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818B1 -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818B1
KR100435818B1 KR10-2001-0018134A KR20010018134A KR100435818B1 KR 100435818 B1 KR100435818 B1 KR 100435818B1 KR 20010018134 A KR20010018134 A KR 20010018134A KR 100435818 B1 KR100435818 B1 KR 10043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duct
cooler
contamination
filter
coo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054A (ko
Inventor
다무라유따까
구보따쇼오지
고바야시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for maintaining constant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흡입 덕트의 압력 제어를 충분히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필터(7)와, 냉각기(8)와, 원통형 송풍 팬(9)과, 고압실(10)과, 타단부가 폐쇄된 직물로 된 흡입 덕트(12)를 원통형 송풍 팬(9)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류의 유통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냉각 장치{Chill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급 덕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냉각 장치는 예를 들어 식품 가공장이나 저온 작업장 등의 저장고 내 천정벽에 배치되는 냉각 장치이다. 이 냉각 장치는 천정면에 압축기, 응축기, 냉각기 및 송풍기 등을 구비하고,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송풍기에 의해 천정면에 형성된 냉기 덕트 패널로부터 토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냉각 장치에서는 토출된 냉기는 냉풍이 되어 식품 공장이나 저온 작업장 등에서 작업하는 작업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이었다. 그래서, 작업원에게 주는 체감 온도의 저온화를 해소하기 위해,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공급 덕트를 거쳐서 작업장에서 유출시키고, 작업장 내를 소정의 온도로 냉각하는 것이 고려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급 덕트를 구비한 냉각 장치는 냉각기를 통과한 냉기의 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공급 덕트의 팽창 불량이 발생해 냉각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공급 덕트의 압력 제어를 충분히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냉각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냉각 장치의 드레인 팬 개방시의 측단면도.
도3은 냉각 장치의 측단면도.
도4는 냉각 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5는 냉각기의 정면도.
도6은 냉각기의 우측면도.
도7은 냉각기의 좌측면도.
도8은 제어 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천정면
1 : 냉각 장치
2 : 드레인 팬
2A : 오목부
3 : 본체
4 : 전방면 개구
5 : 후방면 개구
6 : 본체
7 : 필터
8 : 냉각기
9 : 원통형 송풍 팬
10 : 고압실
12 : 공급 덕트
19 : 배수구
26 : 플로트 스위치
27 : 마이크로 컴퓨터
28 : 필터 오염 검출 센서
29 :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센서
30 : 분류기
31A, 32B, 32C, 32D : 캐필러리 튜브
32A, 32B, 32C, 32D, 34 : 냉매 배관
33 : 헤더
35 : 풍향판
36 : 구멍
37 : 컨트롤 패널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필터와, 냉각기와, 원통형 송풍 팬과, 고압실과, 타단부가 폐쇄된 직물로 된 공급 덕트를 원통형 송풍 팬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류의 유통 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와, 냉각기와, 원통형 송풍 팬과, 고압실과, 타단부가 폐쇄된 직물로 된 공급 덕트를 원통형 송풍 팬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류의 유통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므로, 필터로부터 유입한 공기를 냉각기로 냉각한 후, 공급 덕트로부터 서서히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송풍기로서 원통형 송풍 팬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통상의 송풍기와 비교하여 공급 덕트(12)의 압력 제어를 충분히 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운전 중의 소음을 현저하게 삭감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 발명의 냉각 장치는 청구항 1의 발명에다가 냉각기의 하측에 대응하여 설치된 드레인 팬과, 이 드레인 팬에 수용된 드레인 물을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이 배출 수단이 고장 또는 정지의 경우에,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르면, 청구항 1의 발명에다가 냉각기의 하측에 대응하여 설치된 드레인 팬과, 이 드레인 팬에 수용된 드레인 물을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이 배출 수단이 고장 또는 정지의 경우에,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배출 수단의 고장 또는 정지시에 공급 덕트가 수축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빠르게 배출 수단의 고장 등을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배출 수단의 고장에 대한 대응이 지연됨으로써, 드레인 팬에 수용된 드레인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 발명의 냉각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필터의 오염을 검출하는 필터 오염 검출 수단과, 이 필터 오염 검출 수단이 소정량 이상의 오염을 검출한 경우에,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필터의 오염을 검출하는 필터 오염 검출 수단과, 이 필터 오염 검출 수단이 소정량 이상의 오염을 검출한 경우에,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필터가 소정량 이상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 