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229Y1 -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229Y1
KR200271229Y1 KR2020010040703U KR20010040703U KR200271229Y1 KR 200271229 Y1 KR200271229 Y1 KR 200271229Y1 KR 2020010040703 U KR2020010040703 U KR 2020010040703U KR 20010040703 U KR20010040703 U KR 20010040703U KR 200271229 Y1 KR200271229 Y1 KR 200271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ble
holder
plug connector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찬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40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2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229Y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 커넥터에 삽입 체결되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홀더의 양측면에 탄성레버 구조를 구성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체결구의 케이블 고정홈 양측의 내측면 선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케이블 홀더의 양측에 형성되어 인위적인 힘에 의해 내외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레버; 및 탄성레버 각각의 외측면 적소에 걸림홈에 관계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케이블 홀더를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에 삽입 체결시 걸림홈에 걸림되어 케이블 홀더를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에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Mounting and removing structure of connector cable holder for doors of cars}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에 삽입 체결되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시키는 케이블 홀더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라 함은 전기에서 전선이나 회로, 기기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구를 말하는 것으로, 여기서의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는 자동차 도어패널 내측에서 입·출력 케이블 단자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를 설명하기에 앞서 자동차 도어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도어는 통상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외부를 구성하는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의 내측면에 설치 고정되어 내측면을 마감하는 도어트림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어패널의 내측면에는 공간부 상에 작업공구나 손을 넣어 작업을 하기 위한 소정 크기의 작업구가 다수 개 관통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에는 도어패널 내측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창을 구성하는 파워 윈도우,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도어 록 및 후방을 감시하기 위한 사이드 미러 등이 구성된다. 이외에도 도어에는 오디오용 스피커,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스위치 및 도어용 램프가 구성되기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의 파워 윈도우, 도어 록 및 사이드 미러 등은 통상 기계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전동식의 경우 윈도우, 도어 록 및 사이드 미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솔레노이드의 입·출력 케이블과 전원을 연결하는 케이블 등이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오디오용 스피커,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스위치 및 도어용 램프 등의 입·출력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 역시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 등을 연결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는 통상 도어패널의 공간부 상에 위치되어 역시 도어패널의 내측 공간부 상에 설치되는 입·출력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 등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는 도어패널 공간부 상의 어느 한 부위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입·출력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 등을 연결한 상태로 도어패널의 공간부 상에 자유롭게 위치되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 등을 연결한 상태로 도어패널의 공간부 상에 자유롭게 위치되어진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커넥터 자체를 교체하거나 단자를 교체할 경우 작업자는 우선 도어패널로부터 도어트림을 분리시킨 후, 도어패널의 작업구를 통해 공간부로 작업공구나 손을 넣어 교체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도어패널 내측면상의 작업구는 그 단면이 절단에 의해 형성되어 매우 날카로운 절단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및 단자의 교체작업시 도어패널 작업구를 통해 공간부로 손을 넣어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구의 단면에 의해 상해를입을 우려가 상시 존재하게 된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도어패널의 작업구는 작업자가 작업공구나 손을 넣어 작업하기에는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커넥터 및 단자의 교체작업을 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어패널과 도어트림 각각의 내측면에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구성하여 도어트림을 도어패널의 내측면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해 두 커넥터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넥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으며, 또한 두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에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적용하는 구조로 하여 입·출력 케이블 