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819Y1 -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잠망경형 빽밀러 - Google Patents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잠망경형 빽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819Y1
KR200271819Y1 KR2020010028789U KR20010028789U KR200271819Y1 KR 200271819 Y1 KR200271819 Y1 KR 200271819Y1 KR 2020010028789 U KR2020010028789 U KR 2020010028789U KR 20010028789 U KR20010028789 U KR 20010028789U KR 200271819 Y1 KR200271819 Y1 KR 200271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er
periscope
see
mirr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증남
Original Assignee
전증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증남 filed Critical 전증남
Priority to KR2020010028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8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819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운전시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빽밀러 부착대 몸통 부분의 안을 이용하여 안에 반사경을 장착하고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안에서 밖으로 보게 하는 방법으로 쉽게 풀이하자면 잠망경의 원리와 같다.
앉은 자리에서 운전시 차체 앞선이 보이지 않지만 빽밀러 위치에서는 보이게 된다.
빽밀러를 열고 닫을 수 있게 고안하여 평상시에는 빽밀러로 사용하며 주차시, 후진시, 좁은 골목 운전시에는 빽밀러를 위에서 아래로 열고 잠망경형 형태로 있는 몸통 안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차체 앞선과 후선을 볼수 있는 단계가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잠망경형 빽밀러 {omitted}
자동차 운전시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빽밀러 부착대 몸통 부분의 안을 이용하여 안에 반사경을 장착하고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안에서 밖으로 보게 하는 방법으로 쉽게 풀이하자면 잠망경의 원리와 같다.앉은 자리에서 운전시 차체 앞선이 보이지 않지만 빽밀러 위치에서는 보이게 된다. 빽밀러를 열고 닫을 수 있게 고안하여 평상시에는 빽밀러로 사용하며 주차시, 후진시, 좁은 골목 운전시에는 빽밀러를 위에서 아래로 열고 잠망경형 형태로 있는 몸통 안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차체 앞선과 후선을 볼수 있게 한 것이다.일반적으로 빽밀러는 빽밀러로만 사용하고 있으며 빽밀러에 부착된 부착대와 몸통은 고정장치로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부착대로만 사용하던 것을 부착대 몸통안에 반사경을 장착, 반사각을 이용하여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장치로 기존 빽밀러를 위에서 아래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장치와 열고 난 뒤 부착대 몸통 안의 반사경을 통해 시각하는 것과 시각시 볼 수 있는 거리를 각도 조절기로 조절하며 운전자가 빽미러를 보는 시각을 높이 조절기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도 1은 잠망경형 빽밀러의 측면도
도 2는 잠망경의 빽밀러의 평면도도 3은 차량에 장착하여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잠망경형 상부 2.높이 조절기
3.빽밀러 4.잠망경형 하부
5.부착대 6.각도조절기
7.반사경 8.높이 조절 버튼
먼저 운전시 앉은 자리에서 차체 앞선을 볼 수 없으나 빽밀러의 부착대 끝부분에서는 차체 앞선과 후선을 볼 수가 있다.
빽밀러(3)은 기존과 동일하나 빽밀러를 열었을때(3a)를 추가하여 열고 닫을 수 있게 하였으며 빽밀러(3)을 열고 잠망경형 하부(4)로 통하여 안에 있는 반사경(7) 각도로 통해 잠망경형 상부(1)로써 전방을 보게 하는 장치이다.
쉽게 생각하면 잠망경의 원리와 같으나 각도조절기(6)을 장착하여 차종류별로 차체 길이가 다른 것을 각도조절기(6)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운전자의 앉은 키가 사람마다 다르므로 높이조절기(2)를 추가 하여 부착대의 몸통 부분을 길게 또는 짧게 늘릴 수 있게 톱니형으로 만들었으며 고정시 높이 조절기 버튼(8)로 고정 시키면 된다. 일반 빽밀러에서는 몸통은 고정용으로 사용하지만 여기서는 몸체 안을 통해 차체 앞선을 보게 되는 것이다. 후방에는 빽밀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빽밀러를 제거후 장착하면 전방 빽밀러로 통해 후방을 보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빽밀러를 이용해 차체 앞선과 후선을 보이게 하였다. 이장치는 초보운전자, 여성운전자, 주차시, 후진시, 좁은 골목 운전시 다방면으로 보이지 않는 차체 앞선과 후선을 보이게 하여 보다 편하고 안전한 운전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효과라 할 수 있다.

Claims (1)

  1. 잠망경형 밀러는 차의 전면 유리에 빽밀러 위치에 부착대를 이용 부착, 차체 앞선을 시각하는 방법으로 필수적인 구성 요소만으로 밀러의 하부 반사경(거울)과 상부반사경(거울), 전방의 시야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기, 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기와 높이 조절고정버튼, 기존 빽밀러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몸통과 빽밀러을 특징으로 하는 잠망경형 빽밀러이다.
KR2020010028789U 2001-09-18 2001-09-18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잠망경형 빽밀러 KR200271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789U KR200271819Y1 (ko) 2001-09-18 2001-09-18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잠망경형 빽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789U KR200271819Y1 (ko) 2001-09-18 2001-09-18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잠망경형 빽밀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945A Division KR20030023833A (ko) 2001-09-14 2001-09-14 차체 앞선,후선을 시각하는 잠망경형 빽밀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819Y1 true KR200271819Y1 (ko) 2002-04-11

Family

ID=7310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789U KR200271819Y1 (ko) 2001-09-18 2001-09-18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잠망경형 빽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8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2572A (en) System for viewing an infant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EP1625971A3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structure
KR200271819Y1 (ko) 차체 앞선, 후선을 시각하는 잠망경형 빽밀러
JPS581068Y2 (ja) 自動車用ミラ−装置
US6247821B1 (en) Combined forward and rearward viewing mirror system
CA2061034A1 (en) Accessory for a vehicle
JPH038511Y2 (ko)
CN207345677U (zh) 一种带显示屏的后视镜
JP2001048078A5 (ko)
KR100503337B1 (ko) 다양한 곡률로 굴곡된 룸미러
US1446946A (en) Glare shield for motor vehicles
JP3090800U (ja) 凸鏡を利用した室内ミラー
KR200206576Y1 (ko) 자동차 후방 감시용 거울
JPS5816916Y2 (ja) 自動車用ミラ−装置
JP2518179Y2 (ja) 光学式コーナーポール装置
KR200146069Y1 (ko) 자동차의 수동식 아웃사이드미러
KR19980022402A (ko) 차량의 후방시계확보를 위한 헤드업디스플레이장치
US20040130811A1 (en) Side view mirror
KR200306268Y1 (ko)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JP4328690B2 (ja) ドアミラー
KR20030023833A (ko) 차체 앞선,후선을 시각하는 잠망경형 빽밀러
GB2407393A (en) Rear-view mirror glasses attachment
KR20040033651A (ko) 자동차의 운전자 눈높이 사이드 미러
KR19990027806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KR0118457Y1 (ko) 승합차용 백판넬의 그라스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