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127Y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127Y1
KR200271127Y1 KR2020020001368U KR20020001368U KR200271127Y1 KR 200271127 Y1 KR200271127 Y1 KR 200271127Y1 KR 2020020001368 U KR2020020001368 U KR 2020020001368U KR 20020001368 U KR20020001368 U KR 20020001368U KR 200271127 Y1 KR200271127 Y1 KR 200271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r
food waste
fermentation chamber
fermentation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일
이영도
고준빈
Original Assignee
한상일
이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일, 이영도 filed Critical 한상일
Priority to KR2020020001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1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127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를 선별기(1)와,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되어 이송된 분쇄기(2)와,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시키는 탈수기(3)와, 상기 탈수기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4)과, 일측이 상기 이송라인(4)과 연결된 3조의 발효기(5)와,
상기 발효기(5)의 외부에 가열하기 위하여 소각로(10,11)에서 발생한 스팀을 저장하는 스팀저장기(9)와, 상기 발효기(5)의 내부를 형성하는 발효실(23)과, 상기 발효기(5)의 상부일측에 형성된 가스배출구(64)와, 상기 가스배출구(64)와 소각로 (10,11)와 연결되는 배기가스라인(13)과, 상기 발효실(53)에 잔류된 찌꺼기를 배출하는 두 개의 교반기(57)사이에 설치된 스크류콘베아(63)와, 상기 스크류콘베아 (63)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발효기 일측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4)로 구성된 구조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The apparatus for food garbage}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가정이나, 식품가공공장에서 부산물로 처리 곤란한 음식쓰레기를 미생물의 유기물질 분해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의 생활쓰레기는 해를 거듭할수록 점차 줄고 있는 추세이며, 음식물쓰레기는 매년 늘고 있어 이에 대한 처리방안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음식물쓰레기의 증가는 매년 8조원에 달하는 경제적인 손실과 환경오염이라는 큰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할 범국민적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근원적으로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나 우리의 식생활 문화의 오래된 관습을 하루아침에 바꾸는 방법도 현실적인 어려움의 하나이다.
첫째, 종전의 매립은 법으로 금지하고 있어 더 이상 재론할 여지가 없으며 사료화 방법도 최근에 활발하게 추진되어 왔으나, 광우병, 구제역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으로 간주되어 모든 농가에서 기피하는 실정이다.
둘째, 퇴비화 방법은 수분과 염분의 함유량이 많아 음식물쓰레기 자체로 퇴비가 어려우며, 톱밥, 축분, 슬러지등을 첨가하면 퇴비 생산량도 증가되어 소비처 확보가 어렵다.
또한 이를 숙성시키는 시설과 운영비도 간과해서는 안될 과제중의 하나다.
셋째, 소각하는 방법은 시설 설치비 관리비가 가장 많이 들며 수분함량이 많아 연소시 불안전 연소로 대기오염과 다이옥신 발생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들이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으며, 음식폐기물을 분쇄하여 발효시키거나, 건조시켜서 비료 또는 퇴비로 만드는 방법 등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음식쓰레기를 원료로 하여 이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살균처리 및 건조,냉각 분쇄하여 제조된 미립자 상태의 부재료를 일반 양계용 사료에 첨가하는 방법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7-5083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회전시켜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분리수단,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여 사상으로 압출 시키는 압출수단, 상기 사상으로 압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수단, 건조된 사상의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는 절단수단, 상기 절단된 사료를 포장하는 음식물 쓰레기처리용 사료제조장치가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6-28937호에 공개되어 있고, 음식물을 미분쇄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유전가열장치가 