공급 덕트가 수축됨으로써 빠르게 사용자에게 필터가 오염되어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필터의 오염에 대한 대응이 지연됨으로써, 필터의 눈 막힘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 발명의 냉각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공급 덕트의 오염을 검출하는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수단과, 이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수단이 소정량 이상의 오염을 검출한 경우에,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공급 덕트의 오염을 검출하는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수단과, 이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수단이 소정량 이상의 오염을 검출한 경우에,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공급 덕트가 소정량 이상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 공급 덕트가 수축됨으로써 빠르게 사용자에게 공급 덕트가 오염되어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공급 덕트의 오염에 대한 대응이 지연됨으로써, 공급 덕트의 눈 막힘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 발명의 냉각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냉각기를 통과하는 풍량을 균일화하기 위한 풍량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냉각기를 통과하는 풍량을 균일화하기 위한 풍량 조정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냉각기의 증발 효율이 나쁜 부분으로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냉각기를 통과하는 풍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 발명의 냉각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냉각기는 복수 경로의 냉매 배관을 구비하고, 각 경로의 냉매 배관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냉각기는 복수 경로의 냉매 배관을 구비하고, 각 경로의 냉매 배관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매의 증발하기 쉬운 경로와, 냉매의 증발하기 어려운 경로를 교차시킴으로써 냉각기 전체에 있어서의 냉매의 증발을 균일하게 행할 수가 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 발명의 냉각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원통형 송풍 팬과 고압실의 연통부를 고압실과 공급 덕트의 연통부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원통형 송풍 팬과 고압실의 연통부를 고압실과 공급 덕트의 연통부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였으므로, 냉각기에 부착된 이슬 등이 직접 공급 덕트 내에 침입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공급 덕트 자체의 서리에 의한 폐쇄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어 공급 덕트 내의 압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냉각 장치(1)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냉각 장치(1)의 드레인 팬(2) 개방시의 측단면도, 도3은 냉각 장치(1)의 측단면도, 도4는 냉각 장치(1)의 종단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냉각 장치(1)는 예를 들어 식품 가공 공장이나 저온 작업장 등의 예를 들어 천정면(C) 등에 설치되는 냉각 장치이며, 전방면 및 후방면에 각각 개구(4, 5)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방으로 개방되는 본체(6)와, 별도로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나 응축기 등에 의해 구성되는 콘덴싱 유닛으로 구성된다.
본체(6)는 후방면 개구(5)의 전방면에 탈착 가능한 필터(7)가 설치되고, 이 필터(7)의 전방에는 상기 콘덴싱 유닛과 이미 알려진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각기(8)가 배치되어 있다. 이 필터(7)와 냉각기(8) 사이에는 필터(7)의 필터 오염 검출 센서(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 오염 검출 센서(28)는 본체(6) 내의 압력치가 소정 압력치보다도 낮은 것을 검출함으로써, 필터(7)의 오염이 소정량 이상인 것이 검지된다. 또, 이 필터 오염 검출 센서(28)는 적외선 등을 사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이 냉각기(8)의 전방에는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통형 송풍 팬(9)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원통형 송풍 팬(9)의 토출구(9A)는 본체(6)의 전방부에 형성된 고압실(10)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송풍 팬(9)은 좌우에 2대 설치되어 있으며, 양 원통형 송풍 팬(9, 9) 사이에는 모터(9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모터(9B)에 의해 양 원통형 송풍 팬(9, 9)이 운전된다. 또한, 고압실(10)과 각각의 원통형 송풍 팬(9)의 연통부로서의 토출구(9A)는 본체(6)에 형성된 전방면 개구(4)의 위치와는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냉기와 함께 냉각기(8)에 부착된 이슬 등이 원통형 송풍 팬(9)에 의해 고압실(10) 내로 토출되고, 고압실(10) 내에서 제거된 후, 공급 덕트(12)에 냉기만을 토출할 수 있어 공급 덕트(12) 내에 이슬 등이 침입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공급 덕트(12) 자체의 서리에 의한 폐쇄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어 공급 덕트(12) 내의 압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공급 덕트(12) 내에는 공급 덕트(12)의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센서(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센서(29)는 공급 덕트(12) 내의 압력치가 소정 압력치보다도 높은 것이 검출됨으로써, 공급 덕트(12)의 오염이 소정량 이상인 것이 검지된다. 또한, 이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센서(29)는 상기 필터 오염 검출 센서(28)와 마찬가지로 적외선 등을 사용한 것이라도 좋다.
