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931Y1 - 유모차의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931Y1
KR200271931Y1 KR2019990010817U KR19990010817U KR200271931Y1 KR 200271931 Y1 KR200271931 Y1 KR 200271931Y1 KR 2019990010817 U KR2019990010817 U KR 2019990010817U KR 19990010817 U KR19990010817 U KR 19990010817U KR 200271931 Y1 KR200271931 Y1 KR 200271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frame
baby carriage
hand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384U (ko
Inventor
정병조
Original Assignee
정병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조 filed Critical 정병조
Priority to KR2019990010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93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931Y1/ko

Link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를 아래로 밀기만 하면 간단히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한 유모차의 절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유모차절첩장치는 저면으로 버튼이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양측으로는 절곡 형성된 메인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과 연결된 와이어가 내장되며,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는 코일 스프링이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끝부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된 캡에 고정되며, 상기 캡의 일측으로는 걸림턱을 가지는 걸림간과, 상기 걸림간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판 스프링이 설치된 이음간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연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는 고정간에는 보조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 프레임에는 상기 걸림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봉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은 서로 연동 작동되어 유모차를 절첩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유모차의 절첩장치.{OPENING AND CLOSEING DEVICE OF BABY CARRIAGE}
본 고안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를 아래로 밀면 간단히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한 유모차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모차는 대부분이 어린이를 태워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모차 전체가 원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모차는 사용시에는 편리한 점이 있으나 보관시나 운반시에 그 부피를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절첩할 수가 없어서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 96-28766 호(명칭: 유모차의 절첩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고정부(2)가 연설된 제동판(1)에는 걸림홈(3)과 고정홈(23)을 요설해서 공지된 핀(8)으로 지지관(6)과 동받이간(9)(9') 및 보강판(10)을 축심으로 해서 축착하고 등받이간(9)에는 제동돌기(21)가 돌설한 제동구(20)를 끼워서 인장 스프링(22)으로 하측을 향해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모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손잡이 부분의 양측에 설치된 압상변을 윗쪽으로 젖힌 다음 의자를 잡고 후방으로 밀어야만 절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절첩동작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모차의 절첩시 양손을 사용해야만 하는 단점이 예상된다. 또한 상기 유모차는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시간이 길어지며, 제작상의 어려운 점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를 아래로 밀기만 하면 간단히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한 유모차의 절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모차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보관할 수 있는 유모차의 절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쉽게 유모차를 펼치고 접을 수 있는 유모차의 절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모차 절첩장치는 저면으로 버튼이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양측으로는 절곡 형성된 메인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과 연결된 와이어가 내장되며,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는 코일 스프링이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끝부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된 캡에 고정되며, 상기 캡의 일측으로는 걸림턱을 가지는 걸림간과, 상기 걸림간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판 스프링이 설치된 이음간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연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는 고정간에는 보조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 프레임에는 상기 걸림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봉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은 서로 연동 작동되어 유모차를 절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간단히 절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서 절첩장치의 주요부분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유모차에서 손잡이의 버튼을 눌렸을 때 절첩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유모차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6은 상기 도 1에서 'A-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버튼 14: 메인 프레임
