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122Y1 - 무소음 통화장치 - Google Patents

무소음 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122Y1
KR200273122Y1 KR2020020003773U KR20020003773U KR200273122Y1 KR 200273122 Y1 KR200273122 Y1 KR 200273122Y1 KR 2020020003773 U KR2020020003773 U KR 2020020003773U KR 20020003773 U KR20020003773 U KR 20020003773U KR 200273122 Y1 KR200273122 Y1 KR 200273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ll
earphone
vo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 filed Critical 이철
Priority to KR2020020003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1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122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사용시 이용하는 이어폰이나 휴대폰 또는 무전기 등의 추가 기능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음성을 송 수싱 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일정 부분에 이어폰을 결합 하는 이어폰 짹이 제공되는 핸드폰(4)이나 무전기 등의 휴대용 무선통신기기 케이스(16)의 일측에 결합되어 이 휴대용 무선통신기기를 이용자가 직적 음성으로 말하지 않아도 미리저장된 음성으로 대신 절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극장이나 회의실 비밀 작전 수행중 소음을 발생 하지 않아도 양방향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에티켓통화 비빌통화가 보장되는 기능을 말한다.

Description

무소음 통화 장치 {SILENCER-COMMUNICATION EQUIPMENT}
본 고안은 휴대폰이나 기타 통신기기에 비밀통화 기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에 또는 기기내에 본 고안의 기능을 장착하여 자신이 직접 미리 저장한 음성을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상대방에게 주위에 소음발생없이 전송하게 되는 기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등의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방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3)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 플러그(2)가 장착되었다. 이러한 이어폰 연결플러그(2)는 이어폰(3)과 핸드폰(1)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고안의 기능을 이어폰에 내장할 경우 이어폰의 일정부분에 본 기능을 추가하여 결합한 비밀통화 기능 이어폰(3)을 이용 할 경우 무소음통화장치(5)를 이용하여 자신의 음성 또는 타인의 음성을 음성송출 녹음 버튼1~5까지(8,12)순번대로 저장하고 상대방과 통화를 원할 시 미리 저장된 음성을 버튼 조작으로 직접 말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간단한 의사를 전달하는 기능을 겸비하게 된다.
본 고안의 기능을 부연하자면, 요즘에 들어 지하철이나 극장 기차 안 인파가 많이 모이는 곳에서 휴대폰 사용을 금지하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는 공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중요한 통화가 아니더라도 전화가 오면 어쩔 수 없이 받을 수밖에 없고 전화를 받게 되면 주위의 여러 사람의 눈치를 보거나 소음공해로 인하여 피해를 주게 된다 그러한 이유로 일본에서는 이미 지하철에서 휴대폰 사용시 벌금을 물게 된는 재도가 도입 되었다.그러나 본 기능을 이용하면 소음 발생 없이 상대방과 의사 소통을 할 수 있으며 비밀통화나 언어 장애인들도 대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요즘에 나오는 신형 휴대폰에는 상기에 발한 봐와 같이 이어폰을 이용하여 대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이어폰은 공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어폰을 이용하더라고상대방의 소리를 들을 때는 주위 사람들에게 소음 공해를 주지 않지만 자신의 말을 하게 되면 주위 사남에게 소음 피해를 주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능을 이용하면 자신이 말하는 소리를 주위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ex)음성녹음 송출장치(8,12)을 이용하여 1번 버튼(8)에 "지금은 말을 할 수 없는 곳에 있음으로 말씀을 하시면 들을 수는 있습니다" 라는 음성을 저장하고 2번 버튼(9)에는 "yes" 라는 음성을 저장하고 3번 버튼(10)에는 "no"라는 음성을 저장하고 4번 버튼(11)에는 "그럼 이만 통화를 중단하겠습니다"라고 저장하고 5번 버튼(12)에는 "자세한 말씀은 잠시 후 전화를 드리겠습니다" 라고 미리 음성을 저장해 두었다면 극장에서 영화를 보다가 전화가 걸려올 경우 본 고안의 무 소음통화 장치를 결합 한 이어폰을 이용하여 대화를 할 경우 전화가 오면 1번 버튼(8)을 눌러 상대방에게 지금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알리고 2번 버튼(9) 3번 버튼(10)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4번 버튼(11)을 이용하여 대화를 종료하겠습니다. 또는 5번 버튼(12)을 이용하여 잠시 후 전화를 드리겠습니다. 라고 말하여 대화를 종료하게 되면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고 간단한 의사 소통을 하게 된다.
