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629A - 양방향 여닫이 도어 - Google Patents

양방향 여닫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629A
KR20240001629A KR1020220078537A KR20220078537A KR20240001629A KR 20240001629 A KR20240001629 A KR 20240001629A KR 1020220078537 A KR1020220078537 A KR 1020220078537A KR 20220078537 A KR20220078537 A KR 20220078537A KR 20240001629 A KR20240001629 A KR 20240001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frame portion
magneti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숙
최장균
Original Assignee
이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숙 filed Critical 이정숙
Priority to KR1020220078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629A/ko
Publication of KR2024000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62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5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or operated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2003/345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dditional rotating frame within the wing
    • E06B2003/34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dditional rotating frame within the wing where the additional frame rotates around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여닫힐 수 있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문틀부에 형성된 출입구에 제1도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도어부의 개구부에 제2도어부 배치되어, 제1도어부와 제2도어부로 구성된 도어부가 전후방으로 양방향 회전되며 문틀부의 출입구를 여닫을 수 있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여닫이 도어{BIDIRECTIONAL OPENING DOOR}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여닫힐 수 있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문틀부에 형성된 출입구에 제1도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도어부의 개구부에 제2도어부 배치되어, 제1도어부와 제2도어부로 구성된 도어부가 전후방으로 양방향 회전되며 문틀부의 출입구를 여닫을 수 있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에 관한 분야이다.
최근에는 개,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특히, 애완동물은 사람과 실내생활을 함께하며 일상생활을 같이하고, 단순한 애완동물의 사육이 아닌 반려동물로 함께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가정, 사무실 등과 같은 건축물은 사람의 거주를 목적을 지어졌기 때문에, 실내공간에서 애완동물이 생활하기에 불편한 점이 발생하기 마련이고, 특히 건축물의 도어를 통한 애완동물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건축물의 도어는 사람이 여닫으며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애완동물 스스로가 여닫으며 출입하는 것을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고, 애완동물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서는 도어를 항상 열어두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펫도어"라 불리는 보조문을 기존의 도어 하단에 설치하여, 건축물의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펫도어를 통하여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추세이다.
다음은 애완동물 출입을 위한 도어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497호는 가변 펫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과 창문의 사이 위치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애완 동물이 출입하는 회전 도어가 설치되는 하부 도어 플레이트와, 하부 도어 플레이트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 도어 플레이트와, 중간 도어 플레이트의 상측에 길이 가변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 도어 플레이트와, 중간 도어 플레이트와 가변 도어 플레이트를 길이 가변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펫 도어가 거실과 베란다의 사이 위치에서 창틀과 창문의 사이 위치에 창문의 높이에 대응하여 길이 가변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회전도어의 원활한 여닫힘을 위하여 개구부에 결합된 회전도어와 하부 도어 플레이트 간의 유격이 필연적으로 형성되고, 그 결과 유격을 통하여 바람, 냉기, 열기, 냄새 등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497호(2019.11.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1337호(2022.02.1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4807호(2006.04.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8365호(2021.07.15.)
