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161Y1 - 휴대용단말기줄 - Google Patents

휴대용단말기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161Y1
KR200362161Y1 KR20040015874U KR20040015874U KR200362161Y1 KR 200362161 Y1 KR200362161 Y1 KR 200362161Y1 KR 20040015874 U KR20040015874 U KR 20040015874U KR 20040015874 U KR20040015874 U KR 20040015874U KR 200362161 Y1 KR200362161 Y1 KR 200362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tylus pen
string
couple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15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20040015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1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 스타일러스펜과 휴대용단말기줄을 겸용토록 하여 스타일러스펜이 평상시에는 휴대용단말기줄에 단단히 고정된 형태로 있어서 분실될 우려가 적고, 정보의 입력시에는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휴대용단말기줄과 스타일러스펜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휴대용단말기줄과 스타일러스펜을 따로 제작하지 않음으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줄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단말기줄과 휴대용단말기 분실 방지를 위한 클립이 형성된 휴대용단말기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은 휴대용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단말기줄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연결되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홈이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캡의 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거나,
휴대용단말기에 연결되는 스트링과 상기 스트링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홈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타일러스펜과 상기 스타일러스펜에 결합되는 탄성 연결부 및 상기 탄성 연결부에 결합되어 소정 장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단말기줄{PORTABLE TERMINAL STRING}
본 고안은 휴대용단말기줄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단말기줄과 스타일러스펜이 탈착가능하도록 하고, 휴대용단말기의 분실 가능성을 줄여 사용상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단말기줄은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다니면서 간편용이하게 송, 수신할 수 있는 핸드폰이나 PDA의 일측 모서리에 묶어 핸드폰이나 PDA의 보관시에는 바지 주머니 등에 수납한 상태로 지니고 다니다가 핸드폰이나 PDA를 사용할 시에는 휴대용단말기줄을 손목에 걸거나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핸드폰이나 PDA를 부주의에 놓치더라도 바닥에 떨어져 기기의 파손을 막는 용도이거나 각종 악세사리를 휴대용단말기줄 끝에 달아 외관의 미려함을 얻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휴대폰을 비롯한 기타 휴대용 통신장비들이 개발 시판되고 있다. PDA는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을 비롯한 통신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 장치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관리하는 데 많이 쓰인다. 이러한 일련의 통신제품들 중 전자감응식 패드를 이용한 제품들은 키보드를 이용하지 않고 정보를 입력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필요로 한다. 스타일러스 펜은 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선단에 뾰족한 팁이 제공되어 이 팁부분을 이용하여 패드상에 글씨를 쓰거나 또는 터치하여 정보의 입력 및 출력 등을 담당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은 휴대폰이나 PDA본체의 후단이나 측면에 마련되는 홀더에 의해 보관되고 있으나, 스타일러스 펜은 홀더에서 빼낼 때 가느다란 구조로 인해 손에서 쉽게 빠진다거나, 잦은 사용으로 인해 PDA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 분실의 우려가 높다. 또한 휴대용단말기는 남성의 경우 가방을 들고 다니지 않는 경우가 많아, 바지 주머니나 와이셔츠 주머니에 PDA나 핸드폰을 소지하거나 손에 파지한 상태로 다니는 경우가 많아 종래의 휴대용단말기줄만 부착된 상태에서는 휴대용단말기가 주머니나 손에서 빠져 휴대용단말기 분실의 우려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스타일러스 펜과 휴대용단말기줄을 겸용토록 하여 스타일러스 펜이 평상시에는 휴대용단말기줄에 단단히 고정된 형태로 있어서 분실될 우려가 적고, 정보의 입력시에는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휴대용단말기줄과 스타일러스펜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휴대용단말기줄과 스타일러스펜을 따로 제작하지 않음으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줄과 일단에 클립부를 형성하여 양복 바지나 와이셔츠의 주머니에 클립을 끼워 고정시켜 핸드폰을 분실할 우려를 적게 하는 휴대용단말기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5,15: 휴대용단말기줄 10, 110, 210: 스트링
20, 120: 캡 21, 121 : 홈
31, 130: 스타일러스 펜 35 : 고리
140, 240: 탄성 연결부 150, 250: 클립
220: 고정부 100, 200: 휴대용단말기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1)은 휴대용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단말기줄(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스트링(10)과 상기 스트링(10)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홈(21)이 형성되는 캡(20) 및 상기 캡(20)의 홈(2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타일러스 펜(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링(10)은 휴대용단말기줄(1)을 핸드폰(10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부는 휴대용단말기(100)의 모서리나 그 본체의 뒷부분에 있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넣어 본 고안과 휴대용단말기(100)를 고정시키며, 하부는 캡(20)에 고정된다. 상기 스트링(10)의 재질은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유연한 재질로 할 수 있으며, 색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다수의 작은 구슬을 연결시키는 형태로 구성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링(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캡(20)은 스타일러스 펜(31)이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말하는데, 상기 캡(20)은 상단은 상기 스트링(10)이 고정되고 하단에는 스타일러스 펜(31)과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홈(21)이 형성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일부 분해도와 같이 상기 스타일러스 펜(31)의 모양에 맞도록 홈(21)을 형성하며, 평상시에는 캡(20)을 닫아 스타일러스 펜(31)이 스트링(10)에 고정된 채로 있고, 터치 스크린에 data를 입력하거나 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20)을 열어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홈(21)과 상기 스타일러스 펜(31)과의 결합방식은 압입형 또는 나사결합방식으로 할 수 있는데, 특히 