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344Y1 -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 - Google Patents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344Y1
KR200271344Y1 KR2020010038276U KR20010038276U KR200271344Y1 KR 200271344 Y1 KR200271344 Y1 KR 200271344Y1 KR 2020010038276 U KR2020010038276 U KR 2020010038276U KR 20010038276 U KR20010038276 U KR 20010038276U KR 200271344 Y1 KR200271344 Y1 KR 200271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hoe
frame
single fram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Original Assignee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2020010038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344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두밑창의 테두리로 사용되는 대다리를 제화의 디자인과 색상에 맞추어 사용할수 있도록 한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구두밑창(20)과 이의 상면에 위치하여 접합되는 갑피(30) 사이에 생기게 되는 모서리 부분을 마감시켜 주는 대다리(40)를 구두밑창(20)의 테두리 부분에 접착제 또는 재봉선에 의해 부착될수 있도록 하는 고무재질로 압출성형시켜 주는 임의의 형상모양을 갖는 단일테(41)와; 상기의 단일테 상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하여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부(42)와; 제화의 다자인과 색상에 맞추어 장식적인 기능을 갖도록 단일테와 구별되는 색상의 색테(43)를 끼움 결합시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a shoemaking border for double tone of color}
본 고안은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두밑창의 테두리로 사용되는 대다리를 제화의 디자인과 색상에 맞추어 사용할수 있도록 한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화용 대다리는 제화를 이루는 구두밑창과 상기의 구두밑창 상면에 접착 또는 재봉에 의해 부착되는 갑피 사이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시켜 주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압출성형기를 통해 제화에 사용될수 있는 임의의 형상및 모양을 갖는 대다리를 성형시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대다리는 제화의 형상 모양에 따라 이의로 변형되면서 견고하게 부착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무를 재질로 하는 대다리를 성형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의 대다리를 압축성형기에 의해 일률적으로 성형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에 맞추어 절단시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대다리는 고무를 재질로 하여 압출성형기에 의해 압출성형이 이루어짐에 따라 단일색상으로만 성형이 이루어질수 밖에 없으며, 제화 역시 다양한 색상을 갖지 못하고 보편적으로 검정색 또는 밤색등의 보편적인 색상을 사용하고 있어 이들에 사용되는 대다리 또한 단일색상이 적합하였으나, 최근에는 소비자의 욕궁에 충족하기 위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각양각색의 색상을 조합시킨 제화가 제작,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을 갖는 제화가 개발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에 사용되는 대다리는 아직까지도 단일색만으로 하여 제화에 맞도록 하는 모양만을 변형시킨 정도에 불과하여 단일색상을 갖고있는 대다리가 다양화 되고있는 제화의 디자인과 색상에 부응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제작및 착용할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두밑창의 테두리용으로 사용되는 대다리를 제화의 디자인과 색상에 맞도록 하는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이중의 색상을 갖도록 제작시켜 주므로서, 제화의 디자인과 색상에 맞는 대다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제화 자체의 장식적인 효과를 높여줌과 아울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제화의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인 대다리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인 대다리의 사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구두밑창 30:갑피
40:대다리 41:단일테
42:요입홈부 43:색테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제화의 사시도로서, 제화(10)를 이루는 구두밑창(20)과 이의 상면에 위치하여 접착 또는 재봉에 의해 부착된 갑피(30)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 부분에 고무를 재질로 하는 대다리(40)를 봉착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화(10)에 사용되는 대다리(40)는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두밑창과 갑피 사이의 모서리 굴곡에 따라 휘어지면서 밀착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무를 재질로 하여 성형되는 단일색을 갖는 단일테(41)를 압출성형시 상기의 단일테 상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하여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부(4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의 요입홈부내에 제화의 디자인과 색상에 맞도록 하는 색상을 갖는 색테(43)를 끼움 결합시켜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요입홈부(42)와 색테(43)는 제화의 디자인에 부응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 모양으로 형성할수 있고, 색테(43)는 제화의 색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색상으로 성형시켜 주면 되는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고무를 재질로 하여 대다리(40)를 이루는 단일테(41)와 색테(43)를 각각 사출 성형시켜 준다.
이때, 단일테(41)는 압출성형기에 의해 압출성형시 절단을 위한 연결띠(44)에 대칭되는 두개의 단일테(41)를 압출성형시켜 준 상태에서 단일테를 사용시에는 연결띠(44)를 절단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단일테를 압출성형시 이의 상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하여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부(42)가 성형되도록 하며, 색테(43)는 요입홈부(42)의 모양에 따라 여러가지의 형상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단일색소에 의해 임의의 색을 갖도록 성형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성형된 색테(43)를 단일테(41)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성형된 요입홈부(42)내에 끼움 결합시켜 주면 되는 것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색테(43)가 요입홈부(42)내에 견고하게접착된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결합이 이루어진 대다리(40)를 구두밑창(20)과 갑피(30)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단일테(41)와 구두밑창(20)을 접착제 또는 재봉선(50)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 고정되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서, 제화(10)의 디자인이나 색상에 맞추어 구두밑창(20)과 갑피(30)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대다리(40)를 이루는 색테(43)도 각양각색으로 형성시켜 제화(10) 자체의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부각시켜 줄수 있음은 물론, 대다리(40) 자체의 장식적인 기능을 높여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대다리(40)의 색테(43)는 제화(10)의 디자인에 따라 여러가지 모양으로 사용하므로서 장식적인 기능을 한층더 높여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일테(41)의 상면에 끼움 결합되는 색테(43)(43a)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 형성시켜 줄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단일테(41)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하여 내측으로 요입되는 하나 이상의 요입홈부(42)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홈부내에 각기 다른 색상의 색테(43)를 끼움 결합시켜 주어 장식적인 효과를 한층더 높여줄수 있도록 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구두밑창의 상면에 갑피를 부착시켜 주므로서 생기게 되는 모서리 부분을 마감시켜 주는 대다리를 제화의 디자인이나 색상에 맞는 색상을 갖고있는 색테로 형성된 단일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줄수 있어 제화 자체의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부가시켜 줄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대다리의 장식적인 효과를 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3)