24: 걸림턱 28: 와이어
32: 코일 스프링 36: 판 스프링
42: 보조 프레임 44: 사이드 프레임
46: 연결봉 50: 고정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유모차는 내부가 비어있는 다수개의 프레임(14,42,44)들과 생필품들을 담을 수 있는 받침대(102) 및 어린이가 앉을 수 있도록 쿠션력을 가지는 의자(100)와, 그리고 4개의 바퀴(104)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유모차에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프레임(14)의 내부에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인 소비자들이 간편히 접고/펼수 있도록 절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손잡이(10)의 저면으로는 버튼(12)이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10)의 양측으로는 '기역자(ㄱ)' 모양으로 절곡진 메인 프레임(14)이 각각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4)의 내부에는 통상의 와이어(28)가 내장되며. 이때 상기 와이어(28)는 버튼(12)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12)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와이어(28)는 당겨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28)의 끝부분은 후술하는 고정쇠(3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4)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구성물, 바람직하게는지지간(18), 이음간(20) 및 걸림간(22)이 설치되고, 그 끝부분에는 캡(26)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4)은 고정간(16)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고정간(16)에는 보조 프레임(42)과 사이드 프레임(44)이 각각 핀(42a,44a)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보조 프레임(42)은 메인 프레임(14)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44)은 메인 프레임(14)과 연결봉(4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봉(46)의 좌측단은 핀(46a)으로 캡(26)에 고정되고, 우측단은 핀(46b)으로 사이드 프레임(44)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걸림간(22)의 하측으로는 걸림턱(24)이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는 장공(2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공(22a)에는 핀(48)이 끼워지게 되며, 상기 핀(48)은 전술한 고정쇠(30)의 일면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쇠(30)의 끝부분에는 코일 스프링(32)이 설치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32)의 끝부분은 캡(26)의 내부에 형성된 브라켓(34)에 결합된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32)은 와이어(28)의 작동에 따라 압축 또는 복귀되면서 전술한 메인 프레임(14)을 작동, 바람직하게는 걸림간(22)을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프레임(42)에는 걸림간(22)을 고정시키는, 상세하게는 걸림턱(24)과 접촉되어 상기 걸림간(22)을 고정시키는 돌기(43)가 형성된다.
또 한편으로는, 상기 이음간(20)의 내부에는 판 스프링(36)이 리브(38)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이 판 스프링(36)은 걸림간(22)을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간(18)에는 전술한 의자(100)를 착탈시키기 위한고정체(5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체(50)의 반대편으로는 노브(40)가 조립된다. 이때 상기 노브(40)는 전술한 고정체(5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의자(100)의 양측단에는 2개의 후크(70a)를 가지는 고정 브라켓(7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체(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50)는 메인 프레임(52)과 손잡이(56)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52)의 중간부분에는 나사(62)가 끼워져 있다. 이때 상기 나사(62)는 전술한 고정체(50)를 지지간(18)에 체결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52)에는 전술한 후크(70a)가 끼워지기 위한 개구부(50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0a)의 전방으로는 손잡이(56)가 조립된다. 즉, 상기 손잡이(56)의 양측단에는 고정축(62)을 가지는 제1 브라켓(60)이 일체로 형성되고, 역시 상기 메인 프레임(52)의 양측단에는 고정축(62)이 결합되기 위한 제2 브라켓(54)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56)와 메인 프레임(52) 사이에는 스프링(64)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64)은 손잡이(56)의 리브(56a)와 메인 프레임(52)의 리브(52a)에 끼워져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64)은 전술한 손잡이(56)를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모차 절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1 및 도 3 내지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버튼(12)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12)과 연결된 와이어(28)는 위로 당겨지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8)는 위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32)은 인장 되어진다. 이와 동시에 고정쇠(30)에 부착된 핀(48)은 걸림간(22)의 장공(22a)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걸림턱(24)은 돌기(43)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판 스프링(36)은 걸림간(22)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어진다. 