본 발명은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양방향 여닫이 도어는 문틀부에 단일의 도어가 힌지 결합되는 구성을 하고, 원활한 도어의 여닫힘을 위해서는 문틀부와 도어의 사이에 유격 존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그 결과, 문틀부와 도어 사이에 형성된 유격으로 바람, 냉기, 열기, 냄새 등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에 출입구가 형성되는 문틀부; 상기 문틀부에 일측이 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1도어부 및; 상기 문틀부의 일측 또는 제1도어부의 일측에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2도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는 문틀부의 출입구에 제1도어부가 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도어부의 개구부에 제2도어부가 후방으로 여닫힘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도어부가 문틀부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하며 여닫힘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문틀부의 출입구 일정부분과 제1도어부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이 겹치며 기밀을 형성하고, 제1도어부의 개구부 내측 일부분과 제2도어부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이 겹치며 기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문틀부와 도어부 전체의 기밀이 완벽하게 형성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일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가 전방으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제1도어가 문틀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제1도어가 문틀부의 전방쪽에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제2도어부가 후방으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제2도어부가 후방으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기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자성부재와 자성대응부재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제1도어부와 문틀부 간의 자성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제2도어부와 문틀부 간의 자성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록킹부재를 나타내는 부분상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고정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록킹부재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7a. 1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록킹부재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의 록킹부재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여닫힐 수 있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출입구(11)가 형성되는 문틀부(10); 상기 문틀부(10)에 일측이 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된 제1도어부(20) 및; 상기 문틀부(10)의 일측 또는 제1도어부(20)의 일측에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21)를 개폐시키는 제2도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이하, "도어"라 칭함.)는 도 2a와과 같이 벽체(W)에 문틀부(10)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 2b와 같이 벽체(W)에 기설치된 메인도어(70)의 일정부분에 메인도어(70)보다 작은 크기로 설치되는 보조도어(71)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보조도어(71)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보조도어(71)를 여닫으며 양방향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메인도어(70)는 메인도어(70)의 일정부분 또는 메인도어(70)에 포함되는 유리에 보조도어(71)가 내입될 수 있을 만큼의 열린 상태의 설치구(72)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72)에 보조도어(71)가 설치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는 도어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그 기술적 사상을 유지한 채 창문의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도어는 "도어"의 명칭을 가지고 있으나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창문"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가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일명 "펫도어")로 사용되는 경우를 일실시예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는 거시적으로 문틀부(10), 제1도어부(20) 및 제2도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문틀부(10)는 내부에 출입구(11)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외측은 벽체(W) 또는 메인도어(70)의 프레임 내측(일실시예로는 프레임 내측의 유리 또는 패널 등의 판재)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1)가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문틀부(10)는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문틀부(10)는 벽체(W) 또는 판재 등이 견고하고 기밀성 있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두께를 가져 벽체(W) 또는 판재에 끼워지는 구성을 하거나, 상기 벽체(W) 또는 판재의 일부분이 문틀부(10)의 외측 테두리에 더 형성되는 끼움홈(13, 도 3)에 끼워지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더불어 벽체(W) 또는 판재와 문틀부(10)는 상호 고정시켜주는 벽체(W) 고정 부속물, 판재 고정 부속물 또는 실리콘과 같은 접착물 등의 고정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문틀부(10)는 단일체의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벽체(W) 또는 판재의 두께에 따라 문틀부(10)의 두께(전후 방향)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 또는/및 시공성 향상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및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문틀부(10)는 도 2c, 도 4와 같이 전방쪽에 해당하는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쪽에 해당하는 후방 문틀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문틀부(10a)과 후방 문틀부(10b)는 끼움 간격조절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문틀부(10)는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W) 또는 판재를 기준으로 상기 전방 문틀부(10a)는 전방(실내쪽)에서 벽체(W) 또는 판재 쪽으로 내입되고, 상기 후방 문틀부(10b)는 후방(실외쪽)에서 벽체(W) 또는 판재 쪽으로 내입되며, 벽체(W) 또는 판재의 내부(고정재의 두께 안쪽)에서 상기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의 각 말단 일부분이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의 각 말단 일부분은 맞닿은 상태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끼워지는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의 각 말단 일부분이 서로 끼워지는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면, 벽체(W) 또는 판재의 두께에 따라 전방 문틀부(10a)의 말단 일부분과 후방 문틀부(10b)의 말단 일부분 간의 끼움 간격(끼움 깊이)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전방 문틀부(10a)의 말단과 후방 문틀부(10b) 말단 간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는 볼트 또는 후크 등과 같은 고정물에 의하여 더 견고하게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는 상호 간이 체결되지 않고, 전방 문틀부(10a), 후방 문틀부(10b) 각각이 벽체(W) 또는 판재에 직접 고정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문틀부(10)는 도 2d와 같이 전방쪽에 해당하는 전방 문틀부(10a),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중간 문틀부(10c) 및, 후방쪽에 해당하는 후방 문틀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문틀부(10a), 중간 문틀부(10c) 및 후방 문틀부(10b)는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문틀부(10)는 전방 문틀부(10a), 중간 문틀부(10c) 및 후방 문틀부(10b)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W) 또는 판재를 기준으로 상기 전방 문틀부(10a)는 전방(실내쪽)에서 벽체(W) 또는 판재 쪽으로 내입되고, 상기 후방 문틀부(10b)는 후방(실외쪽)에서 벽체(W) 또는 판재 쪽으로 내입되며, 상기 중간 문틀부(10c)는 상기 전방 문틀부(10a) 또는 후방 문틀부(10b)에 전방 일부분 또는 후방 일부분이 우선 결합된 상태로 벽체(W) 또는 판재의 내부에 내입 위치되는 구성을 한다.