설비된 처리실에 투입하여 전자파를 이용하여 가열 건조시키고 살균처리 함으로서 가축사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국내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6-7871호 기술되어 있으며, 음식물찌꺼기를 교반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교반기 외각에 가열공기를 불어넣어 폐음식물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장치가 국내특허공보 공고번호 제 96-14859호에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37319호에는 음식물쓰레기에 플라이애쉬, 목분, 왕겨를 혼합한 수분 조절제를 첨가하여 나선형 스크류2단교반기, 교반식발효기 또는 통풍식 발효기에 투입하여 호기성 고온발효후 건조 안정화하여 제조된 복합토양개량제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기술들은 막대한 설비가 필요하고 부대장치가 많이 소요되는 반면에 완전 살균처리가 되지 않아 처리물이 쉽게 부패하는 이유 등으로 활용가치가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의 고안은 가정음식물 쓰레기를 선별한 후에 분쇄기로 분쇄시킨 다음, 탈수기에서 탈수시킨 후에 미생물을 투입시켜 발효기에서 발효시킨 후에 다시 선별한 다음, 포장하여 간편하게 처리하여 퇴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이익과 환경을 보존 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발효기 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발효기 평면상세도
<도면의 부호 설명>
선별기(1), 분쇄기(2), 탈수기(3), 이송라인(4), 발효기(5), 콘베아(6), 칩투입장치(7), 배출기(8), 스팀저장기(9), 소각로(10,11), 스팀라인(12), 배기가스라인(13), 발효기 덮개(51), 발효기 벽체(52), 발효실(53), 발효기하부(54), 온도조절기 및 열교환기(55), 교반모터(56), 교반날개(57), 노즐(58), 감속기(59), 카플링(60), 베어링(61), 발효실하부(62), 스크류콘베아(63), 배출구(64), 펌프(65), 가스배출구(66), 전기히터(67), 송풍기(68)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를 콘베아에 의해 수동 및 자동으로 선별하는 선별기(1)와,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되어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통상의 해머밀(Hammermill)식 분쇄기(2)와,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내장된 스크류콘베어에 의해 이송되면서 탈수시키는 탈수기(3)와, 상기 탈수기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4)과, 일측이 상기 이송라인(4)과 연결되어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며 동시에 또 다른 상부일측에 칩투입장치(7)와 연결되어 미생물 처리된 칩이 투입되는 3조의 발효기(5)와,
상기 발효기(5)의 외부에 가열하기 위하여 소각로(10,11)에서 발생한 스팀을 저장하는 스팀저장기(9)와, 상기 스팀저장기(9)와 상기 발효기(5)에 연결된 스팀라인(12)과, 상기 발효기(5)의 내부를 형성하는 발효실(23)과, 상기 발효기(5)의 상부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생성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64)와, 상기 가스배출구(64)와 연결되어 가스를 원할히 배출시키는 배출기(8)와, 상기 배출기(8)와 소각로(10,11)와 연결되는 배기가스라인(13)과, 상기 발효실(53)에 잔류된 찌꺼기를 배출하며 상기 발효실(53)내에 형성된 두 개의 교반기(57)사이에 설치된 스크류콘베아(63)와, 상기 스크류콘베아(63)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발효기 일측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4)로 구성된 구조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15톤/일)를 선별 후 탈수하여 부자재인 칩과 발효균을 투입 후 통상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시키는 발효균의 유기적인 활동으로 발효시키며, 잔존물은 유용한 미생물로 축분처리 미생물, 토양균등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시설로서 매립에 의존해 처리하여 각종 침출수 생성과 토양오염, 대기오염을 유발시켜 환경오염원으로 대두되던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하여 미생물 배양으로 재생산시킴은 물론 매립장의 매립효율 향상과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인 것이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발효균은 통상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발효균을 사용하며, 조건 또한 통상적인 방법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소각로를 연계하여 고열(폐열)을 이용하여 악취방지장치을 설치하고, 또한 가동중에 발생되는 가연성 쓰레기와 악취의 완벽한 제거는 물론 소각시 발생되는 폐열을 발효장치에 에너지원으로 활용, 운영비용을 절약토록 하였으며 톱밥(칩)등 미생물 배양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자재의 수급문제 해결과 부자재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켰다.
