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014Y1 -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014Y1
KR200273014Y1 KR2019990009353U KR19990009353U KR200273014Y1 KR 200273014 Y1 KR200273014 Y1 KR 200273014Y1 KR 2019990009353 U KR2019990009353 U KR 2019990009353U KR 19990009353 U KR19990009353 U KR 19990009353U KR 200273014 Y1 KR200273014 Y1 KR 200273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drain
panel
air conditioner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518U (ko
Inventor
변준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9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014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014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의 하단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드레인 패널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흡입공기가 증발기 표면에 닿으면서 응축되어 흘러내린 응축수를 담수하기 위한 몸체와, 몸체에 담수된 응축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관을 구비하고, 몸체 내부 일측으로 증발기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증발기 지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 내부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증발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영역인 담수부와, 배수관을 포함하는 영역인 배수부로 몸체 내부를 분리한다. 격벽은 담수부에 유입된 응축수가 배수부에 넘치도록 소정높이로 형성된다. 담수부는 저면으로 배수관과 연통되는 보조배수관을 가질 수 있으며, 증발기 표면으로부터 응축수가 담수부에 유입되는 속도보다 배수속도가 느리도록 형성한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따른 응축수가 발생하면 패널의 담수부에 증발기 하단이 침수되어 증발기 하단과 패널사이로 흐르는 흡입공기를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Drain panel of an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에 맺힌 물을 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drain panne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 사이클을 통해 실내의 온도를 알맞은 온도로 조절한다.
냉동 사이클을 냉매가 순환하는 동안, 냉매는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고, 이에 따라 실내의 공기가 냉각된다. 이러한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 작용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의 패키지형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 의하면, 실내기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넷(1)의 전면 상하측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흡입구(1a)와 토출구(1b)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넷(1)의 하부에는 증발기(2)가 전방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있다. 증발기(2)의 상측에는 송풍기(3)가 설치되어 있으며, 증발기(3)의 하측에는 드레인 패널(4)이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 패널(4)은, 도 2a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의 하측에서 증발기(2)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다. 이 드레인 패널(4)은 패널 몸체(6)와 드레인 브라켓(5)으로 구성된다.
드레인 브라켓(5)은 패널 몸체(6)를 캐비넷(1)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증발기(2)는 증발기 브라켓(7)에 의하여 이 드레인 브라켓(5)에 그 하단이 지지된다. 패널 몸체(6)에 형성된 배수공에는 배수호스(9)가 연결되어 있다.
증발기 브라켓(7)과 드레인 브라켓(5)은 금속 재질로 되어 있고, 패널 몸체(6)는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다. 증발기 브라켓(7)은 드레인 브라켓(5)에 볼트(1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있다. 도 2b는 도 1의 증발기 브라켓(7)과 드레인 브라켓(5)이 볼트에 의해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면은 단열재(8)가 생략된 모습이다.
송풍기(3)가 작동되면, 실내의 더운 공기는 흡입구(1a)를 통해 캐비넷(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증발기(2)를 순환하는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송풍기(3)에 의해 토출구(1b)로 토출된다.
흡입구(1a)로 흡입된 더운 공기가 증발기(2)를 통과할 때, 더운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냉각되어 증발기(2)의 표면에 물방울로 맺히게 된다. 이렇게 증발기(2)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은 자중에 의해 증발기(2)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 드레인 패널(4)으로 떨어진다. 드레인 패널(4)에 떨어진 물은 배수공에 연결된 배수호스(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증발기 브라켓(7)과 드레인 브라켓(5)이 상호 볼트(10)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틈새가 존재하여 증발기(2)를 통과하는 흡입공기의 일부가 그 틈새로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렇게 증발기 브라켓(5)과 드레인 브라켓 사이의 틈새로 누설된 흡입공기는 증발기(2)의 열교환 효율을 누설공기가 유입되는 만큼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증발기 브라켓(7)은 증발기(2)의 하단을 지지하며 직접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차가운 상태이다. 따라서, 누설된 공기가 증발기 브라켓(7)의 상면을 따라 이동될 때 누설 공기중에 함유된 수증기가 냉각되어 증발기 브라켓(7)의 상면에 물방울로 맺히게 된다.
