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959Y1 -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 Google Patents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959Y1
KR200270959Y1 KR2020020000042U KR20020000042U KR200270959Y1 KR 200270959 Y1 KR200270959 Y1 KR 200270959Y1 KR 2020020000042 U KR2020020000042 U KR 2020020000042U KR 20020000042 U KR20020000042 U KR 20020000042U KR 200270959 Y1 KR200270959 Y1 KR 200270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joint structure
pants
waist en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훈
장상현
Original Assignee
장상훈
장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훈, 장상현 filed Critical 장상훈
Priority to KR2020020000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959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바지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허리 치수에 대해 신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형성된 신축이음구조를 개선하여, 허리단에 밸트를 채운 상태에서 신축이음 구조가 밸트에 의해 은폐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외관이 수려하고, 착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느낌의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한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바지의 허리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 치수에 대응하여 신축인장되도록 한 신축이음 구조에 있어서, 허리단의 일측이 분리되도록 절개되고, 절개된 일측에서 절개된 타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절개단부와; 상기 일측의 절개단부를 갖는 허리단의 내측에서 타측의 절개단부를 갖는 허리단의 내측에 양단이 고정지지되며, 적어도 밸트가 채워지는 고리의 상, 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신축밴드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Extension joint structure of trousers waist hem}
본 고안은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각종 바지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허리 치수에 대해 신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형성된 신축이음구조를 개선하여, 허리단에 밸트를 채운 상태에서 신축이음 구조가 밸트에 의해 은폐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외관이 수려하고, 착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느낌의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에서 성인 남여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가장 다양한 형태의 의류는 바지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바지는 제작되는 재질 및 착용하고자 하는 착용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그 외형적인 디자인에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된 것과 같이 다양한 바지의 형태 중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은,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허리부위에 위치되어 바지의 시작단을 의미하는 허리단이며, 이 허리단은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다양한 치수(둘레의 길이를 인치로 표기함이 통상적임)로 제작되기 마련이며, 이 치수는 판매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가장 표준적인 치수에 기인하여 제작되기 마련이다.
그러나, 상기된 표준적인 치수는 통계치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는 다양한 세대 및 많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요구에 대해 부응하지 못하는 폐단이발생되었다.
이로인해, 허리체형이 다소 큰 사용자 및 작은 사용자가 동일한 바지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연령대 및 성별의 사용자에 대해 불균형을 해소시키고자 바지의 허리단에 신축이음이 적용된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5는 상기된 종래의 신축이음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신축이음 구조는 허리단(1)의 일측에 인장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재의 신축주름부(2)가 형성되며, 상기 신축주름부가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신축주름부(2)의 양측에 조절밸트(3) 및 양측의 조절밸트(3)를 정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4)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축이음 구조가 형성된 바지(P)를 설정된 허리단(1)에 비해 더 큰 허리치수를 갖는 사용자가 착용하면, 허리단(1)의 신축주름부(2)가 인장되고 이와 같이 신축주름부(2)가 인장된 상태에서 신축주름부(2) 양측의 조절밸트(3)를 조절하고 고정클립(4)을 이용하여 조절밸트(3)를 고정시킨 후, 상기된 허리단(1)의 각 고리(5)에 밸트를 채우면 바지(P)를 착용하는 행위가 완료된다.
상기된 것과 같은 종래의 신축이음 구조는 허리단을 인장시키기 위한 신축주름부의 형태가 주름 형태로 유지되어 외관상 구겨진 외관을 제공하여 미려하지 못한 느낌을 전달하게 되며, 밸트를 채운 상태에서도 밸트의 상측으로 주름의 형태가 육안으로 보여져 구겨진 느낌의 외관을 은폐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주름형태로 형성된 신축주름부는 원단을 주름 형태로절곡시키고, 그 내부에 신축밴드 등을 장착시킨 것이기 때문에 주름이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는 더 이상의 인장력을 발생시키지 못하여 인장되는 상태의 한계가 발생되며, 그 이상의 큰 치수를 요구하는 사용자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클립은 주로 합성수지나 금속재의 것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밸트를 채운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가 고정클립에 의해 가압되는 느낌을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느낌은 대부분의 착용자가 허리에 일정 체적을 갖는 고형의 물체로 가압되는 불편한 느낌을 느껴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바지의 착용시 채워진 밸트에 의해 신축이음 부분이 은폐되도록 하여 수려한 외관이 전달되도록 하고, 착용자로 하여금 신축이음 구조에 대한 느낌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갖도록 한 신축이음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 구조의 외관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 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 구조의 일부절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 구조의 확장된 상태 사시도.