압입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21)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31)은 환형 고리(35)가 일체로 형성되어 필요시에 상기 캡의 홈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31)은 테니스 라켓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곡선미를 강조하여 미려함을 주는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31)을 상기 스트링(10)에서 분리하여 사용시에 필기감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31)의 재질은 금속, 사출,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고리(35)와 색상을 달리해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고리(35)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31)의 원형 부분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환형 구조로 형성되며, 그 고리부분이 형성되므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상기 캡(20)과 분리하기 쉽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31)과 다른 소재 혹은 다른 색상으로 포인트를 주어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5)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5)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5)은 상기 휴대용단말기(200)에 연결되는 스트링(110)과 상기 스트링(110)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홈(121)이 형성되는 캡(120)과 상기 캡(120)의 홈(12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타일러스펜(130)과 상기 스타일러스펜(130)에 결합되는 탄성 연결부(140) 및 상기 탄성 연결부(140)에 결합되어 소정 장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링(110)은 본 고안인 휴대용단말기줄(5)을 핸드폰(20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부는 휴대용단말기(200)의 모서리나 그 본체의 뒷부분에 있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넣어 본 고안과 휴대용단말기(200)를 고정시키며, 하부는 캡(120)에 고정된다. 상기 스트링(110)의 재질은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유연한 재질로 할 수 있으며, 색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다수의 작은 구슬을 연결시키는 형태로 구성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링(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캡(120)은 스타일러스펜(130)이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를 말하는데, 상기 캡(120)은 상단은 상기 스트링(10)이 고정되고 하단에는 스타일러스펜(1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홈(121)이 형성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분해도와 같이 상기 스타일러스펜(130)의 펜촉 부분의모양에 맞도록 홈(121)을 형성하며, 특히 제 1 실시예에서의 형상과 달리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캡(120)을 닫아 스타일러스펜이 스트링(110)에 고정된 채로 있고, 터치 스크린에 data를 입력하거나 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120)을 열어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홈(121)과 상기 스타일러스펜(130)과의 결합방식은 압입형 또는 나사결합방식으로 할 수 있는데, 특히 압입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121)에 결합되는 상기 스타일러스펜(130)은 상단에는 터치 스크린에 터치할 수 있는 펜촉 부분을 구비하며, 하단은 상기 탄성 연결부(140)와 결합된다. 상기 스타일러스펜(130)은 곡선미를 강조한 제 1 실시예의 스타일러스펜(30)과 달리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직선미를 강조하여 외관상의 세련미를 강조하고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펜(130)의 일단에 결합되는 탄성 연결부(140)는 납작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납작한 부분의 위에 캐릭터나 글자를 새겨 넣는 등의 디자인을 해 외관상의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재질은 합성수지재나 고무, 플라스틱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선택시에는 스타일러스펜의 사용시에 착용감을 고려하여 필기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연결부(140)의 타단에 연결되는 클립(150)은 상단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와이셔츠나 바지의 주머니에 걸리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주머니에 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탄성 연결부(140)의 재질은 합성수지, 고무, 플라스틱, 금속소재 등에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주머니에 고정될 때는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분리시에는 힘을 적게 들이고도 분리할 수 있는 약간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15)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15)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15)은 상기 휴대용단말기(200)에 연결되는 스트링(210)과 상기 스트링(210)에 일측이 결합되는 고정부(220)와 상기 고정부(220)에 결합되는 탄성 연결부(240)와 상기 탄성 연결부(240)에 결합되어 소정 장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15)은 상기 스트링(210), 상기 탄성 연결부(240), 상기 클립(250)으로 이루어진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10)의 상기 스트링(110), 상기 탄성 연결부(140), 상기 클립(15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의 휴대용단말기줄(15)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펜(130)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데에 차이점이 있고, 상기 고정부(220) 일단은 스트링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 연결부(240)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납작한 직육면체의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15)은 도 6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 주머니에 상기 클립(150)이 바지 주머니 상에 걸리도록 하여 휴대용단말기가 분실될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줄은 스타일러스 펜과 휴대용단말기줄을 따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휴대용단말기줄에 스타일러스 펜이 고정되어 있어 분실가능성이 적고, 스타일러스펜의 형상을 곡선미를 강조하여 제작하여 필기감이 향상되고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용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단말기줄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연결되는 스트링;
    상기 스트링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홈이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캡의 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펜은, 환형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필요시에 상기 캡의 홈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줄.