이렇게 맺힌 물방울은 배수호스(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캐비넷(1)의 하측으로 흘러내린다. 캐비넷(1)의 하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전기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종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증발기 브라켓(7)과 드레인 브라켓(5)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통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8)가 삽입되기도 하나, 이 단열재(8) 또한 증발기(2)를 드레인 브라켓(5)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잘 찢어지기 때문에, 완벽한 밀폐가 어려우며, 또한 부품수를 증가시켜 원가 상승의 한 요인이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드레이 패널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증발기에 의하여 열교환되지 않은 공기가 증발기의 하단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패키지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드레인 패널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도 2b는 도 2a의 증발기 브라켓과 드레인 브라켓의 체결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널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널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증발기에 맺힌 물이 패널 몸체로 유입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널의 작용을 보인 것으로, 패널 몸체에 고인 물이 보조배수호스를 통해 배수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증발기 20 ; 드레인 패널
21 ; 패널 몸체 22 ; 경사면
24 ; 담수부 25 ; 배수부
26 ; 격벽 27 ; 배수호스
28 ; 보조배수관 29 ; 주배수관
33 ; 증발기 지지돌기 35 ; 증발기 지지부
37 ; 패널 공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흡입공기가 증발기 표면에 닿으면서 응축되어 흘러내린 응축수를 담수하기 위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담수된 응축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관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드래인 패널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 일측으로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증발기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여기서, 상기 증발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 저면과 측벽일부에 걸쳐 증발기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 지지를 보조하기 위하여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경사면을 넘지 않는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된 증발기 지지돌기;를 포함한다.또한, 상기 드레인 패널은 상기 몸체 내부를 상기 증발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담수부와, 상기 배수관을 포함하는 배수부로 분리하기 위한 격벽을 형성하되, 상기 격벽의 높이는 상기 지지돌기보다는 높으며, 상기 몸체의 상단보다는 낮게 형성한다.여기서, 상기 담수부는 담수된 응축수가 저면을 통해 상기 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보조 배수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배수관은 물의 배수 속도가 상기 증발기에 맺힌 물이 상기 담수부로 유입되는 속도보다 느리도록 형성한다.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증발기의 작동시 증발기에 맺힌 물이 담수부로 유입되어 고이게 되므로, 이 물에 의하여 증발기와 패널 몸체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널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널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널(20)은 패널 몸체(21)와, 주배수관(29) 및 보조배수관(28)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 몸체(21)는 그 상측이 개방된 긴 박스 형상으로써, 그 일측에는 증발기(12)의 하단을 지지하는 증발기 지지부(35)가 형성되며, 또한 격벽(26)에 의하여 담수부(24)와 배수부(25)로 구획된 패널 공간(37)을 가진다.
상기 증발기 지지부(35)는 증발기(12)의 하단을 지지하는 경사면(22)과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설되어 증발기(12)의 하측 모서리 부근을 지지하는 증발기 지지돌기(33)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부(25)의 바닥면에는 주배수관(2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배수관(29)의 하측에는 배수된 응축수를 실외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27)가 연결된다.
상기 격벽(26)은 증발기 지지돌기(33)보다 높게 형성되며, 담수부(24)의 바닥면은 보조배수관(28)을 통하여 주배수관(29)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배수관(28)은 배수되는 물의 배수 속도가 증발기(12)로부터 담수부(24)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유입 속도보다 늦도록 주배수관(29)에 비해 현저하게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캐비넷(11)의 하측에 설치된다. 부호 11a와 11b은 각각 캐비넷(11)에 마련된 흡입구와 토출구이며, 13은 송풍기이다.
증발기(12)는 패널 몸체(21)에 형성된 경사면(22) 및 증발기 지지돌기(33)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때 격벽(26)의 상단은 경사지게 설치된 증발기(12)의 하측에 근접되도록 되어 있다.
송풍기(13)가 작동되면, 흡입구(11a)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더운 공기는 증발기(12)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는 것에 의해 냉각되고, 토출구(11b)를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더운 공기가 증발기(12)를 통과하면서 냉각될 때, 공기중에 함유된 수증기도 함께 냉각된다. 냉각된 수증기는 증발기(12)의 표면에 맺히게 되고, 증발기(12)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려 드레인 패널(20)로 유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공간(37)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주배수관(29) 및 보조 배수관(28)을 통하여 배수호스(27)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증발기(12)로부터 담수부(24)로의 응축수 유입속도가 보조배수관(28)을 통한 응축수의 유출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담수부(24)에는 응축수가 점점 고이게 된다.
