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001Y1 - 냉장고 기계실의 방열장치_ - Google Patents
냉장고 기계실의 방열장치_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3001Y1 KR200273001Y1 KR2019980023097U KR19980023097U KR200273001Y1 KR 200273001 Y1 KR200273001 Y1 KR 200273001Y1 KR 2019980023097 U KR2019980023097 U KR 2019980023097U KR 19980023097 U KR19980023097 U KR 19980023097U KR 200273001 Y1 KR200273001 Y1 KR 2002730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enser
- guide
- air flow
- machine room
- blower fa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기계실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방열장치는, 냉장고의 기계실 일측에 설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향하여 에어플로를 발생하는 송풍팬, 그리고 중심부분에 비어있는 중공부분과, 상기 중공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응축기를 향하는 복수개의 안내공으로 형성되는 집중안내부로 구성되는 안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에서의 에어플로는, 중심부분에서는 상기 안내장치의 중공부분을 통하여 유로저항 없이 응축기 측으로, 그리고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응축기 측으로 집중되면서 공급되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응축기 및 압축기를 방열시킨다. 그리고 송풍팬과 응축기는 동일한 수평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안내공은 각각 수평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냉장고의 기계실의 압축기 및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을 위한 에어플로를 효율적으로 압축기 및 응축기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의 상변화를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냉기를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온 저압상태의 액상 냉매가 증발기로 공급되어, 그 내부에서 기화하면서 주변의 공기는 냉기로 생성된다.
증발기에서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후 응축기에 의하여 응축되어 다시 액상 냉매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응축기 및 압축기는 냉장고의 후방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냉장고의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기계실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과 이를 방열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실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의 일측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1)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상태의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와 응축기(3)는, 냉매의 압축 및 응축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1) 및 응축기(3)를 방열시키기 위한 송풍팬(5)이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체상태의 냉매의 압축 및 응축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고온상태인 압축기(1) 및 응축기(3)를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용 에어플로가 상기 송풍팬(5)에 의하여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5)은, 팬가이드(7)에 의하여 격실되어, 상기 압축기(1)와 대향하는 기계실의 다른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5)에서 발생하여 압축기(1) 및 응축기(3) 측으로 공급되는 방열용 에어플로는, 상기 팬가이드(7)에 의하여 역류가 방지되어, 효율적으로 압축기(1) 등을 방열시킬 수 있게 된다.
통상 상기 송풍팬(5)에 의하여 기계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냉장고의 기계실을 커버하는 백커버(도시 생략)에 형성된 다수개의 흡입공을 통하여 유입되며, 압축기(1) 및 응축기(3)를 거치면서, 그들을 방열시킨 고온화된 공기도 백커버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기공을 통하여 냉장고의 외부로 배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5)에 의하여 응축기(3) 및 압축기(1)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응축기(3) 측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공급되어야 효율적으로 응축기(3) 및 압축기(1)를 방열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송풍팬(5)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를 응축기(3)를 향하여 집중시킬 수 있는 아무런 구조도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송풍팬(5)에서 발생한 에어플로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채꼴 모양으로 퍼지면서 응축기(3)를 향하여 흐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응축기(3)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시키는 부분에 있어서는 일정한 한계가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도 2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구성예를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구성예에 의하면, 응축기(13) 및 압축기(11)를 향하는 송풍팬(15)에서의 에어플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8)를 팬가이드(17)에 설치하고 있다.
도 3을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8)는,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에어플로를 수평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균일하면서도 수평방향으로 성형된 복수개의 가이드공(18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공(18a)은, 육각형의 벌집형상 또는 일반적인 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8)의 전체면에 걸쳐 균일하게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15)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가이드부재(18)를 거친 다음 응축기(3)로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8)를 통과하는 에어플로는, 복수개의 가이드공(18a)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안내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응축기(13)를 향하여 집중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실질적으로 송풍팬(15)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가이드부재(18)가 없으면, 산개되어 응축기(13) 측으로 집중되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송풍팬(15)에 의한 에어플로를 자세히 고찰하면, 송풍팬(15)의 중심부분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는 주로 응축기(13)를 향하여 공급되나, 송풍팬(15)의 가장자리부분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가 주로 응축기(13) 이외의 부분으로 퍼지는 것이 보통이다.