본 고안의 발효기는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 과정에 맞추어 유용미생물을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반응조와 반응된 유기물을 호기성조건에서 저분자 유기물과 유용효소로 분해시키는 발효기와, 그리고 유용효소를 저분자 유기물에 응착시켜 유용효소로 환원시키는 후숙조를 한공정으로 일체화하여 발효기 조건(50℃, 2~6회/분당)을 강제적으로 충족시켜 발효 효율을 증가시켜 발효기간 단축을 향상시켰다,
이하 본 고안의 처리 공정도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은음식물
전용수거용기 전용수거차량
계 량
선 별
파 쇄
탈 수
전기분해탈취기 발 효 기 부자재+미생물
원통선별기 선별칩 재투입
포장, 저장
본 고안은 최대한 완전(Compact)하게 구성하여 투자소요 금액 및 유지비용을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발효화 시설과 퇴비화 시설을 복합적으로 설치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물질성상에 따라 발효화와 퇴비화를 설정하여 생산, 재활용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켰으며 아울러 악취를 발생부위에서부터 밀폐 이송시켜 처리함으로써 악취로 인한 지역주민의 민원을 최대한 억제토록 하였으며, 3개의 라인으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성분에 따라(각 발효기내의 교반기 회전수와 발효기의 온도 및 발효미생물의 양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처리라인의 고장시에도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강제적으로 미생물 활동을 극대화시키는 환경을 조성하여 소멸시간을 단축시키고 각종 센서(senser)를 통하여 자동으로 운전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칩은 통상의 나무를 분쇄한 톱밥을 펠렛트 성형한 다음, 상기 펠렛트화한 칩을 발효균이 내장된 용기에 함침한 후,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다.
발효시 반응조에서 우수한 발효균을 접종시켜 각 구성 유기물질의 분해와 발효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발효 효율 향상으로 인하여 발효설비의 규모와 처리면적을 최소화 시켰다.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는 배기통로(DUCT)를 거쳐 탈취장치인 전기분해 방식에 의해 제거시켜 작업장의 혐오감 제거와 작업환경을 향상시켰으며, 처리시 발생되는 가연성 쓰레기는 소각로를 통하여 소각시키며 소각시 발생하는 폐열을 에너지화 시켜 발효기에 열원으로 공급토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운용은 통상 사용되는 중앙 제어반에 의해 자동 운영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투입라-인과 포장라인에는 작업자의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작박스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음식물쓰레기는 통상 사용되는 수거차량에 의해 반입될 수 있으며, 계량기에 의해 중량을 측정하고, 수거차량에서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는 이송콘베어에 투입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를 수동 및 자동선별(1)한 후, 통상의 분쇄기(해머밀(Hammermill))(2)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잘게 파쇄한 후,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통상의 탈수기(3)를 이용하여 함수율 70%내외로 탈수 한 후에, 이송라인(4)을 이용하여 발효기(5)로 이송한 다음,
상기 발효기(5)에는 또다른 부자재 투입콘베어에서 발효균에 함침된 칩을 투입시키는 칩투입장치(7)를 통해 음식물쓰레기 부피대비 5:5의 비율로 투입한 후에,
상기 발효기(5)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소각로(10,11)에서 발생한 스팀을 저장하는 스팀저장기(9)에 연결된 스팀라인(12)이 발효기(5)외측에 형성된 온도조절기 및 열교환기(55)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온도조절기 및 열교환기(55)의 상부는 스팀이 내장되며, 하부는 발효기벽체(52)에 내장되는 자켓과 연결된 열매체유가 내장되어 열교환을 시키며, 상기 열은 발효실(53)의 하부에 형성된 발효실하부(62)에 전달되어 발효실하부(62)에 안치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며, 발효실(53)의 상부 양측형성되어 전기히터(67) 및 송풍기(68)에서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발효실 (53)내부를 미생물에 의한 발효에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여 발효시킨 다음, 발효된 가스는 상기 발효기(5)의 상부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생성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64)를 통해 소각로(10,11)로 이송시켜 완전 연소시키며,
찌꺼기는 상기 발효실(53)내에 형성된 두 개의 교반기(57)사이에 설치된 스크류콘베아(63)을 통해 상기 발효기 일측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4)로 찌꺼기를 배출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였다.