기존의 전화 벨소리를 진동으로 하는 기능이나 이어폰으로는 자신의 말소리에 의한 소음공해를 방지 할 수 없었으며 또한 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지정장소에서는 아예 전화를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 기능을 이용하여 중요한 전화를 놓이지 않고 받을 수 있으며 간단한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게 도리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에 , 기존의 전화 벨소리를 진동으로 하는 기능이나 이어폰으로는 자신의 말소리에 의한 소음공해를 방지 할 수 없었으며 또한 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지정장소에서는 아예 전화를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 기능을 이용하여 중요한 전화를 놓이지 않고 받을 수 있으며 간단한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언어 장애인 또한 타인의 음성을 미리 저장해 두었다면 의사 소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핸드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본 고안에 따른 무소음 통화 장치를 장착한 이어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무소음통화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4는 상기 구성의 휴대폰에 이어폰을 장작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핸드폰 2. 이어폰 연결 프러그
3. 이어폰 4. 이어폰짹
5. 무소음통화장치 8.~12까지 음성송출,녹음 버튼
13. 음성녹음 스피커 14. 매인컨트롤
15. 메모리칩
본 고안에 따르면, 이어폰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핸드폰(1)이나 무전기 등의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에 결합되어 또는 기기 자체 안에 추가 기능을 결합하여 비밀통화 무소음통화를 하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통화 장치를 말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본 고안의 휴대폰의 사시 도이다.
도 2 본 고안에 따른 기존의 이어폰에 본 기능을 가진 음성저장 송신장치를 결합한 사시 도이다.
(2)는 휴대폰(1)과 이어폰(3)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플러그이고, (3)은 소리를 듣거나 말할때 사용하는 무소음통화 장치(7)를 내장한 장치로서 (8~12)는 음성녹음또는 전송 변환 버튼 으로서 1부터 5까지 음성을 따로 분리 저장하는 단축 저장 버튼이되며 (5),(6)은 현재 기능을 녹음중인가 대화중인가를 녹색불빛(5)과적색불빛(6)으로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램프 이며 (13)은 자신의 음성을 직접 전달 또는 녹음시 사용하는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본 고안의 무소음통화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15)는 음성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칩이며 메모리칩(15)과, 녹음스피커(13),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램프(5),(6)과음성녹음 송출버튼(8),(9),(10),(11),(12)를 통재 또는 컨트롤 하는 매인컨트롤칩(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치를 고정과 보호를 위한 케이스(7)안에 음성을 저장하는 메모리칩(15), 은 음성녹음 스피커(13)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전자 신호로 저장하게 되고 저 장시 1번 버튼(8)~5번 버튼(12)을 길게 누르면 녹음 재생 변환장치를 컨트롤 하는 매인컨트롤 박스(14)에 의해 녹음기능이 변환되고 녹음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녹음기능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전환 램프(5)와 연결되어 녹색(5)또는 적색(6)으로 표시하게 되며 전화가 걸려오면 재생전환으로 녹색(5)으로 변화되며 녹음재생버튼(8~12)을 살짝 누르면 저장된 음성이 재생되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무소음 통화장치는 이어폰이 아닌 기기 자체에 내장형 기능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며 기타통신기기 무전기 등에 추가하여 사용한다면 상기 기능의 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휴대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4 상기 구성의 휴대폰에 이어폰을 장작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이상에서 말한봐와 같이 봄 고안의 효과로는 현대인들에게는 이제 필수품이 되어버린 휴대폰의 급성장과 더불어 휴대전화기에의한 소음 공해로 인한 문제점들이 속속들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국내에는 공연장이나 극장 등에서 휴대폰 사용을 금하고 있으며 지하철 등에서는 안내멘트등으로서 휴대폰 사용으로 주위의 사람들에게 불편한 영향을 주는 점을 부각하고 있음은 공지한 사실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무 소음 통화장치를 장착 또는 결합한 휴대전화를 사용하게 되면 자신의 간단한 의사소통을 소음 없이 전달 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주위에 사람에게 소음 공해라는 피해를 주지 않게 된다. 또한 극장에서는 더욱더 전화를 사용하여서는 안되어 대부부분 출입하기 전에 전화기 전원을 꺼야 하지만 본 기능을 이용하면 전화기 전원을 끄지 않아도 벨소리를 진동으로 하고 간단한 대화를 미리 저장해두었다가 필요시 버튼 조작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이 지금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임을 알리며 급한 용무가 있는 전화인지 아님 나중에 통화 가능한 전화인지를 파악하여 중요한 전화를 놓이지 않고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그밖에 정숙을 요하는 비밀 첩보작전시 소음 없이 상대방의 명령을 전달받고 자신이 수신했음 또는 시작 또는 후퇴 등을 상대방에게 전달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또한 언어장애인들은 휴대 전화를 사용할 수 없던 지금까지와는 달리 장애인을 보호하는 보호자가 미리 간단한 문장을 녹음 시켜 놓고 전화를 받을 때 대화가 가능하게 되어 언어 장애인들도 전화 사용이 가능 해 진다. 그리고 그밖에 휴대 전화로 걸려오는 전화 중 상대방을 미리 확인하는 수신자 확인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받고 싶지 않은 전화는 받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능을 이용하면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미리 녹음 된 음성을 전달하여 불필요한 대화를 피할 수 있다.