응축수가 격벽(26)의 높이까지 고이고 나면, 그 이후로 유입되는 물은 배수부(25)로 넘쳐 흘러 주배수관(29)을 통하여 배수호스(27)로 배출된다.
이때. 격벽(26)은 그 상단이 증발기(12)의 하면에 근접되어 있으므로, 증발기(12)는 그 하단 일측이 담수부에 고인 물에 잠기게 된다.이렇게 증발기(12)의 하단이 고인 물에 잠기게 되면 증발기(12)의 하단과 패널 몸체(21)의 경사면(22) 사이의 틈새가 물에 의해 차단되므로, 더 이상 흡입공기는 증발기(12)와 패널 몸체(21)사이의 틈새를 통해 캐비넷(11)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중지되면 증발기(12) 표면에는 더 이상 물이 맺히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부(24)에 고인 물은 보조배수관(28)을 통하여 주배수관(29)으로 천천히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드레인 패널에 일정량의 물이 고여 증발기의 하단 일측이 물에 잠기게 되므로 흡입공기의 일부가 증발기의 하단과 드레인 패널 사이로 누설되지 않는다.
따라서, 흡입공기가 모두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므로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드레인 패널의 외측에 물이 맺혀 캐비넷의 하부로 떨어지지도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드레인 브라케트와, 증발기 브라케트 및 단열재 등과 같은 부품이 필요없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그 부품수가 줄어 공기조화기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유입된 흡입공기가 증발기 표면에 닿으면서 응축되어 흘러내린 응축수를 담수하기 위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담수된 응축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관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드래인 패널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 일측으로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증발기 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 저면과 측벽일부에 걸쳐 증발기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 지지를 보조하기 위하여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경사면을 넘지 않는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된 증발기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를 상기 증발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담수부와, 상기 배수관을 포함하는 배수부로 분리하기 위한 격벽을 형성하되,
    상기 격벽의 높이는 상기 지지돌기보다는 높으며, 상기 몸체의 상단보다는 낮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부는 담수된 응축수가 저면을 통해 상기 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는 보조 배수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수관은 물의 배수 속도가 상기 증발기에 맺힌 물이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속도보다 느리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KR2019990009353U 1999-05-29 1999-05-29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KR200273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353U KR200273014Y1 (ko) 1999-05-29 1999-05-29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353U KR200273014Y1 (ko) 1999-05-29 1999-05-29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18U KR20000021518U (ko) 2000-12-26
KR200273014Y1 true KR200273014Y1 (ko) 2002-04-20

Family

ID=5476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353U KR200273014Y1 (ko) 1999-05-29 1999-05-29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0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32B1 (ko) * 2018-07-05 2019-11-26 (주) 영인텍 이동형 에어컨
KR102063525B1 (ko) * 2019-03-14 2020-01-08 류수열 창문형 에어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32B1 (ko) * 2018-07-05 2019-11-26 (주) 영인텍 이동형 에어컨
KR102063525B1 (ko) * 2019-03-14 2020-01-08 류수열 창문형 에어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18U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5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0166455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1615445B1 (ko) 공기 조화기
JP2010169273A (ja) ヒートポンプ式温水暖房装置
KR200273014Y1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패널
WO2020184491A1 (en) Outdoor unit for a heat pump
CN209857290U (zh) 一种具有多重漏水防护功能的机柜顶置空调
CN114046624B (zh) 一种冷库用的库外安装型的空气冷却器
KR100606733B1 (ko)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80805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1895937B1 (ko) 압입송풍형 대향류냉각탑
KR100306266B1 (ko) 실내기 내부에서 물과 공기로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된 에어컨
JPH11287470A (ja) 空気調和機のドレインパネル
KR20060018566A (ko) 냉,난방장치
KR100716251B1 (ko) 공기조화기
CN220471933U (zh) 冷水机组
KR100291872B1 (ko) 룸에어콘용실내기의배수장치
KR100435818B1 (ko) 냉각 장치
CN216481307U (zh) 一种一体式空调器
CN215832165U (zh) 水盒及应用有该水盒的空调式吸油烟机
KR10038942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200369288Y1 (ko) 냉,난방장치
JP3138093B2 (ja) 冷凍機器
KR20030000209A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구조
KR200356783Y1 (ko) 창문형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