즉, 송풍팬(15)에서의 에어플로 중에서, 중심부분은 거의 응축기 측으로 공급되나, 가장자리의 에어플로가 퍼지게 되는 것임을 당연히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가이드부재(18)에 의하면, 가이드부재(18)를 통과하는 에어플로의 전부가 가이드공(18a)을 통하여 응축기(13) 측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가이드부재(18)의 중심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공(18a)에 의하여 송풍팬(15)에서 발생한 에어플로의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송풍팬(15)의 중심부분에서 발생한 에어플로는, 거의 대부분 응축기(13)를 향하여 집중적으로 공급되나, 가이드부재(18)의 중심부분에도 가이드공(18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송풍팬(15)의 중심부분에서 발생한 에어플로가 상기 가이드부재(18)의 중심부분의 가이드공(18a)에 부딪히는 것에 의하여 접촉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에너지 손실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가이드부재(18)를 팬가이드(17)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송풍팬의 중심부분에서 응축기를 향하는 에어플로에 유로 저항이 증가하여, 실질적으로 에어플로의 흐름을 약하게 하여, 방열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송풍팬에서 발생하는 방열용 에어플로의 유로저항을 최소화하여, 방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계실의 에어플로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송풍팬에 의하여 발생하는 에어플로 중에서 중심부분의 에어플로에는 유로저항을 최소화시키고, 송풍팬의 자장자리부분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는 응축기를 향하여 집중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실 방열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방열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방열을 위한 에어플로 안내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에어플로 안내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에어플로의 유속을 같이 도시한 안내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안내장치 32 ..... 중공부분
34 ..... 집중안내부 34a ..... 안내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방열장치는, 냉장고의 기계실 일측에 설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향하여 에어플로를 발생하는 에어플로 발생수단; 그리고 중심부분에 비어있는 중공부분과, 상기 중공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응축기를 향하는 복수개의 안내공으로 형성되는 집중안내부로 구성되는 안내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플로 발생수단에서의 에어플로는, 중심부분에서는 유로저항없이 바로 응축기로, 그리고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안내공을 통하여 응축기측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응축기 및 압축기를 방열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송풍팬과 응축기는 동일한 수평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안내공은 각각 수평으로 형성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안내장치(30) 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안내장치 이외의 구성부분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본 고안에 의한 안내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안내장치(30)는, 중심부에는 비어 있는 상태의 중공부분(32)과, 상기 중공부분(32)의 외측, 즉 가장자리 부분에는 응축기를 향하여 에어플로를 집중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안내공(34a)이 형성되어 있는 집중유도부(34)로 구성된다.
안내장치(30)의 중심부분을 비어 있는 중공부분(32)으로 형성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에어플로의 중심부분은 외측으로 퍼지지 않고, 응축기를 향하여 대부분 흐르는 점이 기초하고 있다. 즉, 종래의 구조는 중심부분에도 안내공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중심부분의 에어플로에 대하여 유로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 있어서는 중심부분에서는 아무런 저항 없이 응축기 측을 향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송풍팬의 중심부분에는 가장 강한 에어플로가 형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중심부분에 어떠한 저항도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에어플로의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분(32)의 가장 자리부분에 형성되는 집중유도부(34)는, 송풍팬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를, 실질적으로 응축기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으로 집중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는 송풍팬의 가장자리부분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가, 응축기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더욱 퍼지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이들을 응축기가 위치한 부분으로 집중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중유도부(34)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안내공(34a)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체화시키고 있다. 이는 통상 송풍팬과 응축기가 동일한 높이를 가진 상태에서 냉장고의 후면 기계실에 설치되는 점에 기초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공(34a)의 형상은, 즉 단면 형상은 종래와 같은 벌집모양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이렇게 안내공(34a)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송풍팬의 자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가 응축기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더욱 외측으로 퍼지지 않고, 응축기로 집중될 수 있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는, 응축기가 송풍팬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설치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공(34a)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즉, 응축기와 송풍팬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수평면 상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안내공(34a)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동일하지 않은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공(34a)의 형상도 수정되어야 한다.