한편, 본체(6)의 전방면 개구(4)에는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노즐 부재(11)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노즐 부재(11)에는 일단부가 폐쇄된 직물로 된 공급 덕트(12)의 개방측이 접속되고, 체결 부재(1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설치 장소의 천정면(C)에는 미리 레일 부재(14)가 부착되어 있으며, 공급 덕트(12)의 상단부에 부착된, 예를 들어 쇠사슬형의 현수 부재(15)에 의해 공급 덕트(12)는 레일 부재(14)에 현수된다.
여기에서, 공급 덕트(12)는 일반적으로 직선 형상인 것이 사용되지만, 설치 장소에 따라서, 공기에 의해 공급 덕트(12) 내가 고압이 된 때에, 공급 덕트(12)가 소정 곡율로 절곡되는 비직선 형상인 것이라도 좋다.
이로써, 소정 치수 이상의 긴 공급 덕트(12)를 직선적으로 설치할 수 없는 경우라도, 냉각 효율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공급 덕트(12)로부터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덕트(12)는 탈착 가능한 것이므로, 냉각 부하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길이 치수의 공급 덕트(12)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냉각 부하에 따라서 그 때마다 공급 덕트(12)의 길이 치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냉각 장치(1) 자체의 냉각 능력을 변화시키는 일 없이, 공급 덕트(12)에 의해 냉각 목적에 따른 냉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덕트(12)의 길이 치수를 조정하는 이외에, 본체(6)의 전방면 개구(4)의 형성 부위를 증가함으로써, 공급 덕트(12)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켜 냉각 능력의 조정을 행해도 좋다.
한편,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냉각기(8)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어 고온 고압 가스 냉매가 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로 방열시켜 액화된 후,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류기(30) 내로 유입한다. 이 분류기(30)는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캐필러리 튜브(31A, 31B, 31C, 31D)에 냉매를 분류하여 냉매를 감압한다. 그리고, 각각의 캐필러리 튜브(31A, 31B, 31C, 31D)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냉각기(8)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32A, 32B, 32C, 32D) 내로 유입한다. 여기에서, 냉매 배관(32A, 32B)은 각각 전후로 사행형으로 형성된 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있어서 교차하여 형성된다. 또한, 냉매 배관(32C, 32D)에 있어서도 각각 전후로 사행형으로 형성된 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있어서 교차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냉매 배관(32A, 32B, 32C, 32D)의 냉매가 균일하게 증발되어 이 냉각기(8)로 유입한 공기와 열 교환된다.