상기 발효기(5)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실(23)과, 상기 발효기(5)의 외부측면에 형성되어 스팀과 열매체유가 접촉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 및 열교환기(55)와, 상기 발효기(5)의 외부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효실(23)의 교반날개(57)를 회전시키는 두 개의 교반모터(56)와, 상기 발효실(23)에 열공기를 주입시키는 전기히터(67) 및 송풍기(6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45℃∼55℃에서 발효기(5)내에 설치된 다수의 교반날개(57)를 2~5회/분으로 회전시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유기산 및 젖산발효 과정으로 유기물중 전분, 지방,탄수화물등 고분자 유기화합물을 저분자유기물인 지방산,포도당,아미노산 등으로 분해시킨 다음, 상기 발효기(5)하부에 형성된 콘베아(6)를 통해 배출함과 동시에 칩과 숙성된 퇴비를 적정입자(15mm)로 선별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였다.
이때, 선별된 칩은 발효균을 함침한 후 건조시켜 발효기에 제투입하고 선별된 불순물중 고형화 물질은 매립장으로 이송하여 매립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발효기 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발효기 평면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선별기(1), 분쇄기(2), 탈수기(3), 이송라인 (4), 발효기(5), 콘베아(6), 칩투입장치(7), 배출기(8), 스팀저장기(9), 소각로 (10,11), 스팀라인(12), 배기가스라인(13), 발효기 덮개(51), 발효기 벽체(52), 발효실(53), 발효기하부(54), 온도조절기 및 열교환기(55), 교반모터(56), 교반날개 (57), 노즐(58), 감속기(59), 카플링(60), 베어링(61), 발효실하부(62), 스크류콘베아(63), 배출구(64), 펌프(65), 가스배출구(66), 전기히터(67), 송풍기(68)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콘베아에 의해 수동 및 자동으로 선별하는 선별기(1)와,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되어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통상의 해머밀(Hammermill)식 분쇄기(2)와,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내장된 스크류콘베어에 의해 이송되면서 탈수시키는 탈수기(3)와, 상기 탈수기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4)과, 일측이 상기 이송라인(4)과 연결되어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며 동시에 또다른 상부일측에 칩투입장치(7)와 연결되어 미생물 처리된 칩이 투입되는3조의 발효기(5)와,
상기 발효기(5)의 외부에 가열하기 위하여 소각로(10,11)에서 발생한 스팀을 저장하는 스팀저장기(9)와, 상기 스팀저장기(9)와 상기 발효기(5)에 연결된 스팀라인 (12)과, 상기 발효기(5)의 상부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생성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64)와, 상기 가스배출구(64)와 연결되어 가스를 원할히 배출시키는 배출기(8)와, 상기 배출기(8)와 소각로(10,11)와 연결되는 배기가스라인(13)과, 발효실(53)에 잔류된 찌꺼기를 배출하며 상기 발효실(53)내에 형성된 두 개의 교반기(57)사이에 설치된 스크류콘베아(63)와, 상기 스크류콘베아(63)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발효기 일측하부에 형성된된 배출구(64)로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인 것이다.