단자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과 이에 따른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적용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창안된 것으로, 플러그 커넥터에 삽입 체결되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홀더의 양측면에 탄성레버 구조를 구성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에 삽입 체결되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홀더의 양측면에 탄성레버 구조를 구성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가요성 플랫 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각각 도어패널의 내측면과 도어트림의 내측면에 설치 고정하는 구조로 함은 물론,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도어패널에 도어트림을 장착하는 것을 통해 커넥터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각각 도어패널의 내측면과 도어트림의 내측면에 설치 고정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커넥터와 단자의 교체작업이 도어패널의 외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은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은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각각 도어패널의 내측면과 도어트림의 내측면에 설치 고정하는 구조로 함은 물론,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도어패널에 도어트림을 장착하는 것을 통해 커넥터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 등에 의해 두 커넥터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용 입·출력 케이블 단자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체결홈 상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작동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에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에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요성 플랫 케이블 홀더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7 은 도 6 의 "A"를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 110. 커넥터 홀도
112. 홀더 하우징 114. 고정편
116. 걸림 유지편 120. 소켓 커넥터
122. 커넥터 하우징 124. 걸림턱
126. 걸림편 128. 단자 접속구
130. 입·출력 케이블 단자 132. 접속단
140. 플러그 커넥터 142. 커넥터 하우징
144. 체결구 144a. 케이블 고정홈
146. 고정편 150. 케이블 홀더
154. 탄성레버 154a. 걸림돌기
156. 걸림해제 손잡이 160. 가요성 플랫 케이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의 선단이 삽입 체결되는 케이블 고정홈이 형성된 체결구가 내측면에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도어트림의 적소에 설치되는 한편 도어패널의 내측면에 설치된 소켓 커넥터와의 체결시 입·출력 케이블 단자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플러그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에 삽입 체결되어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체결구의 케이블 고정홈 양측의 내측면 선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케이블 홀더의 양측에 형성되어 인위적인 힘에 의해 내외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레버; 및 탄성레버 각각의 외측면 적소에 걸림홈에 관계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케이블 홀더를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에 삽입 체결시 걸림홈에 걸림되어 케이블 홀더를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에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탄성레버 각각의 끝단에는 케이블 홀더를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으로부터 걸림 해제시켜 분리 가능하도록 탄성레버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해제 손잡이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에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의 플러그 커넥터에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요성 플랫 케이블 홀더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7 은 도 6 의 "A"를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가요성 플랫 케이블{FFC(Flexible Flat Cable)/FPC(Flexible Printed Cable), 160}이 적용된 구조의 커넥터에 적용되는 기술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는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삽입 체결되어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걸림 유지시키거나 걸림 해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걸림 유지시키거나 걸림 해제시키기 위한 구성은 플러그 커넥터(140)에 형성된 체결구(144)의 케이블 고정홈(144a) 양측의 내측면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144b), 케이블 홀더(150)의 양측에 형성되어 인위적인 힘에 의해 내외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레버(154) 및 탄성레버(154) 각각의 외측면 적소에 걸림홈(144b)에 관계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케이블 고정홈(144a)에 삽입 체결시 걸림홈(144b)에 걸림되어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돌기(154a)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걸림 유지시키거나 걸림 해제시키는 구조는 플러그 커넥터(140)에 삽입 체결되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고정시키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케이블 홀더(150)를 삽입 체결하는 경우 케이블 홀더(150)의 체결되는 힘에 의해 탄성레버(154)가 내측으로 탄성된 후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완전히 삽입 체결하게 되면 탄성레버(154)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걸림돌기(154a)가 걸림홈(144b)에 안착됨으로써 케이블 홀더(150)의 걸림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는 걸림홈(144b)으로부터 걸림돌기(154a)의 걸림을 해제시키지 않는 