그리고, 각각의 냉매 배관(32A, 32B, 32C, 32D)은 각각의 출구에 형성된 헤더(33)에 의해 합류되어 냉매 배관(34)을 거쳐서 압축기로 귀환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냉각기(8)를 구성하는 냉매의 증발하기 쉬운 냉매 배관과, 냉매의 증발하기 어려운 냉매 배관을 교차시킴으로써 냉각기(8) 전체의 냉매의 증발을 균일하게 행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원통형 송풍 팬(9)에 의해 공기의 순환을 행하는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냉매의 증발 효율의 변동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 냉각기(8)의 전방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원통형 송풍 팬(9, 9) 사이에 위치하여 풍향판(3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풍향판(35)에는 복수의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특히 냉각기(8)를 통과하는 풍량이 많은 양 원통형 송풍 팬(9, 9) 사이에 구멍(36)이 형성된 풍향판(35)을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양 원통형 송풍팬(9, 9) 사이의 풍량을 조절하고, 냉각기(8)의 증발 효율이 좋은 부분의 냉기의 통과를 억제하여 증발 효율이 나쁜 부분에 냉기의 통과를 촉진시킴으로써, 냉각기(8)를 통과하는 풍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행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풍향판(35) 대신에 냉각기(8) 중앙부의 후방에 냉각기(8) 측방으로의 공기의 유통을 촉진하는 풍향판을 부착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압축기 및 원통형 송풍 팬(9)이 운전됨으로써, 필터(7)로부터 본체(6) 내로 공기가 유입한다. 이러한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냉각기(8)에 의해 냉각되어 냉기된 후, 원통형 송풍 팬(9)에 의해 가속되어 고압실(10)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고압실(10) 내에서 고압이 된 냉기는 상기 공급 덕트(12) 내로 토출된다. 여기에서,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토출된 냉기에 의해 공급 덕트(12)는 충분히 팽창되고, 이 공급 덕트(12)의 직물로 형성된 작은 구멍으로부터 서서히 식품 가공장 또는 작업장에 냉기를 강하시킨다.
이로써, 식품 가공장이나 저온 작업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원에게 불쾌한 체감 온도를 느끼게 하는 일 없이 원하는 온도로 식품 가공장이나 저온 작업장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1)는 송풍기로서 원통형 송풍 팬(9)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통상의 송풍기와 비교하여 공급 덕트(12)의 압력 제어를 충분히 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운전 중의 소음을 현저하게 삭감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냉각기(8)의 하방에는 냉각기(8)의 서리 제거수나 이슬 등을 수집하는 이슬 받이 부재(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이슬 받이 부재(16)는 중앙부에개구(17)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이 개구(17)를 향해 서서히 낮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이슬 받이 부재(16)의 하방에는, 또한 받침판(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6)의 하부에는 이 받침판(18)의 하방에 위치하여 예를 들어 경질 합성 수지에 의해 진공 성형되는 드레인 팬(2)이 설치된다. 이 드레인 팬(2)은 후방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하방으로 개방 가능해지고 있는 동시에, 드레인 팬(2)의 하면은 전방단부로부터 후방단부에 걸쳐 서서히 낮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레인 팬(2)의 상면에는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에 걸쳐 서서히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A)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드레인 팬(2)의 후방벽에는 배수구(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구(19)에는 후방으로 돌출한 드레인 파이프(20)가 부착된다. 이 드레인 파이프(20)의 후방 단부에는 덮개 부재로서의 드레인 캡(21)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드레인 팬(2)의 오목부(2A)의 전방부에는 상면을 폐쇄하는 폐쇄판(22)이 예를 들어 접착 재료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으며, 오목부(2A)의 개방측 및 상면을 폐쇄하는 동시에, 오목부(2A)의 회전측을 개방하는 드레인 포켓(23)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받침판(18)의 후방에는 드레인 팬(2)의 상방에 위치하여 드레인 팬(2) 상의 드레인 물의 배출 수단으로서의 드레인 펌프(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펌프(24)는 드레인 호스(25)를 거쳐서 드레인 팬(2) 상의 드레인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것이다.
