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711Y1 - 납골묘 - Google Patents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711Y1
KR200272711Y1 KR2020020001859U KR20020001859U KR200272711Y1 KR 200272711 Y1 KR200272711 Y1 KR 200272711Y1 KR 2020020001859 U KR2020020001859 U KR 2020020001859U KR 20020001859 U KR20020001859 U KR 20020001859U KR 200272711 Y1 KR200272711 Y1 KR 200272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plate
top plate
doo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복
Original Assignee
김삼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복 filed Critical 김삼복
Priority to KR2020020001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711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습기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고 문을 잠글 수 있으며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진 고리형상을 이루며 설치되는 바닥판과, 바닥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바닥판에 대응되는 고리형상을 이루며 설치되는 상판과, 바닥판과 상판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고 고리형상을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칸막이판과, 칸막이판과 상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공간을 막도록 상판과 바닥판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안쪽 모서리에 설치되는 후벽판과, 칸막이판과 상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판과 바닥판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바깥쪽 모서리에 설치되며 칸막이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문과, 각각의 문과 칸막이판에 형성된 잠금구멍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잠금쇠와, 바닥판과 상판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안쪽면에 설치되고 상판 및 바닥판과 칸막이판 사이를 연결 고정하며 후벽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쇠와, 문의 안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하는 보조문을 포함하는 납골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납골묘 {Charnel}
본 고안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문의 설치로 습기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고 문을 잠글 수 있도록 잠금장치를 설치하며 바닥판과 상판의 연결부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편을 설치한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장례문화는 매장을 선호하고 있으며, 오랜 기간에 걸쳐 매장을 해오고 있으므로, 전국토에서 묘지로 사용할 만한 공간이 크게 부족할 뿐만 아니라, 묘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나무와 숲이 훼손되어 자연환경을 크게 악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장례문화를 화장으로 바꾸는 사회적인 운동이 크게 번지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화장을 원하고 있고, 매장된 유골을 이장하는 경우에도 화장하여 납골을 보관하는 방향으로 문화가 바뀌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납골묘 및 납골당이 개발되고 있으며, 가족이나 문중 단위로 한곳에 납골함을 모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칸막이로 납골함 보관실이 형성된 납골묘나 납골당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봉분형태의 묘를 선호하는 한국인의 정서를 반영하여 중앙에 봉분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의 봉분형 납골묘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납골묘에 있어서는 상판과 바닥판을 여러개의 석판을 연결하여 형성하므로 시간이 흐르면서 각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의 차이에 의하여 연결부위가 서로 뒤틀어지고, 처음 설치할 때의 미려한 외관이 변형되어 나빠진다.
또 종래의 납골묘에 있어서는 납골함 보관실을 개폐하는 문이 하나로 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습기가 보관실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 다습하고 냄새가 심하게 발생하여 거부감을 주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종래의 납골묘에 있어서는 납골함 보관실을 개폐하는 문을 잠글 수 있는 잠금장치가 없거나 있는 경우에도 잠금과 해제가 불편하고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납골함 보관실의 개폐하는 문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습기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고 잠금장치를 자석을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바닥판과 상판의 연결부에 고정편을 설치하여 뒤틀림을 방지한 납골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봉분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문과 칸막이판 사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납골묘는 소정의 폭을 가진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고리형상을 이루며 연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바닥판과, 상기한 바닥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한 바닥판에 대응되는 소정의 폭을 가진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고리형상을 이루며 연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상판과, 상기한 바닥판과 상판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고 고리형상을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칸막이판과, 상기한 칸막이판과 상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공간을 막도록 상기한 상판과 바닥판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안쪽 모서리에 설치되는 후벽판과, 상기한 칸막이판과 상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상판과 바닥판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바깥쪽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한 칸막이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문과, 상기한 각각의 문과 칸막이판에 형성된 잠금구멍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잠금쇠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닥판과 상판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안쪽면에는 상판 및 바닥판과 칸막이판 사이를 연결 고정하고 상기한 후벽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고정쇠가 설치된다.
