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192Y1 - 커넥터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192Y1
KR200271192Y1 KR2020010037839U KR20010037839U KR200271192Y1 KR 200271192 Y1 KR200271192 Y1 KR 200271192Y1 KR 2020010037839 U KR2020010037839 U KR 2020010037839U KR 20010037839 U KR20010037839 U KR 20010037839U KR 200271192 Y1 KR200271192 Y1 KR 200271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knob
fastening device
present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로텍
Priority to KR2020010037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192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외부기기와 컴퓨터 본체 등을 연결하는 커넥터 체결장치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케이블 커넥터를 본체에 결합시킴에 있어 고정 나사 또는 고정 클립 등 별도의 고정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 제품 크기의 축소화를 이룰 수 있고, 연결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커넥터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고안의 해결방법 요지
본 고안은, 내부에 다른 기기의 커넥터부로 접속되는 연결구를 구비한 커넥터 몸체; 및 상기 커넥터 몸체 내부 양측에 중앙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다른 기기의 커넥터부로 연결되기 위한 일단부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외부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탄성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커넥터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기기간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체결장치로 이용됨.

Description

커넥터 체결장치{An enagaging apparatus for a connector}
본 고안은 컴퓨터 등의 기기들간의 신호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 커넥터를 본체의 커넥터부에 연결시킴에 있어 고정나사 또는 고정클립 등 별도의 고정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 제품 크기의 축소화를 이룰 수 있고, 연결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커넥터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선, 케이블, 회로기판 및 전기전지기기 등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페널 또는 다른 적절한 지지 구조물에 장착되기도 한다.
그 일예로, 컴퓨터와 그 주변기기간의 신호접속을 위한 커넥터는 전송시간의 단축을 위해 병렬 전송방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신호의 병렬전송을 채택하고 있는 기기들간의 접속을 위해서 신호선이 여러가닥으로 이루어진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케이블 커넥터의 종류에는 25핀용 케이블 커넥터, 9핀용 케이블 커넥터 및 원형 케이블 커넥터등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체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체결장치는 케이블 커넥터(1)의 몸체(2) 양측에 그 몸체(2)를 관통하여 고정 볼트(3)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고정 볼트(3)는 본체 패널(4) 접속부(5) 양측에 형성된 체결홀(6)에 볼트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커넥터(1)가 접속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넥터는 케이블 커넥터(1) 양측에 결합 볼트(3)를 설치하기 때문에 본체로의 조립시, 케이블 커넥터를 끼운 다음 다시 볼트를 조임으로써 연결 작업의 번거로움을 발생시키며, 결합 볼트(3)가 분실될 경우,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체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커넥터 체결장치는 케이블 커넥터(1')의 몸체(2') 양측에 각각 소정간격으로 대향하는 개방부를 갖는 한 쌍의 체결편(3')이 형성되고, 본체 패널(4')의 접속부(5') 양측에는 고정클립(6')이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커넥터(1')를 연결시키고 고정 클립(6')을 체결편(3')사이로 끼워 체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넥터 또한 케이블 커넥터를 본체로의 조립시, 케이블 커넥터를 끼운 다음 고정클립으로 체결시키기 때문에 연결작업을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 나사 또는 고정 클립 등 별도의 고정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탄성걸림수단을 이용하여 커넥터와 본체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넥터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체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체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체결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탄성 걸림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 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체결장치의 결합 동작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체결장치의 분리 동작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넥터 11: 몸체
20: 본체 21: 커넥터부
22: 걸림턱 30: 탄성 걸림수단
31: 후크부 32: 탄성부
34: 노브 삽입공 35: 판 스프링
40: 노브 41: 삽입돌기
42: 홈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다른 기기의 커넥터부로 접속되는 연결구를 구비한 커넥터 몸체; 및 상기 커넥터 몸체 내부 양측에 중앙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다른 기기의 커넥터부로 연결되기 위한 일단부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외부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탄성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커넥터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 걸림수단은 일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 연장되는 후크부; 타단으로부터 아치형상으로 연장 절곡되어 일측이 연결구측면으로 접촉되는 탄성부; 타단부에 형성되는 노브 삽입공; 및 일측에 상기 노브 삽입공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양측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의 삽입 돌기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그 주위에 홈을 형성시켜 상기 노브 삽입공으로 삽입될 때, 소정 각도 회전시켜 고정된다.
상기 노브의 삽입공은 단변의 소정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10) 체결장치는, 내부에 연결구(11a)를 구비한 커넥터 몸체(11)와; 상기 커넥터 몸체(11) 내부 양측에 소정 부위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몸체(11)의 연결부측으로 연장되어 본체(20) 커넥터부(21)의 걸림턱(22)에 걸리도록 후크부(31)가 형성되고, 타단부 일측은 탄성부(32)를, 타측은 상기 본체(20) 양측 외부로 노출된 노브(40)를 구비한 판 스프링 형태의 탄성 걸림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걸림수단(30)을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체결장치의 탄성 걸림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걸림 수단(30)은,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단은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본체(20)의 걸림턱(22)에 걸리도록 형성된 후크부(31)가 형성되고, 타단은 아치형상으로 연장 절곡되어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32)가 형성되며, 중앙부는 본체(11)의 회전축에 삽입되는 회전축 끼움공(33)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후술하는 노브(40)가 삽입 고정되는 노브삽입공(34)이 형성되는 판 스프링(35)과, 일면에 상기 노브 삽입공(34)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41)를 구비한 노브(40)를 포함한다.
이 때, 노브(40)의 삽입돌기(41)는 노브 삽입공(34)으로 삽입된 후, 90°회전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돌기(41) 주위에 홈(42)이 형성된다.
그 일예로,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스프링(35)의 노브 삽입공(34)은 양측 단변의 중앙이 내측으로 돌출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노브(40)의 삽입 돌기(41)도 노브 삽입공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후, 상기 노브(40)의 삽입돌기(41)를 노브 삽입공(34)으로 삽입 시키고, 90°회전시키면, 삽입돌기(41)의 장변측은 노브 삽입공(34)의 단변측과 접촉되어 삽입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이 때, 상기 삽입 돌기(41)의 홈(42)은 판 스프링(35)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시켜 90°회전시 서로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커넥터 체결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 6a, 도 6b 및 도 7a, 도7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 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커넥터 체결장치의 결합 동작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 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커넥터 체결장치의 분리 동작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케이블 커넥터 체결장치의 결합 동작은 도 6a 및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1)를 파지한 상태에서 본체(20)의 커넥터부(21)로 끼우면, 판 스프링(35)의 후크부(31)는 그 라운드면이 커넥터부(21)의 걸림턱(22) 측면에 접촉되면서 진행되고, 이 때, 상기 탄성부(32)는 탄성 수축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 본체(11)의 진행이 완료되면, 상기 판 스프링의 후크부(31)는 탄성부(32)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축을 축으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본체 커넥터부(21)의 걸림턱(22)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블 커넥터(3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도 7a 및 도 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몸체(11) 양측으로 노출된 노브(40)를 누르면, 이에 따라 후크부(31)는 회동축을 축으로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상기 본체 커넥터부(21)의 걸림턱(33)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1)를 후방으로 빼면, 케이블 커넥터(30)는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블 커넥터 본체 양측에 탄성적으로 동작하는 탄성 걸림 수단을 구비하여 본체의 커넥터부로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는 커넥터를 본체에 결합시킴에 있어 고정 나사 또는 고정 클립 등 별도의 고정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 제품 크기의 축소화를 이룰 수 있고, 연결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다른 기기의 커넥터부로 접속되는 연결구를 구비한 커넥터 몸체; 및
    상기 커넥터 몸체 내부 양측에 중앙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다른 기기의 커넥터부로 연결되기 위한 일단부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외부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탄성 걸림수단
    을 포함하는 커넥터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걸림수단은
    일단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 연장되는 후크부;
    타단으로부터 아치형상으로 연장 절곡되어 일측이 연결구측면으로 접촉되는 탄성부;
    타단부에 형성되는 노브 삽입공; 및
    일측에 상기 노브 삽입공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양측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
    를 포함하는 커넥터 체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삽입 돌기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그 주위에 홈을 형성시켜 상기 노브 삽입공으로 삽입될 때, 소정 각도 회전시켜 고정되도록 한 커넥터 체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삽입공은
    단변의 소정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커넥터 체결장치.
KR2020010037839U 2001-12-07 2001-12-07 커넥터 체결장치 KR200271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839U KR200271192Y1 (ko) 2001-12-07 2001-12-07 커넥터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839U KR200271192Y1 (ko) 2001-12-07 2001-12-07 커넥터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192Y1 true KR200271192Y1 (ko) 2002-04-09