상기 벽체(W) 또는 판재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 문틀부(10c)의 전방부는 전방 문틀부(10a)의 후방부에 먼저 끼워지는 구성을 하고(중간 문틀부(10c)의 후방부가 후방 문틀부(10b)의 전방부에 먼저 끼워지는 구성을 하여도 무방함.), 중간 문틀부(10c)가 끼워진 전방 문틀부(10a)는 전방(실내쪽)에서 벽체(W) 또는 판재 쪽으로 내입되며, 상기 후방 문틀부(10b)는 후방(실외쪽)에서 벽체(W) 또는 판재 쪽으로 내입되며, 벽체(W) 또는 판재의 내부에서 상기 중간 문틀부(10c)의 후방부 말단 일부분과 후방 문틀부(10b)의 전방부 말단 일부분은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문틀부(10a), 중간 문틀부(10c) 및 후방 문틀부(10b)의 각 말단 일부분은 순차적으로 서로 끼워지는 상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전방 문틀부(10a), 중간 문틀부(10c) 및 후방 문틀부(10b)의 각 말단 일부분이 순차적으로 서로 끼워지는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면, 벽체(W) 또는 판재의 두께에 따라 전방 문틀부(10a)의 후방부 말단 일부분과 중간 문틀부(10c)의 전방부 말단 일부분 간의 끼움 간격 및 중간 문틀부(10c)의 후방부 말단 일부분과 후방 문틀부(10b)의 전방부 말단 일부분 간의 끼움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전방 문틀부(10a), 중간 문틀부(10c) 및 후방 문틀부(10b)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전방 문틀부(10a), 중간 문틀부(10c) 및 후방 문틀부(10b) 간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간 문틀부(10c)는 벽체(W) 또는 판재의 두께의 두께에 따라 중간 문틀부(10c)의 폭(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 사이의 간격(T))에 적합하게 제작되거나, 벽체(W) 또는 판재의 두께에 알맞도록 절단되어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 사이에 끼워지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중간 문틀부(10c)는 벽체(W) 또는 판재의 두께 내부에 위치되어, 벽체(W) 또는 판재에 타공 형성된 설치구(72)의 절단면을 가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중간 문틀부(10c)의 전후방 양쪽에 각각 끼워진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가 상호 볼팅 체결되는 경우에는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 간의 끼움 및 체결 간격을 유지시키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는 상기 구성의 문틀부(10)의 출입구(11)에 도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도어부는 제1도어부(20)와 제2도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제1도어부(20)는 상기 문틀부(10)에 일측이 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문틀부(10)에 형성된 출입구(11)의 내주 테두리 일부분을 여닫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1도어부(20)는 도 5와 같이 일측(길이방향의 일측)이 문틀부(10)의 일측(길이방향의 일측)에 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문틀부(10)의 전방으로 회전되며 여닫힐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부(20)는 문틀부(1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도 6, 7과 같이 힌지 결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문틀부(10)에 대한 제1도어부(20)의 결합 위치는 제1도어부(20)의 필요한 여닫힘 방향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제1도어부(20)의 일측이 문틀부(10) 일측의 두께 내부 일정부분(중간부분)에 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제1도어부(20)의 일측이 문틀부(10) 일측의 전방쪽에 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도어부(20)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21)는 하기의 제2도어부(30)에 의하여 개폐되는 구성으로서,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개구부(21)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 제2도어부(30)에서 하겠다.