한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54a)가 걸림홈(144b)에 안착됨으로써 케이블 홀더(150)의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플러그 커넥터(140)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없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걸림 유지시키거나 걸림 해제시키는 구조에는 도 3, 4 및 도 5 에서와 같이 탄성레버(154) 각각의 끝단에는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으로부터 걸림 해제시켜 분리 가능하도록탄성레버(154)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걸림홈(156a)이 형성된 걸림해제 손잡이(156)가 더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걸림해제 손잡이(156)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교체할 경우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으로부터 케이블 홀더(15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걸림해제 손잡이(156)는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삽입 체결시 케이블 고정홈(144a)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걸림해제 손잡이(156)에는 작업자의 손톱이나 작업공구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156a)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케이블 체결홈(144a)으로부터 케이블 홀더(150)를 분리시키는 과정은 먼저, 걸림해제 손잡이(156)의 걸림홈(156a)에 손톱이나 작업공구를 걸리게 하여 내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케이블 고정홈(144a) 상의 걸림홈(144b)으로부터 탄성레버(154)측의 걸림돌기(154a)를 걸림 해제시킨다. 이후, 케이블 고정홈(144a)으로부터 케이블 홀더(150)를 분리시키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가 적용되는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100)는 커넥터 홀더(110), 소켓 커넥터(120) 및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로 이루어진 도어패널(10)측의 구성과 플러그 커넥터(140), 케이블 홀더(150) 및 케이블(160)로 이루어진 도어트림(20)측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패널(10)측의 커넥터 홀더(110), 소켓커넥터(120) 및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는 도어패널(10)의 내측면에 구성되고, 도어트림(20)측의 플러그 커넥터(140), 케이블 홀더(150) 및 케이블(160)은 도어패널(10)측의 구성에 대향되어 도어트림(20)의 내측면에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성이 도어패널(10) 내측면과 도어트림(20) 내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패널(10)의 내측면에 도어트림(20)을 고정하게 되면 소켓 커넥터(120)와 플러그 커넥터(1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도어패널(10)의 내측면에 도어트림(20)을 고정하게 되면 커넥터 홀더(110)의 선단면(112b)은 도어트림(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면접촉된다.
커넥터 홀더(110)는 도어패널(10)의 내측면에 그 선단부 양측이 나사부재(3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커넥터 홀더(110)의 선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어패널(10)의 내측 공간부(12) 상에 삽입되어 위치된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패널(10)의 내측면에 커넥터 홀더(110)를 설치 고정한 상태에서 커넥터 홀더(110)의 전면을 통해 소켓 커넥터(120)가 삽입되어 후단에 걸림 유지된다. 이때, 소켓 커넥터(120)는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가 체결된 상태로 커넥터 홀더(110)에 체결된다.
플러그 커넥터(140)는 후면을 통해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이 삽입되어 케이블 홀더(15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도어패널(10)의 내측면 적소에 설치된 소켓 커넥터(120)의 대향되는 도어트림(20)의 적소에 나사부재(30)에 의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패널(10) 내측면과 도어트림(20) 내측면 각각에 해당구성요소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트림(20)을 도어패널(10)의 내측에 결합 고정시키면 소켓 커넥터(120)에 플러그 커네터(140)가 체결되어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소켓 커넥터(120)에 플러그 커넥터(140)를 체결하여 플러그 커넥터(140)에 체결된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의 접속단(162)과 소켓 커넥터(120)에 체결된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140)의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고정시키는 체결구(144)는 소켓 커넥터(120)의 체결홈(122a) 내측에 삽입 체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넥터 홀더(110)는 도 1, 2 및 도 6 에서와 같이 소켓 커넥터(120)를 자동차 도어의 도어패널(10) 내측면에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커넥터 홀더(1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에 소정 크기의 공간부(112a)가 형성된 상태로 전후가 개방된 구조의 홀더 하우징(112), 커넥터 홀더(110)를 도어패널(10)의 내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114) 및 소켓 커넥터(120)를 걸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 유지편(116)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커넥터 홀더(110)의 구성에서 홀더 하우징(112)은 커넥터 홀더(11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홀더 하우징(112)은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부(112a)가 형성된 상태로 전후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후방측이 전방측에 비해 작은 크기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홀더 하우징(112)은 내측에 공간부(112a)가 형성된 상태로 전면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고, 후면은 그 중심의 일부만이 사각의 형태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홀더 하우징(112)에는 그 전면을 통해 소켓 커넥터(120)가 삽입되어 후단으로 체결된다. 이때, 홀더 하우징(112)에 체결된 소켓 커넥터(120)는 내측 공간부(112a) 상에 위치된다.