상기 발효기(5)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발효기 덮개(51)와, 발효기(5)의 외부를 형성하는 발효기벽체(52)와, 내부에 형성되는 발효실(23)과, 상기 발효기(5)의 외부측면에 형성되어 스팀과 열매체유가 접촉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 및 열교환기(55)와, 상기 발효기(5)의 외부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효실(23)의 교반날개(57)를 회전시키는 두 개의 교반모터(56)와, 상기 발효실(23)에 열공기를 주입시키는 전기히터(67) 및 송풍기(6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발효실(53)은 상부에 형성된 발효기 덮개(51)와, 상기 발효기덮개(51)의 양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효기(5)의 외부에 형성된 전기히터(67)및 송풍기(68)에서 송풍되는 더운공기를 발효기(5)내로 유동시키는 노즐(58)과, 상기 발효실(53)의 몸체를 감싸며 열매체유가 순환되는 자켓형상의 발효기 벽체(52)와, 상기 발효기벽체(52) 전면 중앙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4)와, 상기 발효기 하부에 형성된 발효기하부(54)와, 상기 발효실(53)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U"자가 두 개 연결된 형상이며 내부에 열매체유가 유동되도록 형성된 발효실하부(62)와, 상기 발효실(53)의 발효실하부(62)의 오목한 부분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2열로 다수개가 형성된 교반날개(57)와,
상기 두 개의 교반날개(57) 중앙하부에 형성되어 찌꺼기를 배출구(64)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스크류콘베아(6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발효기 외부에 장착된 교반모터(56)는 감속기(59)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59)는 커플링(60)과, 베아링(61)에 연결되어 교반날개(57)의 축과 연결되어 있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 발효기(5)는 도1과 같이 3조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용도 및 양에 따라 사용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탈수기(3)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4)과 연결되어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며 동시에 또 다른 상부일측에 칩투입장치(7)와 연결되어 미생물 처리된 칩이 투입되며, 상기 발효기(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발효기(5)에서 발효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콘베아(6)와, 상기 발효기(5)를 가열하기 위하여 소각로(10,11)에서 발생한 스팀을 저장하는 스팀저장기(9)와 연결된 스팀라인(12)과 연결되어 있으며, 발효기(5)에서생성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66)을 통해 배출기(8)와 소각로(10,11)에 연결된 배기가스라인(13)를 10,11)에 이송시켜 완전 연소시키도록 연결된 구조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미생물에 의한 발효공법을 채택하여 음식물쓰레기분해를 향상시켜 소멸시간 단축과 소멸효율을 증진시켜 가동경비절감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켰으며, 3개의 라인으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성분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처리라인의 고장시에도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강제적으로 미생물 활동을 극대화시키는 환경을 조성하여 소멸시간을 단축시켰으며, 각 공정간 이송은 밀폐콘베어를 사용, 이송효율 향상과 악취문제를 해소시켰고,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제거시켜 작업장의 혐오감 제거와 작업환경을 향상시켰으며, 처리시 발생되는 가연성 쓰레기는 소각로를 통하여 소각시키며 소각시 발생하는 폐열을 에너지화 시켜 발효기에 열원으로 공급토록 재활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를 콘베아에 의해 수동 및 자동으로 선별하는 선별기(1)와,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되어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통상의 해머밀(Hammermill)식 분쇄기(2)와,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내장된 스크류콘베어에 의해 이송되면서 탈수시키는 탈수기(3)와, 상기 탈수기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4)과, 일측이 상기 이송라인(4)과 연결되어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며 동시에 또 다른 상부 일측에 칩투입장치(7)와 연결되어 미생물 처리된 칩이 투입되는 3조의 발효기(5)와,
    상기 발효기(5)의 외부에 가열하기 위하여 소각로(10,11)에서 발생한 스팀을 저장하는 스팀저장기(9)와, 상기 스팀저장기(9)와 상기 발효기(5)에 연결된 스팀라인(12)과, 상기 발효기(5)의 내부를 형성하는 발효실(23)과, 상기 발효기(5)의 상부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생성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64)와, 상기 가스배출구(64)와 연결되어 가스를 원할히 배출시키는 배출기(8)와, 상기 배출기(8)와 소각로(10,11)와 연결되는 배기가스라인(13)과, 상기 발효실(53)에 잔류된 찌꺼기를 배출하며 상기 발효실(53)내에 형성된 두 개의 교반기(57)사이에 설치된 스크류콘베아(63)와, 상기 스크류콘베아(63)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발효기 일측하부에 형성된된 배출구(64)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기(5)는 상부에 형성된 발효기 덮개(51)와, 발효기(5)의 외부를 형성하는 발효기벽체(52)와, 상기 발효기벽체(52)의 전면 중앙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4)와, 내부에 형성되는 발효실(23)과, 상기 발효기(5)의 외부측면에 형성되어 스팀과 열매체유가 