또한 ⅰ) 문틀부(10)와 제1도어부(20) 간의 기밀은 문틀부(10)의 출입구(11) 내측 일부분과 제1도어부(2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22) 간의 겹침에 의한 기밀성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즉, 상기의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제1도어부(20)의 일측이 문틀부(10) 일측의 두께 내부 일정부분(중간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문틀부(10)의 출입구(11) 내측 일부분에는 출입구(11)의 안쪽으로 돌출형성된 플랜지(12a)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2a)에는 제1도어부(2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22)이 겹치며 기밀을 형성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도어부(20)는 문틀부(10) 일측의 두께 내부 일정부분(중간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문틀부(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전되며 출입구(11)의 열림을 형성할 수 있고, 문틀부(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되며 상기 플랜지(12a)와 제1도어부(2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22)이 겹치며 출입구(11)의 닫힘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틀부(10)의 출입구(11) 내측에 형성된 플랜지(12a)와 제1도어부(2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22) 사이에는 제1기밀패킹부재(4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출입구(11)과 제1도어부(20) 사이의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제1기밀패킹부재(40)가 탄성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1도어부(20)가 회전하여 닫힐 때 발생하는 문틀부(10)와 제1도어부(20) 간의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기밀패킹부재(40)는 문틀부(10)의 플랜지(12a), 제1도어부(2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22)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플랜지(12a)와 제1도어부(2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22) 간의 전체적인 부분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ⅱ) 문틀부(10)와 제1도어부(20) 간의 기밀은 도 7과 같이 문틀부(10)의 출입구(11) 전방의 내측 일부분(12)과 제1도어부(2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22) 간의 겹침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문틀부(10)와 제1도어부(20) 간의 겹침에 의한 기밀성 확보는 문틀부(10)의 출입구(11) 전방의 내측 일부분(12)이 문틀부(10)의 상기 플랜지(12a)의 역할을 하는 것에 차이만 있고, 상기 ⅰ)의 경우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으로 문틀부(10)와 제1도어부(20) 간의 겹침을 형성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ⅰ)의 경우로 대신하겠다. 다만 ⅱ)의 경우의 기술적 사상 및 그에 대한 권리범위는 ⅰ)의 경우에도 포함함은 자명할 것이다.
즉, 상기 구성의 제1도어부(20)는 문틀부(10)의 전방으로 회전하며 출입구(11)를 여닫을 수 있고, 문틀부(10)의 플랜지(12a, 또는 출입구(11) 전방의 내측 일부분(12))와 제1도어부(2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22) 간의 겹침 간섭에 의하여 문틀부(10)의 후방으로 열림이 불가능한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제2도어부(30)는 상기 문틀부(10)의 일측 또는 제1도어부(20)의 일측에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를 개폐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2도어부(30)는 도 8, 9와 같이 일측(길이방향의 일측)이 문틀부(10)의 일측 또는 제1도어부(20)의 일측에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문틀부(10)의 후방으로 회전되며 여닫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ⅲ) 상기 제2도어부(30)의 일측이 상기 문틀부(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경우에는, 제2도어부(30)는 문틀부(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문틀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성을 한다.
즉, 애완동물이 문틀부(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때(실외에서 실내로 이동)에는 문틀부(10)에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도어가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스윙 회전되어 제1도어부(20)의 타측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이때 제1도어부(20)는 문틀부(10)의 일측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도어부(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스윙 회전되어 도어부 전체가 출입구(11)를 개방하며 전방으로 열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도어부(30)와 문틀부(10)의 결합 위치는 제1도어부(20)의 후방에 해당하는 문틀부(10) 일측의 일정부분이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고; 문틀부(10)가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 문틀부(10b)로 구분되는 경우에는 제2도어부(30)와 문틀부(10)의 결합 위치는 전방 문틀부(10a) 또는 후방 문틀부(10b)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ⅳ) 상기 제2도어부(30)의 일측이 상기 제1도어부(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제2도어부(30)는 문틀부(10)의 후방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제1도어부(2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성을 한다.