도 5는 종래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 구조의 외관 정면도.
도 6은 종래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 구조의 요부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바지
10. 허리단
11. 절개단부
12. 연장부
13. 주머니단
14. 고리
20, 21. 신축밴드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바지의 허리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 치수에 대응하여 신축인장되도록 한 신축이음 구조에 있어서, 허리단의 일측이 분리되도록 절개되고, 절개된 일측에서 절개된 타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절개단부와; 상기 일측의 절개단부를 갖는 허리단의 내측에서 타측의 절개단부를 갖는 허리단의 내측에 양단이 고정지지되며, 적어도 밸트가 채워지는 고리의 상, 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신축밴드를 갖추어서 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 구조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 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 구조의 보다 상세한 내부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개 분리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신축이음 구조는 바지(P)의 허리단(10)을 등분하는 절개단부(11)와, 절개단부(11)가 형성된 양측의 허리단(10)을 연결하는 신축밴드(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단부(11)는 신축밴드(20)의 인장에 의해 양측의 허리단(10)이 이격될 때의 구간을 은폐시키기 위해 일측의 절개단부(11a)에서 타측의 절개단부(11b)가 형성된 허리단(10)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연장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2)는 허리단(10)에서 연장된 부분의 하측으로 원단을 더 연장형성하여 외부에서 신축됨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절개단부(11)는 주머니단(13)이 형성된 선상에 형성하여 양측의 허리단(10)이 이격될 때, 단순히 주머니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넓어진 외관을 제공한다.
상기 신축밴드(20)는 각각의 절개단부(11a,11b)를 갖는 각각의 허리단(10)에 양측이 고정지지되도록 하고, 허리단(10)의 고리(14)에 채워지는 밸트의 폭보다 적은 폭으로 형성해야 하며, 이는 즉, 상기 고리(14)가 결합된 상, 하의 폭보다 적은 폭의 신축밴드(20)를 구비함으로 인해 만족된다.
또한, 상기 신축밴드(20)는 양측의 허리단(10)에 형성된 것 외에도, 상기 연장부(12)와, 연장부(12)에 대응되는 허리단(10)에 각각 양단이 고정지지되도록 한 신축밴드(21)를 더 추가하여, 신축될 때 양측의 허리단(10)이 상호 균일한 탄력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 하로 높이차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밴드는 고무재질, 또는 고무재의 실을 직조하여 형성한 탄성직물로 구비하고 외면에 바지(P)의 원단과 동일한 직물을 피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신축이음 구조는 바지(P)의 일측에서 형성될 수 있지만, 허리단(10) 양측에 형성하여 허리단(10)의 인장된 상태가 양측에서 동일한 정도로 하여 외관상 불균일 함을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축이음 구조가 적용된 바지(P)를 설정된 허리단 보다 큰 허리 치수를 갖는 착용자가 착용하게 되면, 상기 절개단부(11a,11b)가 이격되며 신축밴드(20)가 인장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단순히 밸트만을 채우게 되면 바지(P)의 착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착용상태는 절개단부(11a,11b)의 이격된 구간이 연장부(12)에 의해 은폐되고, 상기 신축밴드(20, 21)가 밸트에 의해 은폐되어 수려한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양측의 신축밴드(20, 21)에 의해 상호 허리단(10)이 상, 하로 이격되지 않고 신축밴드(20, 21)의 외면이 바지(P)의 원단과 동일한 재질의 직물로피복되기 때문에 밸트가 채워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신축이음 구조가 단순한 장식용구로 인지될 수 있도록 하여 이 역시도 수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이음 구조는 단순한 판형의 신축밴드에 의해 그 신축작용이 수행됨으로 인해 밸트를 채운 후에도 사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신축되어 인장된 부분이 밸트를 채움으로 인해 은폐되도록 하여 수려한 외관을 제공함에 따른 보다 고급화된 바지를 제공함에 일조할 수 있게 되며, 착용한 상태에서 신축이음 구조에 대한 느낌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전달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신축밴드의 인장한계까지는 그 인장력에 제한이 없어 보다 많은 착용자의 신체에 적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신체조건을 갖는 착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바지(P)의 허리단(10)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 치수에 대응하여 신축인장되도록 한 신축이음 구조에 있어서,