또한, 드레인 펌프(24)의 후방에는 플로트 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플로트 스위치(26)는 드레인 펌프(24)의 고장 등의 이유에 의해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 드레인 팬(2)에 드레인 물이 저류하여, 이 드레인 물의 수위가 소정량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도8을 참조하여 냉각 장치(1)에 설치되는 제어 장치로서의 일반적인 마이크로 컴퓨터(27)에 대해 설명한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27)의 입력측에는 상기 필터 오염 검출 센서(28)와, 상기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센서(29)와, 상기 플로트 스위치(26) 및 이 냉각 장치(1)에 의한 온도 설정을 행하는 컨트롤 패널(37)이 접속되어 있으며, 출력측에는 상기 원통형 송풍 팬(9)이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냉각 장치(1)의 운전 중에 필터(7)가 소정량 이상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터(7)와 냉각기(8) 사이의 압력이 소정치보다도 낮게 되어, 필터 오염 검출 센서(28)에 의해 필터(7)가 오염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27)는 상기 원통형 송풍 팬(9)의 운전을 정지하여, 공급 덕트(12)의 팽창을 줄인다.
이로써, 빠르게 사용자에게 필터(7)가 오염되어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으며, 필터(7)의 오염에 대한 대응이 지연됨으로써, 필터(7)의 눈 막힘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장치(1)의 운전 중에 공급 덕트(12)가 소정량 이상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급 덕트(12) 내의 압력이 소정치보다도 높아져,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센서(29)에 의해 공급 덕트(12)가 오염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27)는 상기 원통형 송풍 팬(9)의 운전을 정지하여, 공급 덕트(12)의 팽창을 줄인다.
이로써, 빠르게 사용자에게 공급 덕트(12)가 오염되어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으며, 공급 덕트(12)의 오염에 대한 대응이 지연됨으로써, 공급 덕트(12)의 눈 막힘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펌프(24)가 고장 등의 이유에 의해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 드레인 팬(2)에 드레인 물이 저류되어, 이 드레인 물의 수위가 소정량 이상이라고 플로트 스위치(26)가 검지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27)는 상기 원통형 송풍 팬(9)의 운전을 정지하여, 공급 덕트(12)의 팽창을 줄인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드레인 팬(2) 상에 소정량 이상의 드레인 물이 저류된 것을 통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드레인 캡(21)을 제거하여 드레인 파이프(20)로부터 드레인 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빠르게 드레인 펌프(24)를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와, 냉각기와, 원통형 송풍 팬과, 고압실과, 타단부가 폐쇄된 직물로 된 공급 덕트를 원통형 송풍 팬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류의 유통 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므로, 필터로부터 유입한 공기를 냉각기로 냉각한 후, 공급 덕트로부터 서서히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송풍기로서 원통형 송풍 팬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통상의 송풍기와 비교하여 공급 덕트(12)의 압력 제어를 충분히 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운전 중의 소음을 현저하게 삭감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따르면, 청구항 1의 발명에다가 냉각기의 하측에 대응하여 설치된 드레인 팬과, 이 드레인 팬에 수용된 드레인 물을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이 배출 수단이 고장 또는 정지의 경우에,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배출 수단의 고장 또는 정지시에 공급 덕트가 수축됨으로써 빠르게 사용자에게 배출 수단의 고장 등을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배출 수단의 고장에 대한 대응이 지연됨으로써, 드레인 팬에 수용된 드레인 물이 외부로 누출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필터의 오염을 검출하는 필터 오염 검출 수단과, 이 필터 오염 검출 수단이 소정량 이상의 오염을 검출한 경우에,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필터가 소정량 이상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 공급 덕트가 수축됨으로써 빠르게 사용자에게 필터가 오염되어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필터의 오염에 대한 대응이 지연됨으로써, 필터의 눈 막힘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공급 덕트의 오염을 검출하는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수단과, 이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수단이 소정량 이상의 오염을 검출한 경우에,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공급 덕트가 소정량 이상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 공급 덕트가 수축됨으로써 빠르게 사용자에게 공급 덕트가 오염되어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공급 덕트의 오염에 대한 대응이 지연됨으로써, 공급 덕트의 눈 막힘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냉각기를 통과하는 풍량을 균일화하기 위한 