en) Mechanically attached folding cover
US7050293B2 (en) Foldable mobile station with non-cylindrical hinge
US6819549B1 (en) Hinged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618065B2 (en) Multi-functional cover
US20090104949A1 (en) Connecting device, and small electronic apparatus and folding portable terminal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70053504A1 (en) Connec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same, and folding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273840Y1 (ko) Pda가 부착된 다이어리
KR200273842Y1 (ko) 녹음다이어리가 부착된 다이어리
KR200273839Y1 (ko) 라디오가 부착된 다이어리
KR200362161Y1 (ko) 휴대용단말기줄
KR200273841Y1 (ko) 오락기가 부착된 다이어리
KR200360007Y1 (ko) 필기구가 구비된 핸드폰 악세서리
US20020088516A1 (en) Wallet organizer and method therefor
KR100433448B1 (ko)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EP2632123B1 (en) Mechanically attached folding cover
KR200164032Y1 (ko) 다기능바인더
KR200237930Y1 (ko) 거울수첩
KR200291847Y1 (ko) 거울이 부착된 공책
JP2000071686A (ja) 携帯筆記用具
JP4657623B2 (ja) 電子機器
JP2001080242A (ja) ページのポケット
KR20030123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KR200300421Y1 (ko) 바인더 고리 결합체
JP2004130061A (ja) 携帯用電子機器保護ケース
KR200328533Y1 (ko) Usb 드라이브 손목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