즉, 애완동물이 문틀부(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때(실내에서 실외로 이동)에는 제1도어부(20)는 후방으로 열리지 않고, 제1도어부(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도어부(30)의 일측이 회전축으로 하여 후방으로 스윙 회전되어 개구부(21)를 개방하며 후방으로 열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도어부(30)의 일측과 문틀부(10) 일측, 제2도어부(30)의 일측과 제1도어부(20) 일측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힌지 결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어부(30)는 제1도어부(20)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21)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개구부(21)와 동일한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도어부(30)는 외측의 테두리 일부분(32)이 상기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의 테두리 일부분(23)과 겹치며 기밀을 형성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의 경우에는, 도 9, 10과 같이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의 테두리 일부분(23)과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32)이 상호 겹침을 형성하여, 개구부(21)와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상호 겹침되는 상기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의 테두리 일부분(23)과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3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플랜지(33a, 33b)가 형성되어 상호 겹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에는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 테두리의 외주보다 더 큰 외주를 가지는 플랜지(33b)가 형성되고, 제2도어부(30)가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를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플랜지(33b)는 개구부(21) 내측 테두리의 일부분(23)과 겹침을 형성하여 개구부(21)를 완전히 가로막을 수 있다.
이때, 도 7과 같이 상기 제1도어부(20)의 전방면(24)과 제2도어부(30)의 전방면(34)이 일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도어부(30)의 플랜지(33b)는 제2도어부(30)의 전방면(34)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구성을 하여, 제1도어부(20)와 제2도어부(30)의 전방면이 일체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키고,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에 제2도어부(30)의 플랜지(33b) 안쪽 부분이 긴밀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32)과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 테두리 일부분(23) 사이에는 제2기밀패킹부재(41)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개구부(21)과 제2도어부(30) 사이의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제2기밀패킹부재(41)가 탄성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2도어부(30)가 회전하여 닫힐 때 발생하는 제1도어부(20)와 제2도어부(30) 간의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밀패킹부재(41)는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 테두리 일부분(23),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32)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32)에 플랜지(33b)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 테두리 일부분(23)에 제2기밀패킹부재(4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 테두리 일부분(23)에 제2기밀패킹부재(4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면, 애완동물이 제2도어부(30)를 열면서 후방으로 나갈 때 제2기밀패킹부재(41)는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 테두리 일부분(23)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32)에 제2기밀패킹부재(41)가 구비되는 경우보다 제2기밀패킹부재(41)와 애완동물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상기 제2기밀패킹부재(41)는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 테두리 일부분(23)과 제2도어부(30)의 겹침부분을 아우르며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부(20)는 자성대응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성대응부재(50)는 상기 문틀부(10) 또는 제2도어부(30)에 더 구비되는 자성부재(52)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부재(52)는 "자석"이라 불리는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자성대응부재(50)는 자석에 붙는 성질을 가지는 철성분을 포함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자성대응부재(50)와 자성부재(52)의 위치는 상호 변경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자성대응부재(50) 역시 자성체로 구성되되 자성부재(52)와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자성부재(5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자성대응부재(50)는 제1도어부(20)의 하부, 측부 또는 상부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비되고, 상기 자성대응부재(50)에 대응되는 위치의 문틀부(10) 또는 제2도어부(30)의 하부, 측부 또는 상부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는 