Claims (1)

  1.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휴대전화나 무전기 기타 통신 기기를 사용시 도[3]의 무소음 통화장치를 내장 또는 이어폰(3)에 장착하여 휴대전화 기타 통신기기에 부착된 이어폰 연결프러그(2)에 이를 결합하여 통화를 하기전 음성녹음버튼(8),(9),(10),(11),(12)을 이용하여 1부터 5또는 그이상의 문장을 미리 저장해 두었다가 전화가 걸려온 경우 자신이 직접 말하지 않고도 저장된 음성을 차례대로 버튼조작만으로 상대방과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소음 통화장치
KR2020020003773U 2002-02-06 2002-02-06 무소음 통화장치 KR200273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773U KR200273122Y1 (ko) 2002-02-06 2002-02-06 무소음 통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773U KR200273122Y1 (ko) 2002-02-06 2002-02-06 무소음 통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122Y1 true KR200273122Y1 (ko) 2002-04-20

Family

ID=7311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773U KR200273122Y1 (ko) 2002-02-06 2002-02-06 무소음 통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1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7793A (en) Built-in, cellular telephone message recorder
US6006115A (en) Wireless headphones for entertainment and telephonic communication
JPH09187060A (ja) ワイヤレスイヤホン付き携帯電話機
GB2460200A (en) Combination device of the blue-tooth headphone and the megaphone base
US20070269073A1 (en) Earphone with microphone
US20050153661A1 (en) Toy radio telephones
KR200273122Y1 (ko) 무소음 통화장치
JP2954150B1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KR100374654B1 (ko) 음성 메시지 송출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이어마이크
KR20100024594A (ko) 외부음향 청취 이어폰
KR200207513Y1 (ko) 음성 메시지 송출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이어마이크
JPH06284083A (ja) 無線電話機
KR200191017Y1 (ko) 무선 이어폰을 갖는 이동 통신 장치
JP3046998U (ja) 携帯電話
JP2003101611A (ja) 信号切換ユニット
JP2003125496A (ja) 補聴装置及び音声再生装置
KR10048382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자동응답 인사말에 배경 음악삽입 방법
JP2001103135A (ja) 携帯用通信端末対応型ポータブル音響機器
KR200202265Y1 (ko) 음성발신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이어폰
JP3071731B2 (ja) 携帯電話接続装置
JP3070878U (ja) 音源切り換えシステム
KR200188812Y1 (ko) 무선 이동전화기의 수신대기버튼
JP2000354088A (ja) ヘッドホン用携帯電話接続キット
KR1004969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조절 방법
JPH1084403A (ja) 携帯電話用リモコ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