상기한 문의 안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보조문을 더 설치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 및 도 6∼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가진 고리형상을 이루며 연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바닥판(10)과, 상기한 바닥판(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한 바닥판(10)에 대응되는 소정의 폭을 가진 고리형상을 이루며 연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상판(20)과, 상기한 바닥판(10)과 상판(20)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판(20)을 지지하고 고리형상을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칸막이판(30)과, 상기한 칸막이판(30)과 상판(20) 및 바닥판(10)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공간을 막도록 상기한 상판(20)과 바닥판(10)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안쪽 모서리에 설치되는 후벽판(34)과, 상기한 칸막이판(30)과 상판(20) 및 바닥판(10)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상판(20)과 바닥판(10)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바깥쪽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한 칸막이판(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문(40)과, 상기한 각각의 문(40)과 칸막이판(30)에 형성된 잠금구멍(33), (44)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잠금쇠(38)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닥판(10) 및/또는 상판(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고리(띠)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의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닥판(10) 및 상판(20)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중앙부분을 일정기간 매장할 수 있는 석실(6)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먼저 석실(6)에 매장한 다음 사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화장하여 납골함(4)에 담아 보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바닥판(10) 및/또는 상판(20)은 여러개의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판을 연접하여(이어붙여)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고리형상의 판 하나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바닥판(10) 및/또는 상판(20)을 여러개 연접하여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바닥판(10)의 연결선과 상판(20)의 연결선이 서로 어긋나서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상판(20) 및 바닥판(10)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연결부의 틈새가 상판(10) 및 바닥판(10)이 서로 연결되어 동시에 벌어져 전체적인 균형이 무너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상판(20)의 윗면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분(2)을 하는 경우에 봉분선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봉분돌기(22)를 모서리를 따라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봉분돌기(22)는 모서리 끝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일정하게 형성한다.
상기한 상판(20)의 끝면 모서리는 외관이 미려하도록 둥글게 라운딩(rounding)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2단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상판(20)의 끝면 모서리를 상기한 문(40)의 표면보다 소정 거리 더 돌출하도록 설치하여 빗물 등이 문(40)쪽으로 떨어져 납골함(4)이 보관되는 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닥판(10) 및 상판(2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의 바깥쪽 모서리 끝부분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문(40) 등이 설치되는 외부걸림턱(14), (24)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닥판(10) 및 상판(2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의 안쪽 모서리 끝부분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후벽판(34)이 설치되는 내부걸림턱(16), (26)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닥판(10) 및 상판(2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한 칸막이판(30)의 위아래 모서리가 삽입되는 조립홈(18), (28)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닥판(10)에는 상기한 외부걸림턱(14), 내부걸림턱(16), 조립홈(16)에 의해 중앙부분에 높게 단형상의 납골대(12)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닥판(10)과 상판(20)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안쪽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20) 및 바닥판(10)과 칸막이판(30) 사이를 연결 고정하고 상기한 후벽판(34)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고정쇠(60)가 설치된다.
상기한 고정쇠(60)는 지그재그형상으로 엇갈려서 위쪽과 아래쪽에 번갈아 설치한다.
상기한 바닥판(10), 상판(20), 칸막이판(30)에는 각각 고정돌기(19), (29), (39)를 형성하고, 상기한 고정쇠(60)에는 상기한 고정돌기(19), (29), (39)가 삽입되는 고정구멍(62), (64)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칸막이판(30)에 형성하는 고정돌기(39)와 이에 대응하는 고정구멍(62)은 세로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한 바닥판(10) 및 상판(20)에 형성하는 고정돌기(19), (29)와 이에 대응하는 고정구멍(64)은 가로로 길게 형성하는 것이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쇠(60)를 형성하면 상기한 상판(20)에 작용하는 하중 또는 바닥판(10)에 작용하는 하중이 분산되어 전달되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하중이 작용하여 상판(20) 및 바닥판(10)이 뒤틀어지거나 변형되는 일의 발생이 크게 감소된다.
상기한 문(40)의 안쪽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수분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보조문(50)을 더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문(50)을 설치하면 외부와 이중으로 차단이 이루어지므로, 습기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내부의 납골함에 보관중인 유골의 부패가 억제되고 악취 발생이 크게 감소한다.
상기한 칸막이판(30)의 바깥쪽 모서리 끝부분에는 상기한 문(40) 및 보조문(50)이 설치되도록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조립돌기(3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칸막이판(30) 조립돌기(32)의 위쪽 부분에는 도 6 및 도 7에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문(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핀(36)을 설치한다. 상기한 문(40)의 상기한 칸막이판(30)과 접하는 측면에는 상기한 힌지핀(36)에 대응하는 위치에 문(40)을 여닫을 수 있도록 위아래로 길게 힌지구멍(46)을 형성한다.
상기한 힌지구멍(46)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힌지핀(36)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부드러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내식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힌지구멍(4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형성하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힌지핀(36)은 상기한 조립돌기(32)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양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여 각각 이웃하는 문(40)의 힌지구멍(46)에 삽입한다.
상기한 문(40)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면 중앙부분에 손을 넣을 수 있는 손잡이홈(42)을 형성한다. 상기한 손잡이홈(42)은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문(40)의 아래쪽 끝부분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잠금쇠(38)가 손잡이홈(42)을 가로질러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 모서리를 따라 길게 잠금구멍(44)을 형성한다.