자성부재(52)가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비되어, 자성부재(52)의 자력이 자성대응부재(50)에 미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자성대응부재(50)와 자성부재(52)는 제1도어부(20)가 문틀부(10)에서 열린 후 다시 닫힐 때 인력에 의하여 상호 당겨지고, 그 결과 제1도어부(20)가 닫힌 상태에서 문틀부(10) 또는 제2도어부(30)에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상기 자성부재(52)가 문틀부(1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도어부(20)가 직접 문틀부(10)에 위치 고정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자성부재(52)가 제2도어부(3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도어부(20)는 1차적으로 제2도어부(30)에 위치 고정된 후 2차적으로 제2도어부(30)와 문틀부(10)의 고정력에 의하여 문틀부(10)에 위치 고정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성부재(52)의 크기와 자력세기 및 자성대응부재(50)의 크기와 자력세기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부(30)는 자성대응부재(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성대응부재(51)는 상기 문틀부(10) 또는 제1도어부(20)에 더 구비되는 자성부재(53)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성대응부재(51)와 자성부재(53)의 위치는 상호 변경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자성대응부재(50)와 자성부재(52)의 위치는 상호 변경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자성대응부재(51) 역시 자성체로 구성되되 자성부재(53)와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자성부재(53)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자성부재(53)와 자성대응부재(51)는 제2도어부(30)가 닫힌 상태일 때 제2도어부(30)를 문틀부(10) 또는 제1도어부(20)에 위치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각각이 문틀부(10) 또는 제2도어부(30)에 구비되는 자성부재(52)와 상기 제1도어부(20)의 자성대응부재(50)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제2도어부(30)에 구비되는 자성대응부재(51)는 제2도어부(30)의 하부, 측부 또는 상부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비되고, 상기 자성대응부재(51)에 대응되는 위치의 문틀부(10) 또는 제2도어부(30)의 하부, 측부 또는 상부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는 자성부재(53)가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비되어, 자성부재(53)의 자력이 자성대응부재(51)에 미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자성대응부재(51)와 자성부재(53)는 제2도어부(30)가 제1도어부(20)에서 열린 후 다시 닫힐 때 인력에 의하여 상호 당겨지고, 그 결과 제2도어부(30)가 닫힌 상태에서 문틀부(10) 또는 제2도어부(30)에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상기 자성부재(53)가 문틀부(1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2도어부(30)가 직접 문틀부(10)에 위치 고정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자성부재(53)가 제1도어부(2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2도어부(30)는 1차적으로 제1도어부(20)에 위치 고정된 후 2차적으로 제1도어부(20)와 문틀부(10)의 고정력에 의하여 문틀부(10)에 위치 고정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자성부재(53)가 제1도어부(2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도어부(20)의 자성대응부재(50)에 자력을 가하는 자성부재(52)는 문틀부(10)에 구비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자성부재(53)의 크기와 자력세기 및 자성대응부재(51)의 크기와 자력세기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자성대응부재(50, 51)와 자성부재(52, 53)를 이용하여 문틀부(10)에 제1도어부(20) 및 제2도어부(30)를 자력으로써 상호 위치 고정시키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데, 당업자는 상기와 같은 자성대응부재(50, 51)와 자성부재(52, 53) 간의 배치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문틀부(10)에 제1도어부(20) 및 제2도어부(30)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자성대응부재(50, 51)와 자성부재(52, 53) 간의 배치를 위한 다양한 방식의 채택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문틀부(10)는 록킹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부재(60)는 제2도어부(30)를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여닫이 도어가 애완동물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애완동물 관리자(이하, "관리자"라 칭함)은 필요에 따라 애완동물의 출입을 막는 일도 생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문틀부(10)에 록킹부재(60)를 더 구비하여 애완동물의 출입을 막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록킹부재(60)는 도어부를 구성하는 제1도어부(20) 또는/및 제2도어부(30)의 여닫힘을 저지하여 문틀부(10)의 출입구(11)를 막을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 록킹부재(60)는 제2도어부(30)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여 도어부 전체의 여닫힘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록킹부재(60)는 도 14와 같이 문틀부(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키(61)와; 상기 고정키(61)를 문틀부(10)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키 홀더(62);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키(61)는 