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876Y1 -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876Y1
KR200270876Y1 KR2020010038134U KR20010038134U KR200270876Y1 KR 200270876 Y1 KR200270876 Y1 KR 200270876Y1 KR 2020010038134 U KR2020010038134 U KR 2020010038134U KR 20010038134 U KR20010038134 U KR 20010038134U KR 200270876 Y1 KR200270876 Y1 KR 200270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roller
roller
backup
disassembl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화
진순도
김교준
김희복
최종대
이상훈
김동운
Original Assignee
포철산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철산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철산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8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876Y1/ko

Links

Landscapes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간교정기로 부터 이탈시킨 백업로울러의 분해와 조립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를 제공하여 전체적인 작업의 시간과 진도를 진척시켜 생산성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들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배제하여 사용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30)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31)와;
상기 베이스(31)의 일측에 설치되어 백업로울러(32)의 로울러샤프트(33)를 분해하기 위한 분해기(40)와;
상기 분해기(40)의 측방에 설치되어 분해하여 부품을 정비하고 교환한 백업로울러(32)에 로울러샤프트(33)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기(6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Backup roller for hot leveller}
본 고안은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공정에서 규격대로 압연한 제품을 평탄하게 하는 열간교정기의 백업로울러의 정비와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압연공정을 살펴보면 가열로에서 가열된 소재를 조압연공정을 통하여 완성될 제품을 고려하여 길이와 폭이 조정된 상태에서 초기압연이 이루어지고, 상기 조압연공정을 경유한 소재를 완성할 규격으로 압연하는 사상압연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상압연공정을 거친 소재는 거의 완성된 제품에 가깝게 되나 표면의 마감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열간교정기를 경유하면서 표면을 평탄하게 마감하게 되고, 마감완료된 제품은 냉각공정을 거쳐 변형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압연공정이 끝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연간교정기에서 제품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것이 백업로울러 이며, 상기 백업로울러는 다단 다열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면서 회전운동으로 제품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기 때문에 상단한 부하로 인하여 로울러 내부의 베어링과 같은 부품들의 마모와 손상이 야기된다.
상기와 같이 백업로울러의 마모와 손상으로 인한 교환이나 정비를 위해서는 열간교정기로 부터 백업로울러를 이탈시킨 후 롤샤프트를 분해함으로서 내부의 베어링이나 기타 부품을 정비 및 교환할 수 있게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을 여러명의 작업자가 한 조를 이루어 수작업으로 진행함으로서 백업롤의 이탈시에도 많은 힘이 들지만 롤샤프트 및 기타 부품을 이탈하고 조립하는 데에도 상당한 애로점이 있는 실정이다.
즉, 불필요한 인원이 많은 시간을 투여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의 진도가 느려 압연라인의 공전시간이 길어져 결과적으로는 생산성이 저하되는 원인을 제공하고, 작업과정에서 별도의 안전수단이나 장치가 없는 과계로 작업자의 신체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등 여러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열간교정기로 부터 이탈시킨 백업로울러의 분해와 조립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를 제공하여 전체적인 작업의 시간과 진도를 진척시켜 생산성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들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배제하여 사용상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분해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조립기의 단면도.
도 4는 도2에 적용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의 분해기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3에 적용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의 분해기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32; 백업로울러
40; 분해기
44; 로울러안치대
47; 안치홈
50; 스토퍼
60; 분해기
65; 안치대
70; 부품패드
72; 제어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분해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조립기의 단면도, 도 4는 도2에 적용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의 분해기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3에 적용된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의 분해기 사용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30)는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바퀴를 저면에 가지고 판상형태의 베이스(31)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31)에는 백업로울러(32)를 분해하기 위한 분해기(40)와 분해하여 부품을 정비하고 교환한 백업로울러(32)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기(60)를 설치한다.
상기 분해기(40)는 베이스(31)상에 세워지는 수직바(41)와 수평플레이트(42)로 프레임(43)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43)의 상면에는 분해할 백업로울러(32)를 안치하기 위한 로울러안치대(44)를 구비한다.
상기 로울러안치대(44)는 전,후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지지대(45)와 상기 수직지지대(45)의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지지대(46)로 구성하고, 전측에 위치한 수직지지대(45)와 수평지지대(46)의 전방에는 백업로울러(32)가 안치될 수 있는 안치홈(47)을 형성한다.