  3. 휴대용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단말기줄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연결되는 스트링;
    상기 스트링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홈이 형성되는 캡;
    상기 캡의 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타일러스펜;
    상기 스타일러스펜에 결합되는 탄성 연결부; 및
    상기 탄성 연결부에 결합되어 소정 장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줄.
  4. 휴대용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단말기줄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연결되는 스트링;
    상기 스트링에 일측이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탄성 연결부; 및
    상기 탄성 연결부에 결합되어 소정 장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줄.
KR20040015874U 2004-06-07 2004-06-07 휴대용단말기줄 KR200362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5874U KR200362161Y1 (ko) 2004-06-07 2004-06-07 휴대용단말기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5874U KR200362161Y1 (ko) 2004-06-07 2004-06-07 휴대용단말기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161Y1 true KR200362161Y1 (ko) 2004-09-21

Family

ID=4113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15874U KR200362161Y1 (ko) 2004-06-07 2004-06-07 휴대용단말기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16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53B1 (ko) * 2005-06-24 2007-11-28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스타일러스 펜
KR100830079B1 (ko) 2006-07-18 2008-05-16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WO2009028831A2 (en) * 2007-08-29 2009-03-05 Dong Joo Kim Stylus pen
KR100951556B1 (ko) 2008-04-25 2010-04-09 김동주 스타일러스 펜
KR200451724Y1 (ko) * 2008-10-06 2011-01-07 주식회사 뉴빛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모바일기기용 액세서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53B1 (ko) * 2005-06-24 2007-11-28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스타일러스 펜
KR100830079B1 (ko) 2006-07-18 2008-05-16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WO2009028831A2 (en) * 2007-08-29 2009-03-05 Dong Joo Kim Stylus pen
WO2009028831A3 (en) * 2007-08-29 2009-04-23 Dong Joo Kim Stylus pen
KR100951556B1 (ko) 2008-04-25 2010-04-09 김동주 스타일러스 펜
KR200451724Y1 (ko) * 2008-10-06 2011-01-07 주식회사 뉴빛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된 모바일기기용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598B2 (en) Adjustable finger stylus
US20090278818A1 (en) Thumb worn tap devices and storage holders for use with handheld electronics
US20090289893A1 (en) Finger appliance for data entry in electronic devices
US6409404B1 (en) Miniature pen with holder that has an adhesive mounting strip
KR200362161Y1 (ko) 휴대용단말기줄
US20120242618A1 (en) Finger device for operat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US6659673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combination pocket clip and stylus assembly
US20050057493A1 (en) Thumb stylus
KR101135818B1 (ko) 손가락 탈 부착식 스타일러스 펜
KR200327899Y1 (ko)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
US20030069039A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mponent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US20090115643A1 (en) Finger-Tip Key Depress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2524288Y (zh) 复合式屏幕触控笔
GB2345939A (en) Input pen for touch screen device with strap and clip
KR200360007Y1 (ko) 필기구가 구비된 핸드폰 악세서리
KR200413201Y1 (ko) 스타일러스 겸용 이어폰
KR200366074Y1 (ko) 손가락에 끼워 쓰는 펜
CN209801079U (zh) 电子器物的手持式辅助器
KR101223602B1 (ko) 휴대 단말기용 장신구
KR102329277B1 (ko) 손가락 터치펜
CN212484322U (zh) 触控笔和电子设备
KR200258701Y1 (ko) 화이트보드 겸용 클리어박스
KR200387512Y1 (ko) 메모지 수용부가 구비된 휴대폰 커버
KR1008442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보드 장치
JP3090512U (ja) 筆記具付き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