문틀부(10)의 하부(타측) 또는 측부 중 어느 한 부분에 하나 이상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도 17a와 같이 제2도어부(30)의 잠금해제 시에는 제2도어부(30)와의 걸림이 형성되지 않도록 문틀부(10)의 내부에 내입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도 17b와 같이 제2도어부(30)의 잠금을 위해서는 관리자가 고정키(61)의 일부분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키(61)의 다른 일부분이 제2도어부(30)의 하부 또는 측부에 걸림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2도어부(30)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회전을 저지시킴으로써 제2도어부(30)를 잠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키(61)는 길이방향 일부분이 문틀부(10)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힌지에 의하여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제2도어부(30) 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 제2도어부(30)에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키(61)는 도 15와 같이 제2도어부(30)에 걸림을 형성시키는 길이방향 일측부(61a); 상기 일측부(61a)에 연결되고, 문틀부(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관리자 조작을 위한 핸들(61b)을 구비하는 길이방향 중간부(61c) 및; 상기 중간부(61c)에 연결되는 길이방향 타측부(61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고정키(61)는 거시적으로 일측부(61a), 중간부(61c) 및 타측부(6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간부(61c)는 고정키(61)를 문틀부(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 형태로 구성되고, 힌지 형태의 중간부(61c) 외측에는 관리자가 전방에서 고정키(6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61b)이 돌출 형성된다, 관리자는 상기 핸들(61b)을 손가락으로 회전시켜 고정키(61)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부(61a)는 중간부(61c)에서 고정키(61)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고정키(61)에 의한 잠금해제 시에는 문틀부(10)의 내부에 내입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중간부(61c)를 중심으로 한 고정키(61)의 회전 시에는 문틀부(10)에서 제2도어부(30) 쪽으로 돌출되어 제2도어부(30)와의 걸림을 형성함으로써 제2도어부(30)를 잠글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고정키(61)의 일측부(61a)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 18과 같이 "U" 형의 말단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U"형의 말단은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22)의 하부 일부분을 "U"형 내부에 내입시켜 고정키(61)가 제2도어부(30)의 전방 및 후방 회전을 저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와 "U"형의 말단의 위상 차이에 따라 제2도어부(30)의 외측 테두리에는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격 돌출된 잠금리브(35)가 더 구비되고, 상기 "U"형의 말단의 전방 상부는 잠금리브(35)에 형성된 내입홈(36)에 내입되며, "U"형의 말단의 후방 상부는 잠금리브(35)의 후방을 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타측부(61d)는 중간부(61c)에서 고정키(61)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고정키(61)에 의한 잠금해제 시에는 문틀부(10)의 내부에 내입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중간부(61c)를 중심으로 한 고정키(61)의 회전 시에는 문틀부(10)의 내부로 더욱 깊이 내입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타측부(61d)는 도 17a, 17b와 같이 상기 핸들(61b)의 구성 위치와 반대 쪽에서 관리자가 고정키(61)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때, 관리자가 고정키(6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핸들(61b)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관리자가 상기 타측부(61d)를 눌러 고정키(61)를 회전시킬 때, 고정키(61)의 일측부(61a)가 상기 잠금리브(35)에 대한 잠금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고정키(61)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자는 문틀부(10)에 내입되어 있다가 회전되며 문틀부(10)의 상부로 올라온 일측부(61a)를 회전시켜 고정키(61)가 잠금리브(35)에 대한 잠금을 온전히 형성할 수 있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일측부(61a)의 후방에는 관리자의 손가락 끝 또는 손톱이 내입되거나 걸릴 수 있도록 하는 조작홈 또는/및 조작돌기와 같은 조작부(63)가 더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핸들(61b)이 문틀부(10)에서 문틀부(10)의 전방 쪽과 후방 쪽 양쪽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관리자는 도어의 전방쪽(실내)과 후방쪽(실외) 모두에서 핸들(61b)을 회전시켜 고정키(61)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조작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핸들(61b)이 문틀부(10)의 전방 쪽(또는 후방 쪽 중 어느 한쪽)에만 노출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관리자는 전방쪽(실내)에서 핸들(61b)을 회전시켜 고정키(61)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조작할 수 있고, 후방쪽(실외)에서는 타측부(61d)를 문틀부(10) 내부로 눌러 고정키(61)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키(61)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문틀부 10a : 전방 문틀부
10b : 후방 문틀부 10c : 중간 문틀부