상기한 칸막이판(30)의 조립돌기(32) 아래쪽 끝부분에는 상기한 잠금구멍(44)에 삽입된 잠금쇠(38)의 끝부분이 삽입되는 잠금구멍(3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잠금쇠(38)를 잠금구멍(44)에 삽입한 상태에서 자석(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잠금쇠(38)쪽에 가까이 대고 도 7에서 보아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잠금쇠(38)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석을 따라 잠금쇠(38)가 이동한다.
상기에서 자석을 도 7에서 보아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잠금쇠(38)가 자석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칸막이판(30)의 잠금구멍(33)에 끝부분이 삽입하게 되고, 문(40)이 힌지핀(3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는 것이 방지되고 잠금상태로 된다.
또 자석을 도 7에서 보아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잠금쇠(38)가 상기한 잠금구멍(33)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한 손잡이홈(42)을 가로질러 잠금구멍(44)의 우측 끝부분까지 이동하게 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손잡이홈(42)에 손을 넣어 들어올리면 문(40)이 힌지핀(36)을 중심으로 회전하며서 열리게 된다. 이 때 손잡이홈(42)을 가로질러 잠금쇠(38)가 위치하므로 손가락으로 잠금쇠(38)를 감아쥐면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효과적으로 문(40)을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에 의하면, 잠금쇠를 자석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문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므로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다. 그리고 잠금쇠를 해제하는 경우에 손잡이로서도 기능하므로 석재로 이루어지는 문만을 잡고 여닫는 것에 비하여 매우 안전하게 문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에 의하면, 고정쇠를 이용하여 지그재그로 상판과 칸막이판 또는 바닥판과 칸막이판을 삼각구조로 연결하여 지지하므로, 상판 및 바닥판에 국부적인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하중의 분산이 고르게 이루어져 연결부위가 뒤틀리거나 틈새가 크게 벌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처음 설치할 때의 수려한 외관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납골묘에 의하면, 납골함 보관실을 개폐하는 문의 안쪽에 보조문을 추가로 설치하여 이중으로 습기의 유입을 차단하므로 외부로부터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납골함에 보관중인 유골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일이 크게 감소한다.

Claims (3)

  1. 소정의 폭을 가진 원형이나 사각형의 고리형상을 이루며 연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바닥판과,
    상기한 바닥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한 바닥판에 대응되는 소정의 폭을 가진 원형이나 사각형의 고리형상을 이루며 연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상판과,
    상기한 바닥판과 상판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고 고리형상을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칸막이판과,
    상기한 칸막이판과 상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공간을 막도록 상기한 상판과 바닥판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안쪽 모서리에 설치되는 후벽판과,
    상기한 칸막이판과 상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공간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상판과 바닥판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바깥쪽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한 칸막이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문과,
    상기한 각각의 문과 칸막이판에 형성된 잠금구멍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잠금쇠를 포함하는 납골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닥판과 상판이 이루는 고리형상의 안쪽면에는 상판 및 바닥판과 칸막이판 사이를 연결 고정하고 상기한 후벽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고정쇠가설치되는 납골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문의 안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보조문을 더 설치하는 납골묘.
KR2020020001859U 2002-01-21 2002-01-21 납골묘 KR200272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859U KR200272711Y1 (ko) 2002-01-21 2002-01-21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859U KR200272711Y1 (ko) 2002-01-21 2002-01-21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711Y1 true KR200272711Y1 (ko) 2002-04-18

Family

ID=7307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859U KR200272711Y1 (ko) 2002-01-21 2002-01-21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7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6160A (en) Molded plastic resinous burial vault
US5460572A (en) Foundation ventilator
JP2008520873A (ja) 取外し可能な飾りフレームを有するペット用ドア
KR101018430B1 (ko) 개방형 이중 수납구조를 갖춘 납골안치단
US6047999A (en) Mausoleum crypt lock
KR200272711Y1 (ko) 납골묘
KR101209818B1 (ko) 납골안치단
KR200207087Y1 (ko) 납골묘에 적용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
KR102132775B1 (ko) 여닫이형 도어를 갖는 납골 안치단
KR200304479Y1 (ko) 대형 납골묘
KR100292947B1 (ko) 조립식 납골함단
KR102183890B1 (ko) 타일 타입의 배수유가트랩
KR102242046B1 (ko) 이중 여닫이형 도어를 갖는 납골 안치단
JPH06117016A (ja) 屋外用床ユニット
JP2568345Y2 (ja)
JP3928388B2 (ja) 開口部建材
KR200250573Y1 (ko) 전통가옥 스타일의 지붕을 구비한 납골당
KR20240001629A (ko) 양방향 여닫이 도어
JPS6322317Y2 (ko)
KR200383910Y1 (ko) 납골당의 조립식지붕
SK1052006A3 (sk) Odkladacia schránka
JPH0150740B2 (ko)
KR200295022Y1 (ko) 납골묘
KR200352981Y1 (ko) 가정형 납골묘
KR200360495Y1 (ko) 장롱의 공간 마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