  1. 구두밑창(20)과 이의 상면에 위치하여 접합되는 갑피(30) 사이에 생기게 되는 모서리 부분을 마감시켜 주는 대다리(40)를 구두밑창(20)의 테두리 부분에 접착제 또는 재봉선에 의해 부착될수 있도록 하는 고무재질로 압출성형시켜 주는 임의의 형상모양을 갖는 단일테(41)와; 상기의 단일테 상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하여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부(42)와; 제화의 다자인과 색상에 맞추어 장식적인 기능을 갖도록 단일테와 구별되는 색상의 색테(43)를 끼움 결합시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테(41)에 형성되는 요입홈부(42)와 이에 끼움 결합되는 색테(43)를 제화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 모양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
  3.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테(41)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갖추어지는 색테(43)를 다른 색상의 색테로 하나 이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
KR2020010038276U 2001-12-12 2001-12-12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 KR200271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276U KR200271344Y1 (ko) 2001-12-12 2001-12-12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276U KR200271344Y1 (ko) 2001-12-12 2001-12-12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344Y1 true KR200271344Y1 (ko) 2002-04-10

Family

ID=7311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276U KR200271344Y1 (ko) 2001-12-12 2001-12-12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3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3371B2 (ja) 複数ピースのミッドソールを有する履物
JP3135954B2 (ja) 靴 底
RU2003134367A (ru) Растяжимая подошва для обуви, обувь, снаженная такой подошво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уви
ITPD20040044U1 (it) Calzatura aperta tipo ciabatta, sandalo e simili
US20060143950A1 (en) Injection molded phylon midsole
USD416667S (en) Clog style molded plastic shoe
US20020083617A1 (en) Shoe with a transparent toe cap
KR200271344Y1 (ko) 이중의 색상을 갖는 제화용 대다리
ITGE940062A1 (it) Pinna da nuoto.
USD485672S1 (en) Portion of a shoe midsole
CN219578370U (zh) 一种可组装的拖鞋
KR102631800B1 (ko) 조립방식으로 아웃솔이 탈착되어지는 미드솔이 구비되는 신발
KR200301678Y1 (ko) 인출 및 압입식 오리발 장착 샌달
KR200242120Y1 (ko) 슬리퍼
KR100446018B1 (ko) 신발의 제조방법
USD1022427S1 (en) Footwear upper and midsole
JPH0856707A (ja) 履物の製造方法
KR200164915Y1 (ko) 운동화용아웃솔
KR200163313Y1 (ko) 슬리퍼
KR100428868B1 (ko) 구두 밑창 제조방법
KR200265361Y1 (ko) 샌달용 이중 밑창
JP3009651U (ja) インソール
KR200314676Y1 (ko) 접착공정이 없는 조립식 신발
JP2001137001A (ja) 履物、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中底、中敷
JP3118958U (ja) ヒール部品及びそのヒール部品を用いた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