11 : 출입구 12 : 출입구 전방의 내측 일부분
12a : 플랜지 13 : 끼움홈
20 : 제1도어부 21 : 개구부
22 : 외측 테두리 일부분 23 : 내측의 테두리 일부분
24 : 전방면 30 : 제2도어부
32 : 외측의 테두리 일부분 33a, 33b : 플랜지
34 : 전방면 35 : 잠금리브
36 : 내입홈 40 : 제1기밀패킹부재
41 : 제2기밀패킹부재 50 : 자성대응부재
51 : 자성대응부재 52 : 자성부재
53 : 자성부재 60 : 록킹부재
61 : 고정키 61a : 일측부
61b : 핸들 61c : 중간부
61d : 타측부 62 : 고정키 홀더
63 : 조작부 70 : 메인도어
71 : 보조도어 72 : 설치구
W : 벽체

Claims (8)

  1. 내부에 출입구(11)가 형성되는 문틀부(10);
    상기 문틀부(10)에 일측이 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된 제1도어부(20) 및;
    상기 문틀부(10)의 일측 또는 제1도어부(20)의 일측에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21)를 개폐시키는 제2도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부(20)는,
    외측 테두리 일부분(22)이 상기 문틀부(10)의 출입구(11) 전방의 내측 일부분(12)과 겹치며 기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부(30)는,
    외측의 테두리 일부분(32)이 상기 제1도어부(20)의 개구부(21) 내측의 테두리 일부분(23)과 겹치며 기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부(20)는,
    자성대응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성대응부재(50)는 상기 문틀부(10) 또는 제2도어부(30)에 더 구비되는 자성부재(52)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부(30)는,
    자성대응부재(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성대응부재(51)는 상기 문틀부(10) 또는 제1도어부(20)에 더 구비되는 자성부재(53)와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부(10)는,
    록킹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부재(60)는 제2도어부(30)를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부(10)는,
    전방쪽에 해당하는 전방 문틀부(10a)와 후방쪽에 해당하는 후방 문틀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문틀부(10a)과 후방 문틀부(10b)는 끼움 간격조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부(10)는,
    전방쪽에 해당하는 전방 문틀부(10a),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중간 문틀부(10c) 및, 후방쪽에 해당하는 후방 문틀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문틀부(10a), 중간 문틀부(10c) 및 후방 문틀부(10b)는 순차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여닫이 도어.
KR1020220078537A 2022-06-27 2022-06-27 양방향 여닫이 도어 KR20240001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537A KR20240001629A (ko) 2022-06-27 2022-06-27 양방향 여닫이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537A KR20240001629A (ko) 2022-06-27 2022-06-27 양방향 여닫이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629A true KR20240001629A (ko) 2024-01-03

Family

ID=8953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537A KR20240001629A (ko) 2022-06-27 2022-06-27 양방향 여닫이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62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807Y1 (ko) 2006-02-17 2006-04-26 김승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도어
KR200490497Y1 (ko) 2019-06-13 2019-11-20 김영삼 가변 펫 도어
KR102278365B1 (ko) 2020-07-16 2021-07-15 이종춘 애완동물 출입문 시스템
KR102361337B1 (ko) 2021-11-04 2022-02-14 주식회사 펫스커 애완동물 출입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807Y1 (ko) 2006-02-17 2006-04-26 김승호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도어
KR200490497Y1 (ko) 2019-06-13 2019-11-20 김영삼 가변 펫 도어
KR102278365B1 (ko) 2020-07-16 2021-07-15 이종춘 애완동물 출입문 시스템
KR102361337B1 (ko) 2021-11-04 2022-02-14 주식회사 펫스커 애완동물 출입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4653B2 (en) Molded plastic access door
JP2008520873A (ja) 取外し可能な飾りフレームを有するペット用ドア
US11326393B2 (en) Door with acoustic seals
US5365706A (en) Door with vent window
KR20240001629A (ko) 양방향 여닫이 도어
US6405497B1 (en) Window gate
KR100798154B1 (ko) 강화유리 도어용 내장형 잠금장치
KR102269756B1 (ko) 방수 사물함
KR101005189B1 (ko) 양방향 개폐 도어 카트리지 및 도어
US7246829B1 (en) Sliding door latch for handicapped people
JP2002081268A (ja) 戸構造
CN221032218U (zh) 可推拉和平开的门窗
JP3853495B2 (ja) 差圧調整部材および差圧調整開閉部材
JPH0220367Y2 (ko)
KR102526336B1 (ko) 여밈대 기밀유지장치
KR102337266B1 (ko) 현관용 중앙도어
JPH0138238Y2 (ko)
GB2251644A (en) Door with sliding latches
KR200200350Y1 (ko) 슬라이딩 창호의 잠금장치
JP2002097861A (ja) ペット用ドアパネル
KR200254634Y1 (ko) 통풍 및 환기를 위한 보조문을 갖는 이중문
JPH0485470A (ja) 複合ドア
JPH0639011Y2 (ja) 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JPH0318610Y2 (ko)
JP2001090419A (ja) ドアの用心錠とその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