고정편(114)은 커넥터 홀더(110)를 도어패널(10)의 내측면 적소에 나사부재(30)를 통해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고정편(114)은 홀더 하우징(112)의 전반부 양측면 각각에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고정편(114) 각각에는 나사부재(30)가 체결되는 고정홈(114a)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걸림 유지편(116)은 홀더 하우징(112)의 전면을 통해 삽입 체결되는 소켓 커넥터(120)를 걸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걸림 유지편(116)은 홀더 하우징(112) 후면의 개방된 단면 상하좌우 각각에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호 대향되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커넥터 홀더(110)에서 걸림 유지편(116)은 홀더 하우징(112) 후단 상하에 각각 두 개씩이 형성되고, 좌우 각각에 하나씩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홀더(1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가 개방된 구조의 홀더 하우징(112) 선단 양측에 나사부재(30)의 체결을 통해 커넥터 홀더(110)를 도어패널(110)의 내측면 적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14a)이 형성된 고정편(114)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홀더 하우징(112) 후면의 개방된 단면의 상하좌우 각각에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호 대향되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걸림 유지편(116)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커넥터 홀더(110)에서 홀더 하우징(112) 후면의 개방된 단면이 이루는 사각의 크기는 소켓 커넥터(120)의 후단 외측면이 이루는 사각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다수의 걸림 유지편(116)이 이루는 사각의 크기는 소켓 커넥터(120)의 후단 외측면이 이루는 사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후면의 개방된 단면이 이루는 사각의 크기를 소켓 커넥터(120)의 커넥터 하우징(122) 후단 외측면이 이루는 사각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하고, 다수의 걸림 유지편(116)이 이루는 사각의 크기를 소켓 커넥터(120)의 후단 외측이 이루는 사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구조는 소켓 커넥터(120)를 걸림 유지편(116)을 통해 걸림 유지시킨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120)가 상하좌우로 일정범위 유동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걸림 유지편(116)은 소켓 커넥터(120)의 유동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또한, 소켓 커넥터(120)와 플러그 커넥터(140)를 체결할 때 두 커넥터(120, 140)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은 상태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되는 힘에 의해 소켓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와 일치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되는 힘 즉, 소켓 커넥터(120)를 유동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소켓 커넥터(120)는 걸림 유지편(116)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된다.
소켓 커넥터(120)는 도 1 및 도 2 에서와 같이 자동차 도어용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소켓 커넥터(120) 역시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져 외형을 이루는 커넥터 하우징(122), 커넥터 홀더(110)의 걸림 유지편(116)에 걸림되는 걸림턱(124),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후방 내측면에 걸림되는 걸림편(126) 및 횡방향 중심의 체결홈(122a)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형성되어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가 체결 고정되는 단자 접속구(128)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소켓 커넥터(120)는 그 후단이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전면을 통해 삽입되어 커넥터 하우징(112)의 걸림편(126)이 홀더 하우징(112)의 후방 내측면에 걸림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122)의 걸림턱(124)이 홀더 하우징(112) 후단의 걸림 유지편(116)에 의해 걸림 유지된다. 즉, 소켓 커넥터(120)는 걸림편(126)과 걸림턱(124) 사이에 위치되는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후면과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걸림 유지편(116)에 의해 커넥터 홀더(110) 내측에 걸림 유지된다.
소켓 커넥터(120)의 구성에서 커넥터 하우징(122)은 소켓 커넥터(12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이 커넥터 하우징(122)의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0 후면에 형성된 개방단면이 이루는 사각의 크기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걸림 유지편(116) 끝단이 이루는 사각의 크기보다는 더 크게 형성된다.