접촉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 및 열교환기(55)와, 상기 발효기(5)의 외부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효실(23)의 교반날개(57)를 회전시키는 두 개의 교반모터(56)와, 상기 발효실(23)에 열공기를 주입시키는 전기히터(67) 및 송풍기(68)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실(23)은 상부에 형성된 발효기 덮개(51)와, 상기 발효기덮개(51)의 양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효기(5)의 외부에 형성된 전기히터(67) 및 송풍기(68)에서 송풍되는 더운공기를 발효기(5)내로 유동시키는 노즐(58)과, 상기 발효실(53)의 몸체를 감싸며 열매체유가 순환되는 자켓형상의 발효기 벽체(52)와, 상기 발효기 하부에 형성된 발효기하부(54)와, 상기 발효실(53)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U"자가 두 개 연결된 형상이며 내부에 열매체유가 유동되도록 형성된 발효실하부(62)와, 상기 발효실(53)의 발효실하부(62)의 오목한 부분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2열로 다수개가 형성된 교반날개(57)와,
    상기 두 개의 교반날개(57) 중앙하부에 형성되어 찌꺼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스크류콘베아(63)와, 상기 스크류콘베아(6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발효기벽체 (52) 전면 중앙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4)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20001368U 2002-01-16 2002-01-16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71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68U KR200271127Y1 (ko) 2002-01-16 2002-01-16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68U KR200271127Y1 (ko) 2002-01-16 2002-01-16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127Y1 true KR200271127Y1 (ko) 2002-04-09

Family

ID=7307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368U KR200271127Y1 (ko) 2002-01-16 2002-01-16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1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190B1 (ko) 2009-04-30 2012-06-12 주식회사 웅비기계 가축 조사료 제조장치
KR101284232B1 (ko) 2011-10-12 2013-07-09 영산만산업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KR101396309B1 (ko) 2012-04-23 2014-05-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쌀뜨물 재활용 발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190B1 (ko) 2009-04-30 2012-06-12 주식회사 웅비기계 가축 조사료 제조장치
KR101284232B1 (ko) 2011-10-12 2013-07-09 영산만산업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KR101396309B1 (ko) 2012-04-23 2014-05-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쌀뜨물 재활용 발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807B1 (ko) 미생물제재를 이용한 무방류시스템에 의한 유기성폐기물 처리방법 및 고형연료(퇴비)생산방법과 그 장치
KR100372163B1 (ko) 음식물쓰레기 발효사료 및 비료화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785611B1 (ko)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처리시설
CN107810068B (zh) 用于处理含有有机组分的固体废物的工艺
CN101421194A (zh) 高固含量高温厌氧消化装置、污泥的厌氧消化方法和系统
CN111454084B (zh) 厨余垃圾分散式快速降解一体化装置及其工艺
KR101178450B1 (ko) 석회처리 비료 제조방법
KR101898892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소멸장치
KR100377065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221544Y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12044914B (zh) 厨余垃圾分离降解系统及方法
KR200271127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8202578U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
KR20030071138A (ko)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1162489B1 (ko) 생활폐기물 중의 생분해성 폐기물의 호기성 생물학적안정화장치 및 방법
AU2006293435B2 (en) A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version of biomass/waste into bio-organic soil enricher and conditioner and fuel
KR1998006683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30519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1445A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습식 사료 제조 방법및 장치
KR20020035682A (ko) 음식물쓰레기 사료화 시스템
CN217797993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KR20020056798A (ko) 고속진공발효건조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 및퇴비화 방법
KR100710885B1 (ko) 터널형 비닐백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퇴비화 방법
CN115650775B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及方法
CN213680430U (zh) 一种污泥堆肥生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