상기 후측에 위치한 수직지지대(45)에는 백업로울러(32)의 로울러샤프트(33)를 분리시키기 위한 잭(48)을 고정하고, 상기 전측에 위치한 수직지지대(45)의 전방에는 로울러샤프트(33) 분해시 백업로울러(3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5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분해기(40)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립기(60)는 박스형상의 받침대(61)를 베이스(31)위에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61)의 상방 양측에는 개략 ∩형상의 지지빔(62)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빔(62)의 상면에는 내측방향으로 고정축(63)을 돌출시킨 베어링블럭(64)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축(63)에는 백업로울러(32)를 안치하기 위한 반원형상의 안치대(65)를 연결한다.
상기 안치대(65)의 전,후측에는 백업로울러(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66)를 일체로 가지도록 하고, 안치대(65)의 상면에는 백업로울러(32)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개,폐가능한 고정스토퍼(67)를 구비한다.
상기 안치대(65)의 전측면에는 볼트공(68)을 형성하여 백업로울러(32)에 조립된 베어링과 같은 부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부품패드(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빔(62)의 일측에는 서포트(71)를 세워 스토핑기능을 가지는 통상적인 제어핀(72)을 구비하여 안치대(65)에 형성되는 스톱홀(73)과 결합되어 안치대(65)가 자연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61)의 내부에는 로울러샤프트(33)를 백업로울러(32)에 삽입하기 위한 잭(75)을 설치하고 상기 잭(75)의 피스톤(76)은 받침대(61)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백업로울러(32)의 로울러샤프트(33)를 분해하고자 할 경우에는 열간교정기로부터 이탈시킨 백업로울러(32)를 로울러안치대(44)에 안치시킨 후 후방의 잭(48)을 장공시키면 잭(48)의 피스톤이 로울러샤프트(33)를 백업로울러(32)의 전방으로 이탈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백업로울러(32)는 로울러안치대(44)에 안치된 상태에서 전측에 위치하는 수직지지대(45)의 전방에 더 구비되는 스토퍼(50)가 백업로울러(32)의 전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잭(48)의 작동에 의하여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쉽게 분리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로울러샤프트(33)를 분해한 백업로울러(32)는 내부에 위치한 베어링과 같은 부품을 교환하거나 정비한 후 부품을 재 조립하고, 부품의 재조립이 끝난 백업로울러(32)는 조립기(60)로 이동시켜 조립기(60)에 구비되는 안치대(65)상에 안치한다.
상기 안치대(65)에 안치된 백업로울러(32)의 전,후면은 안치대(65)의 전,후측에 구비되는 스토퍼(66)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안치대(65)의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스토퍼(67)에 의하여 상방으로의 유동도 방지된다.
물론, 백업로울러(32)를 안치대(65)에 안치할 때에는 고정스토퍼(67)를 개방시키고 안치된 후 고정스토퍼(67)를 결합할 때에는 백업로울러(32)의 표면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쿠션재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백업로울러(32)가 안치될 때에는 제어핀(72)이 스톱홀(73)에 삽입되어 안치대(65)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백업로울러(32)의 안치가 끝나면 안치대(65)의 전방에 형성된 볼트공(68)에 부품패드(70)를 체결하여 백업로울러(32)에 삽입된 부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핀(72)을 해제하면 안치대(65)는 자중 또는 작업자의 회전에 의하여 하방의 잭(75)방향으로 90°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로울러샤프트(33)를 잭(75)의 피스톤(76)에 안치한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백업로울러(32)에 결합됨으로서 조립이 완료된다.