걸림턱(124)은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후단에 다수 형성된 걸림 유지편(116)에 걸리는 부분으로, 이 걸림턱(124)은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후단에 다수 형성된 걸림 유지편(116)에 관계하여 커넥터 하우징(122)의 후단 상하좌우 각각에 다수 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소켓 커넥터(120)에서 걸림턱(124)은 커넥터 홀더(110)의 걸림 유지편(116)에 관계하여 커넥터 하우징(122)의 후단 상하에 각각 두 개씩이 형성되고, 좌우 각각에 하나씩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22)의 후단 상하좌우 각각에 다수 개 돌출 형성된 걸림턱(124)은 커넥터 홀더(110)에 소켓 커넥터(120)의 체결시 커넥터 홀더(110)의 걸림 유지편(116) 끝단의 후단에 위치되어 걸림 유지된다.
걸림편(126)은 소켓 커넥터(120)를 커넥터 홀더(110)에 체결시 그 걸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걸림편(126)은 커넥터 하우징(122)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124)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122)의 외측면 둘레에 돌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걸림편(126)은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후방의 내측면과 걸림 유지편(116) 끝단 사이의 거리에 관계하는 거리만큼 커넥터 하우징(122)의 걸림턱(124)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전술한 걸림편(126)이 형성되는 위치는 소켓 커넥터(120)의 커넥터 하우징(122)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124)과 걸림편(126) 사이에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후방 내측면과 걸림 유지편(116) 끝단이 위치되도록 하는 커넥터 하우징(122)의 외측면 적소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22)의 외측면 적소에 형성된 걸림편(126)은 소켓 커넥터(120)의 후단을 커넥터 홀더(110)에 삽입 체결하게 되면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후방 내측면에 면접촉되어 더이상 커넥터 홀더(112)의 후방으로 소켓 커넥터(120)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며, 소켓 커넥터(120)의 커넥터하우징(122)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124)이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후단에 형성된 걸림 유지편(116)에 걸림되면 커넥터 홀더(110)의 홀더 하우징(112) 후방 내측면과 걸림 유지편(116)에 의해 커넥터 홀더(110) 내측 공간부(112a)에 소켓 커넥터(120)가 걸림 유지되도록 한다.
단자 접속구(128)는 자동차 도어측의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를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단자 접속구(128)는 커넥터 하우징(122)의 전면에서 볼 때 커넥터 하우징(122)의 전면 횡방향 중심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체결홈(122a)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다수 개씩 횡방향으로 대향 배열된다. 이때, 각각의 단자 접속구(128) 내측면에는 삽입된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를 단자 접속구(128)에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편(도시하지 않음)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상하의 단자 접속구(128) 내측면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단자 접속구(128)로 삽입 고정되는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탄성변형 가능한 접속단(132)은 도 6 및 도 7 에서와 같이 단자 접속구(128) 개방된 내측면을 향해 위치된다. 이때, 단자 접속구(128)로 삽입 고정되는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은 단자 접속구(128)의 개방된 내측면을 통해 체결홈(122a) 내측면상으로 일부 돌출된다. 따라서, 상하의 단자 접속구(128)에 삽입 고정된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은 상호 대향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체결홈(122a)은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구(144)가 삽입 체결되는 부분으로, 이 체결홈(122a)은 그 전면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의 단자접속구(128) 사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홈(122a)은 플러그 커넥터(140)를 설명할 때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는 도 6 및 도 7 에서와 같이 자동차 도어측 전장품인 파워 윈도우, 도어 록, 전동 사이드 미러, 파워시트, 램프 및 스피커 등과 연결된 케이블(도시하지 않음) 각각의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 접속구(128)의 개방된 내측면을 통해 체결홈(122a) 내측면상으로 일부 돌출된다. 따라서, 상하 단자 접속구(128)에 삽입 고정된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은 상호 대향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40)는 도 1, 2, 3, 4,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삽입 고정시켜 소켓 커넥터(120)와의 체결을 통해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것으로, 이 플러그 커넥터(140)는 소켓 커넥터(120)와 대향되는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체결 공간부(142a)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142), 소켓 커넥터(120)의 체결홈(122a)에 관계하여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 공간부(142a) 횡방향의 중심에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구(144), 체결구(144)를 사이에 두고 커넥터 하우징(142)의 후면 상하에 전후로 관통 형성된 케이블 삽입홈(142b), 체결구(144)의 횡방향 중심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케이블 고정홈(144a) 및 커넥터 하우징(142) 후단의 양측면에 측방향으로 톨출 형성되어 도어의 도어트림(20) 적소에나사부재(30)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편(146)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140)는 커넥터 하우징(142)의 후방으로부터 케이블 삽입홈(142b)을 통해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이 삽입되어 케이블 고정홈(144a) 상에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이 