    허리단(10)의 일측이 분리되도록 절개되고, 절개된 일측에서 절개된 타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2)를 갖는 절개단부(11a)와;
    상기 일측의 절개단부(11a)를 갖는 허리단(10)의 내측에서 타측의 절개단부(11b)를 갖는 허리단(10)의 내측에 양단이 고정지지되며, 적어도 밸트가 채워지는 고리(14)의 상, 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신축밴드(20, 21)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P)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20)는 양측의 허리단(10)에 장착된 것 외에도 연장부(12)와, 연장부(12)에 대향되는 허리단(10)의 내면에 양단이 고정지지된 신축밴드(21)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P)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단부(11)는 바지(P)의 주머니단(13)이 형성된 선상에 형성되어 허리단(10)이 인장된 상태가 외부에서 인지되지 못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P)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KR2020020000042U 2002-01-02 2002-01-02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KR200270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042U KR200270959Y1 (ko) 2002-01-02 2002-01-02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042U KR200270959Y1 (ko) 2002-01-02 2002-01-02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075A Division KR20030058848A (ko) 2002-01-02 2002-01-02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959Y1 true KR200270959Y1 (ko) 2002-04-06

Family

ID=7308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042U KR200270959Y1 (ko) 2002-01-02 2002-01-02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9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59Y1 (ko) 2015-05-01 2015-10-21 (주)씨티오커뮤니케이션 부분 밴딩 바지
KR200480598Y1 (ko) 2015-07-10 2016-06-13 (주) 우리유니폼 신축성 바지
KR102049745B1 (ko) 2019-05-10 2019-12-31 송명섭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59Y1 (ko) 2015-05-01 2015-10-21 (주)씨티오커뮤니케이션 부분 밴딩 바지
KR200480598Y1 (ko) 2015-07-10 2016-06-13 (주) 우리유니폼 신축성 바지
KR102049745B1 (ko) 2019-05-10 2019-12-31 송명섭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978B2 (ja) 体型補正機能を持つズボン
US20100192283A1 (en) Pants Having Hip-Up Function
US20130180032A1 (en) Discreet elastic belt
KR101883465B1 (ko)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KR200485870Y1 (ko) 탄성밴드가 내장된 바지
KR200270959Y1 (ko)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KR20030058848A (ko) 바지용 허리단 신축이음 구조
JPH08113805A (ja)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KR101103480B1 (ko) 바지 허리단의 신축 구조
KR20190015157A (ko) 한복 치마
JP3777464B2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KR200485760Y1 (ko) 신축성 허리벨트
KR200342596Y1 (ko) 바지의 숨김형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JPH0596008U (ja) シャーリングパンツ
JP3038136B2 (ja) ウエスト伸縮構造
KR200337493Y1 (ko) 허리 조절이 가능한 바지
KR102650743B1 (ko) 실리콘 타이를 이용한 허리 밴드와 이를 구비한 허리 부위 구조 및 바지
WO2020240919A1 (ja) 下着
JP4045353B2 (ja) ズボン等のウエストの伸縮構造
KR100443018B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JP6550183B1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JP6273630B1 (ja) サイズ融通性を有するショーツ
KR200489753Y1 (ko) 신축성 바지
KR20220104532A (ko) 허리둘레 길이조절구조를 갖는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하의 및 그 제조방법
JPH04491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