로울러샤프트(33)의 조립이 끝나면 안치대(65)를 수평상태로 유지한 후 백업로울러(32)를 이탈시켜 열간교정기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백업로울러(32)의 분해와 조립을 기계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백업로울러(32)가 유동하지 않도록 안치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낙하나 구름에 의한 작업자의 신체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열간교정기로 부터 이탈시킨 백업로울러의 분해와 조립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를 제공하여 전체적인 작업의 시간과 진도를 진척시켜 생산성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들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배제하여 사용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열간교정기에서 이탈시킨 백업로울러(32)의 로울러샤프트(33)를 분해하고 조립하기 위한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30)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31)와;
    상기 베이스(31)의 일측에 설치되어 백업로울러(32)의 로울러샤프트(33)를 분해하기 위한 분해기(40)와;
    상기 분해기(40)의 측방에 설치되어 분해하여 부품을 정비하고 교환한 백업로울러(32)에 로울러샤프트(33)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기(6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기(40)는;
    상기 베이스(31)상에 세워지는 수직바(41)와 수평플레이트(42)로 구성되는 프레임(43)과;
    상기 프레임(43)의 상면에 구비되어 분해할 백업로울러(32)를 안치할 수 있도록 전,후측에 세워지는 수직지지대(45)와 수직지지대(45)의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지지대(46)로 구성되는 로울러안치대(44)와;
    상기 로울러안치대(44)의 전방에 백업로울러(32)가 안치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안치홈(47)을 포함하고;
    상기 로울러안치대(44)의 후방에는 백업로울러(32)의 로울러샤프트(33)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고정하는 잭(48)을 포함하고;
    상기 전측 수직지지대(45)의 전방에는 로울러샤프트(33) 분해시 백업로울러(3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기(60)는;
    상기 베이스(31)에 박스형상으로 구비되는 받침대(61)와 상기 받침대(61)의 상방에 설치되는 지지빔(62);
    상기 지지빔(62)의 상면에는 내측방향으로 고정축(63)을 돌출시켜 설치되는 베어링블럭(64)과;
    상기 고정축(63)에 연결되어 백업로울러(32)를 안치할 수 있도록 전,후측에 스토퍼(66)를 가지고 구비되는 안치대(65);
    상기 안치대(65)의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어 백업로울러(32)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스토퍼(67)를 포함하고;
    상기 안치대(65)의 전측면에는 백업로울러(32)에 조립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부품패드(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공(68)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61)의 내부에는 로울러샤프트(33)를 백업로울러(32)에 삽입하기위한 잭(75)을 설치하고;
    상기 잭(75)의 피스톤(76)은 받침대(61)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62)의 일측에 세워지는 서포트(71)에는 스톱기능을 가지는 통상적인 제어핀(72)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핀(72)은 안치대(65)에 형성되는 스톱홀(73)과 결합되어 안치대(65)가 자연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KR2020010038134U 2001-12-11 2001-12-11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KR200270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34U KR200270876Y1 (ko) 2001-12-11 2001-12-11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34U KR200270876Y1 (ko) 2001-12-11 2001-12-11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876Y1 true KR200270876Y1 (ko) 2002-04-06

Family

ID=7307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134U KR200270876Y1 (ko) 2001-12-11 2001-12-11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8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101619A4 (en) A Fixed Device for Conveniently Installing Robot Arms
KR200443111Y1 (ko) 부스바 벤딩장치
KR200270876Y1 (ko) 열간교정기용 백업로울러 분해 및 조립장치
CN209407133U (zh) 一种带有稳定夹具的折弯机
KR101185775B1 (ko) 롤 베어링블록 및 베어링유니트 탈.장착 장치
JPH0615360A (ja) ロール式くせ取り機
CN205968282U (zh) 一种金属板压紧装置
CN206747322U (zh) 机架变形补偿装置及折弯机
CN105478489B (zh) 一种可浮动调节的接轴自平衡托架装置及调节方法
CN211331051U (zh) 一种轻型型材弯曲机平面校正机构
KR20010064839A (ko) 소둔로 롤 교체장치
CN111496740A (zh) 一种卷烟包装机主电机更换工装
KR100543502B1 (ko) 폭 벤딩머신
KR101520371B1 (ko) 베어링블록 이송장치
CN107498302B (zh) 一种螺栓套装螺母机构及套装方法
JP3441611B2 (ja) ロール成形機
CN220547485U (zh) 一种钢板自动弯折装置
KR102469988B1 (ko) 연속주조기용 몰드의 터닝작업대 고정구
CN217748971U (zh) 一种凸模及具有该凸模的冲压模具
KR20020033272A (ko) 선재 사상압연기용 감속기 수리작업대
CN219193756U (zh) 一种基板玻璃可移动式输送系统及生产线
CN210647740U (zh) 平辊上压下旋转装置
CN212683786U (zh) 一种九辊矫下矫直辊拆装工具
CN114515863B (zh) 一种棒材热飞剪刀臂工装
CN211490369U (zh) 一种加工中心拆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