케이블 홀더(15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소켓 커넥터(120)와 체결된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구(144)는 소켓 커넥터(120)의 체결홈(122a) 상에 삽입 체결되며,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 외부단은 소켓 커넥터(120)의 커넥터 하우징(122) 외측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소켓 커넥터(120)의 상하 각각의 단자 접속구(128)는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구(144)와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 외부단 사이의 체결 공간부(142a)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40)를 소켓 커넥터(120)에 체결하게 되면 체결구(144)의 외측면인 상하면에 위치하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의 접속단(162)과 소켓 커넥터(120)의 단자 접속구(128)에 삽입 고정된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은 플러그 커넥터(14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이 커넥터 하우징(142)의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소켓 커넥터(120)와 대향되는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소켓 커넥터(120)의 선단이 체결되는 체결 공간부(142a)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의 외부단이 이루는 크기는 소켓 커넥터(120)의 커넥터 하우징(122) 선단이 이루는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체결 공간부(142a)는 소켓 커넥터(120)의 커넥터 하우징(122) 선단이 삽입 체결되는 부분으로, 이 체결 공간부(142a)는 소켓 커넥터(120)의 커넥터 하우징(122) 선단이 이루은 크기보다는 더 크게 형성된다.
케이블 삽입홈(142b)은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이 케이블 삽입홈(142b)은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 후면 상하의 적소에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의 좌우 폭에 관계하여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구(144) 후단 상하부인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 후면 상하에 형성된다. 즉,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구(144) 외측면인 상하부면을 따라 이르게 되는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 후면 상하에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케이블 삽입홈(142b)으로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이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의 후면을 통해 상하 각각의 케이블 삽입홈(142b)으로 삽입되어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구(144) 외측면인 상하부면을 따라 삽입된다. 이때,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의 접속단(162)은 소켓 커넥터(120)의 단자 삽입구(128)에 고정된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에 대향되도록 상하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삽입 고정된다.
체결구(144)는 케이블 고정홈(144a)에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삽입 고정시킨 상태로 소켓 커넥터(120)의 체결홈(122a)에 체결되어 소켓 커넥터(120)측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과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의 접속단(16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체결구(144)는 소켓 커넥터(120)의 체결홈(122a)에 관계하여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 공간부(142a) 횡방향 중심에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 공간부(142a) 횡방향 중심에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체결구(144)의 외측면이 이루는 크기는 소켓 커넥터(120)의 체결홈(122a)이 이루는 크기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홈(144a)에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삽입 고정시킨 상태로 소켓 커넥터(120)의 체결홈(122a)에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구(144)를 삽입 체결하게 되면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120)의 체결홈(122a) 내측으로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이 탄성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고,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의 접속단(162)이 대향되는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을 향하도록 체결되어 면접촉되기 때문에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고정홈(144a)은 케이블 삽입홈(142b)을 통해 삽입된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 선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케이블 고정홈(144a)은 체결구(144)의 횡방향 중심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이때, 케이블 고정홈(144a)의 상하 폭은 두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과 케이블 홀더(150)를 합친 두께에 관계하여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케이블 고정홈(144a)에는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의 후면을 통해 상하 각각의 케이블 삽입홈(142b)으로 삽입되어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구(144) 외측면인 상하부면을 따라 삽입된 가요성 플랫케이블(160)의 선단이 체결구(144)의 선단면을 타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케이블 고정홈(144a) 상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 홀더(150)가 케이블 고정홈(144a) 상에 삽입된 두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 선단 사이를 통해 케이블 고정홈(144a)에 삽입됨으로써 두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케이블 고정홈(144a) 내측면으로 가압하여 고정되게 한다.