Family

ID=7311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839U KR200271192Y1 (ko) 2001-12-07 2001-12-07 커넥터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1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9624B2 (ja) ストレインリリーフ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アダプタ
TWI743581B (zh) 訊號通訊插座
JPH10284174A (ja) ラッチ付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ラッチ
KR100490250B1 (ko) 플렉시블 평면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EP0646993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am lever lock mechanism
WO2001003246A1 (fr) Connecteur pour cartes avec contact a la masse
JPH06310225A (ja) コネクタ
US7134899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40019244A (ko) 박형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용 래칭 장치
KR200271192Y1 (ko) 커넥터 체결장치
KR100393463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JPH07153526A (ja) インレットコネクタ
JPH1186998A (ja) 導通コネクタ
JP3039950U (ja) テレビ用壁面端子ユニット
US6273743B1 (en) Latch apparatus for electrical connection
JP4270418B2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KR101702430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CN217114877U (zh) 一种端子、连接器及电子设备
CN217740898U (zh) 一种连接器及电子设备
JP2595056Y2 (ja) コネクタプラグ
CN215645334U (zh) 一种便于快速插拔的电连接器
JPH0770343B2 (ja) コネクタ
JP3450118B2 (ja) 回路基板装置
KR200379414Y1 (ko) 조절식 체결 장치
KR200379415Y1 (ko) 커넥터 체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