즉, 도 4에 도시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유모차의 손잡이(10)를 잡고 아래로 밀게 되면 메인 프레임(14)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44)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보조 프레임(42)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14)과 사이드 프레임(44)은 연결봉(46)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 프레임(14)이 아래로 이동한 만큼 사이드 프레임(44)은 보조 프레임(42)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이와 반대로 유모차를 펴고자 할 때는 단순히 손잡이(10)를 잡고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메인 프레임(14)은 위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44)은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4)이 완전히 위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간(22)은 판 스트링(36)의 복원력에 의해 보조 프레임(42)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해 걸림간(22)의 걸림턱(24)은 돌기(43)에 고정된다. 이로써 유모차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유모차에 고정된 의자(100)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손잡이(56)를 젖힌 다음, 고정 브라켓(70)의 후크(70a)를 빼내면 된다. 그러면 상기 의자(100)는 손쉽게 유모차로부터 분리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잡이를 아래로 밀기만 하면 유모차가 간단히 절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소비자가한손으로 유모차를 손쉽게 펼치고 접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유모차에 고정된 의자를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부착하여 안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4개의 바퀴(104)를 가지며, 받침대(102)와 의자(102)로 구성된 유모차를 절첩시킬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저면으로 버튼(12)이 설치된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의 양측으로는 절곡 형성된 메인 프레임(14)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4)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12)과 연결된 와이어(28)가 내장되며;
    상기 와이어(28)의 단부에는 코일 스프링(32)이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32)의 끝부분은 상기 메인 프레임(14)의 단부에 결합된 캡(26)에 고정되며;
    상기 캡(26)의 일측으로는 걸림턱(24)을 가지는 걸림간(22)과, 상기 걸림간(22)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판 스프링(36)이 설치된 이음간(20)이 상기 메인 프레임(14)의 외주연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4)을 지지하는 고정간(16)에는 보조 프레임(42)과 사이드프레임(44)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 프레임(42)에는 상기 걸림간(22)을 고정시키기위한 돌기(43)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44)은 상기 메인 프레임(14)과 연결봉(46)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28)의 작동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4)과 사이드 프레임(44)은 서로 연동 작동되어 상기 유모차를 절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절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100)의 양측단에는 후크(70a)를 가지는 고정 브라켓(70)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4)의 외주연에 설치된 지지간(18)에는 상기 후크(70a)가 착탈되기 위한 고정체(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절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50)는 상기 지지간(18)에 체결 고정되는 메인프레임(52)을 가지며, 상기 메인 프레임(52)에는 상기 후크(70a)가 끼워지는 개구부(50a)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52)의 전방으로는 전/후로 이동하는 손잡이(56)가 고정축(6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56)와 메인 프레임(52)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56)를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64)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절첩장치.
KR2019990010817U 1999-06-14 1999-06-14 유모차의 절첩장치. KR200271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17U KR200271931Y1 (ko) 1999-06-14 1999-06-14 유모차의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17U KR200271931Y1 (ko) 1999-06-14 1999-06-14 유모차의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384U KR19990035384U (ko) 1999-09-06
KR200271931Y1 true KR200271931Y1 (ko) 2002-04-13

Family

ID=5475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817U KR200271931Y1 (ko) 1999-06-14 1999-06-14 유모차의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9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384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464B1 (ko)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
US7475900B2 (en) Baby stroller frame
US6464242B2 (en) Folding stroller
TWI491526B (zh) 用於裝設嬰兒承載配件的安裝機構
US7419181B2 (en) Foldable carriage body for carrying a seat
EP2927090B1 (en) Foldable stroller frame
KR101995268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US6886851B2 (en) Stroller
US6814368B2 (en) Foldable stroller
US6820891B2 (en) Stroller foldable in three
KR20210071852A (ko) 접을 수 있는 아기 요람
KR200271931Y1 (ko) 유모차의 절첩장치.
CN112998480A (zh) 收折机构
JP2001224439A (ja) 折畳み作業台
US7635159B2 (en) Collapsing device and child seat using the same
JP4397661B2 (ja) ベビーカー
JP4275494B2 (ja) ベビーカー
KR920009592B1 (ko) 절첩가능한 유모차
KR200284380Y1 (ko) 유모차 안전장치
KR101221493B1 (ko) 유모차
CN218348323U (zh) 一种折叠脚架结构及其收纳箱
CN213109476U (zh) 婴儿车用快速折叠机构
CN115892174A (zh) 婴儿载具
JPH11348789A (ja) 手押し車
CN115476906A (zh) 座椅及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