플러그 커넥터(140)의 고정편(146)은 플러그 커넥터(140)를 소켓 커넥터(120)의 대향되는 도어트림(20)의 일측 적소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플러그 커넥터(140)의 고정편(146)은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 후단 양측면 각각에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140)의 고정편(146) 각각에는 나사부재(30)가 체결되는 고정홈(146a)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140)에는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걸림 유지시키거나 걸림 해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케이블 고정홈(144a) 내부의 양측 적소에 후술하는 걸림돌기(154a)가 걸림 유지되는 걸림홈(144b)가 형성된다.
케이블 홀더(150)는 도 1, 2, 3, 4,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의 후면을 통해 상하 각각의 케이블 삽입홈(142b)으로 삽입되어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구(144) 외측면인 상하부면을 따라 체결구(144)의 선단면을 타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케이블 고정홈(144a) 상에 삽입된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의 선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케이블홀더(150)는 케이블 고정홈(144a)의 크기에 관계하여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홀더(150)는 플러그 커넥터(140)의 커넥터 하우징(142)의 후면을 통해 상하 각각의 케이블 삽입홈(142b)으로 삽입되어 플러그 커넥터(140)의 체결구(144) 외측면인 상하부면을 따라 삽입된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의 선단이 체결구(144)의 선단면을 타고 내측으로 절곡되어 케이블 고정홈(144a) 상에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 고정홈(144a) 상에 삽입된 두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 선단 사이를 통해 케이블 고정홈(144a)에 삽입됨으로써 두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케이블 고정홈(144a) 내측면으로 가압하여 고정되게 한다.
한편, 전술한 케이블 홀더(150)에는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걸림 유지시키거나 걸림 해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케이블 홀더(150)의 양측에 형성되어 인위적인 힘에 의해 내외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레버(154)와 탄성레버(154) 각각의 외측면 적소에 걸림홈(144b)에 관계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삽입 체결시 걸림홈(144b)에 걸림되어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돌기(154a)가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걸림 유지시키거나 걸림 해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의 걸림홈(144b), 탄성레버(154) 및 걸림돌기(154a)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은 그 선단이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고정홈(144a)에 삽입 고정되는 경우 대향되는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을 향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140)를 소켓 커넥터(120)에 체결시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조립체(100)는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가 단자 접속구(128) 각각에 체결 고정된 상태의 소켓 커넥터(120)를 도어패널(10)의 내측면 적소에 나사부재(30)에 의해 설치 고정된 커넥터 홀더(110) 내측에 체결하여 걸림 유지시키고,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을 삽입 고정시킨 플러그 커넥터(140)를 소켓 커넥터(120)와 대향되는 도어트림(20)의 내측면 적소에 설치 고정한 상태에서 도어트림(20)을 도어패널(10)의 내측면에 결합하게 되면 소켓 커넥터(120)와 플러그 커넥터(140)가 체결된 상태로 입·출력 케이블 단자(130)의 접속단(132)과 가요성 플랫 케이블(160)의 접속단(162)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이 갖는 특징을 살펴보면 케이블 홀더(150)를 플러그 커넥터(140)의 케이블 고정홈(144a)에 삽입 체결시 케이블 고정홈(144a) 내부 양측의 걸림홈(144b)에 탄성레버(154)의 걸림돌기(154a)가 걸림으로써 커넥터 홀더(150)가 케이블 고정홈(144a) 상에 걸림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손톱이나 작업공구를 통해 걸림해제 손잡이(156)의 걸림홈(156a)에 걸은 상태에서 걸림해제 손잡이(156)를 내측으로 힘으로 가하여 탄성레버(154)를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케이블 고정홈(144a)의 걸림홈(144b)으로부터 탄성레버(154)의 걸림돌기(154a)가 걸림 해제되어 케이블 홀더(150)를 케이블 고정홈(144a)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케이블 홀더의 착탈이 용이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가요성 플랫 케이블의 교체를 요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에 삽입 체결되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홀더의 양측면에 탄성레버 구조를 구성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플러그 커넥터에 삽입 체결되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홀더의 양측면에 탄성레버 구조를 구성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 상에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가요성 플랫 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각각 도어패널의 내측면과 도어트림의 내측면에 설치 고정하는 구조로 함은 물론,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도어패널에 