풍량 조정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냉각기의 증발 효율이 좋은 부분과 증발 효율이 나쁜 부분으로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냉각기를 통과하는 풍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행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냉각기는 복수 경로의 냉매 배관을 구비하고, 각 경로의 냉매 배관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매의 증발하기 쉬운 경로와, 냉매의 증발하기 어려운 경로를 교차시킴으로써 냉각기 전체의 냉매의 증발을 균일하게 행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다가 원통형 송풍 팬과 고압실의 연통부를, 고압실과 공급 덕트의 연통부로부터 어긋나게 배치하였으므로, 냉각기에 부착된 이슬 등이 직접 공급 덕트 내로 침입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공급 덕트 자체의 서리에 의한 폐쇄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어 공급 덕트 내의 압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필터와, 냉각기와, 원통형 송풍 팬과, 고압실과, 타단부가 폐쇄된 직물로 된 공급 덕트를, 상기 원통형 송풍 팬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류의 유통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의 하측에 대응하여 설치된 드레인 팬과, 이 드레인 팬에 수용된 드레인 물을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이 배출 수단이 고장 또는 정지의 경우에, 상기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오염을 검출하는 필터 오염 검출 수단과, 이 필터 오염 검출 수단이 소정량 이상의 오염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덕트의 오염을 검출하는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수단과, 이 공급 덕트 오염 검출 수단이 소정량 이상의 오염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원통형 송풍 팬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를 통과하는 풍량을 균일화하기 위한 풍량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는 복수 경로의 냉매 배관을 구비하고, 각 경로의 냉매 배관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송풍 팬과 고압실의 연통부를 상기 고압실과 공급 덕트의 연통부로부터 어긋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KR10-2001-0018134A 2000-04-07 2001-04-06 냉각 장치 KR100435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6630A JP2001289457A (ja) 2000-04-07 2000-04-07 冷却装置
JP2000-106630 2000-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054A KR20010091054A (ko) 2001-10-22
KR100435818B1 true KR100435818B1 (ko) 2004-06-12

Family

ID=1861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134A KR100435818B1 (ko) 2000-04-07 2001-04-06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289457A (ko)
KR (1) KR100435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5700B2 (ja) * 2013-11-20 2018-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104390274B (zh) * 2014-12-17 2017-10-10 山东格瑞德集团有限公司 基站机房通风空调系统
CN108954671A (zh) * 2017-05-27 2018-12-07 爱国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风系统的空气质量预警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054A (ko) 2001-10-22
JP2001289457A (ja) 200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6711B1 (e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184775B2 (ja) エアカーテン生成装置を利用したドアからの冷気吐出機能を有する冷蔵庫
US5533357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4265975A2 (en) Air conditioner
JPH08327208A (ja) 冷蔵庫及び冷蔵庫の冷気循環方法
KR100435818B1 (ko) 냉각 장치
KR200197795Y1 (ko)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JP2006017338A (ja) 冷蔵庫
KR20010067965A (ko) 연속 난방식 공기조화시스템
JP4130095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風速制御方法
KR200165717Y1 (ko) 냉장고의 결빙 방지장치
KR200265904Y1 (ko)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의 열교환 장치
KR100219784B1 (ko) 에어콘 기능이 일체로 설치된 냉장고
KR100254466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KR1017036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05321B1 (ko) 에어커튼 냉장고
KR19990065321A (ko) 독립형 냉장고 및 그 운전방법
KR200148563Y1 (ko) 냉장고 기계실의 커버구조
KR20040056120A (ko) 온수 공급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0182562B1 (ko) 냉장고의 에어커튼장치
KR20030035145A (ko) 공기조화장치용 증발기 케이스
KR100308493B1 (ko) 냉장고의냉기제어장치
JP2004198061A (ja) 冷蔵庫
WO2017149751A1 (ja) 冷蔵庫
KR20000004682U (ko) 에어컨디셔너용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