즉, 상기 안내공(34a)은, 실질적으로 송풍팬에서 응축기를 향하여 에어플로를 집중시키면서 안내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송풍팬과 응축기가 동일한 수평위치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안내공(34a)을 송풍팬과 응축기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형상으로 성형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안내장치(30)는 도 5에 도시한 측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D)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안내장치(30)의 두께(D)는, 적어도 송풍팬에서의 에어플로의 방향을 응축기를 향하여 집중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송풍팬의 중앙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는 아무런 유로저항없이 응축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중심부의 중공안내부(32)와, 송풍팬의 가장자리부분에서는 송풍팬에서 발생한 에어플로가 퍼지지 않고 직접 응축기 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안내공으로 구성되는 집중안내부(34)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안내장치에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각각의 안내공의 형상, 또는 안내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의 형상 등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성형되는 본 고안에 의한 안내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안내장치의 중심부분은 중공부분(32)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아무런 유로저항을 받지 않고, 응축기 등을 향하여 에어플로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점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분의 유속이 가장 높은 점을 고려할 때, 가장 효율적으로 응축기 등으로 방열용 에어플로를 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안내장치(3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송풍팬에서의 에어플로를 퍼지지 않고 응축기를 향하여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공(34a)을 구비하는 집중안내부(34)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중공부분(32)의 에어플로와 같이 집중된 방열용 에어플로를 응축기 등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안내장치에 의하면, 응축기 및 압축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시킴으로써,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의 효율을 높여서 냉각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 냉장고의 기계실 일측에 설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기;상기 응축기를 향하여 에어플로를 발생하는 에어플로 발생수단; 그리고중심부분에 비어있는 중공부분과, 상기 중공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응축기를 향하는 복수개의 안내공으로 형성되는 집중안내부로 구성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에어플로 발생수단에서의 에어플로가 상기 안내장치를 통하여 응축기 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송풍팬과 응축기는 동일한 수평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안내공은 각각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3097U KR200273001Y1 (ko) | 1998-11-25 | 1998-11-25 | 냉장고 기계실의 방열장치_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3097U KR200273001Y1 (ko) | 1998-11-25 | 1998-11-25 | 냉장고 기계실의 방열장치_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0711U KR20000010711U (ko) | 2000-06-26 |
KR200273001Y1 true KR200273001Y1 (ko) | 2002-06-20 |
Family
ID=6950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23097U KR200273001Y1 (ko) | 1998-11-25 | 1998-11-25 | 냉장고 기계실의 방열장치_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300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31840B (zh) * | 2020-12-30 | 2022-05-10 | 湖南三安半导体有限责任公司 | 一种单晶生长装置 |
-
1998
- 1998-11-25 KR KR2019980023097U patent/KR20027300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0711U (ko) | 2000-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2108744U (zh) | 空调室外机 | |
KR200273001Y1 (ko) | 냉장고 기계실의 방열장치_ | |
KR20070022948A (ko) |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 |
CN212108752U (zh) | 空调室外机 | |
KR100540436B1 (ko) |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 |
KR200273002Y1 (ko) | 냉장고의 기계실 구조 | |
CN220767491U (zh) | 一种底座装置及衣物处理设备 | |
CN111396997A (zh) | 空调室外机 | |
KR100529957B1 (ko) | 에어컨 실외기 그릴 | |
KR100763695B1 (ko) | 냉장고 | |
EP1800076A1 (en) | Refrigerator | |
KR100204647B1 (ko) | 냉장고의 방열장치 | |
KR200273003Y1 (ko) |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구조 | |
KR20140139803A (ko) | 공기 조화기 | |
JPH07283567A (ja) | プリント基板の冷却構造 | |
CN219108094U (zh) | 一种散热结构以及室内机机组 | |
KR0137081Y1 (ko) | 냉장고 기계실 공기순환장치 | |
KR100569934B1 (ko) |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장치 | |
KR0127575Y1 (ko) | 방열파이프가 설치된 냉장고의 기계실커버 | |
KR0125939Y1 (ko) | 냉장고의 기계실커버구조 | |
KR200272997Y1 (ko) |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 | |
KR20030021809A (ko) |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장치 | |
KR200264492Y1 (ko) | 냉장고의기계실방열장치 | |
KR20020038413A (ko) | 냉장고 기계실 방열장치 | |
KR19990039628U (ko) |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안내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