도어트림을 장착하는 것을 통해 커넥터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각각 도어패널의 내측면과 도어트림의 내측면에 설치 고정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커넥터와 단자의 교체작업이 도어패널의 외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은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은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각각 도어패널의 내측면과 도어트림의 내측면에 설치 고정하는 구조로 함은 물론,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도어패널에 도어트림을 장착하는 것을 통해 커넥터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 등에 의해 두 커넥터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용 입·출력 케이블 단자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체결홈 상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작동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요성 플랫 케이블의 선단이 삽입 체결되는 케이블 고정홈이 형성된 체결구가 내측면에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도어트림의 적소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도어패널의 내측면에 설치된 소켓 커넥터와의 체결시 입·출력 케이블 단자와 상기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체결구의 케이블 고정홈 양측의 내측면 선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홀더의 양측에 형성되어 인위적인 힘에 의해 내외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레버; 및
    상기 탄성레버 각각의 외측면 적소에 상기 걸림홈에 관계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홀더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에 삽입 체결시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어 상기 케이블 홀더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에 걸림 유지시키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레버 각각의 끝단에는 상기 케이블 홀더를 상기플러그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홈으로부터 걸림 해제시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탄성레버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해제 손잡이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
KR2020010040703U 2001-12-28 2001-12-28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 KR200271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703U KR200271229Y1 (ko) 2001-12-28 2001-12-28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703U KR200271229Y1 (ko) 2001-12-28 2001-12-28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229Y1 true KR200271229Y1 (ko) 2002-04-09

Family

ID=7308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703U KR200271229Y1 (ko) 2001-12-28 2001-12-28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2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71B1 (ko) 2010-09-16 2012-01-1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트림의 커넥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71B1 (ko) 2010-09-16 2012-01-1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트림의 커넥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30822A (ja) ガイド部材および取外しリセスを有する噛み合い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6361362B1 (en) Arrangement with two half-plugs for securing in a wall
KR200271229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착탈구조
KR200271228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이탈 방지구조
KR100408601B1 (ko) 자동차 도어용 3중 보호구조의 커넥터 조립체
US6095831A (en) Electrical connector mating structure
KR100408602B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KR200271227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홀더 유동 방지구조
JPH1154210A (ja) コネクタ接続構造
JP3687537B2 (ja) 分割コネクタ
KR200271225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
KR200271226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안착구조
JP2002203616A (ja) 端子台コネクタ、電子機器、および端子台コネクタと電子機器の取付構造
JP2001257040A (ja) 自動車用電装部品及び自動車用内装ユニット
JPH09293553A (ja) コネクタ
JP2000208176A (ja) 盤用コンセント
KR200271224Y1 (ko) 자동차 도어용 플러그 커넥터 구조
KR200271223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단자 접속구조
KR200268974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홀더의 씰 구조
ITMI952106A1 (it) Connettore elettrico
JP2001102021A (ja) 電気接続箱のバッテリーへの組付け構造
JPH07162167A (ja) 電装体
JP2006180598A (ja) 電気回路ユニットと電気接続箱との着脱方法および着脱構造
TWI236866B (en) Wiring tools
JP4182701B2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