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705Y1 -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705Y1
KR200270705Y1 KR2020020001327U KR20020001327U KR200270705Y1 KR 200270705 Y1 KR200270705 Y1 KR 200270705Y1 KR 2020020001327 U KR2020020001327 U KR 2020020001327U KR 20020001327 U KR20020001327 U KR 20020001327U KR 200270705 Y1 KR200270705 Y1 KR 200270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plate body
computer main
exhaust port
anion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섭
Original Assignee
윤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호섭 filed Critical 윤호섭
Priority to KR2020020001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705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이온 발생기를 컴퓨터 본체에 기 구비된 전원 공급 박스 내에 설치함으로써 드라이버 설치틀을 낭비하지 않고, 음이온 토출 효율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는 내부에 통기로가 형성되며 적소에 흡기구, 배기구 및 냉각팬이 구비된 전원 공급 박스; 상기 배기구 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각각 통기로가 형성되어 있는 음극판체와 양극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이온 발생부 및 상기 음이온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양극판체는 상기 배기구에 대해 상기 음극판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COMPUTER MAIN FRAME WITH ANION GENERATOR}
본 고안은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스널 컴퓨터 본체의 전원 공급 박스에 장착되어 퍼스널 컴퓨터 본체 내부의 먼지 등을 집진함과 더불어 음이온으로 대전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한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정보 통신 기술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업무용 또는 개인용으로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컴퓨터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기기이고,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내부 부품을 냉각시킨 후에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사용자 주위에 먼지가 부유하게 되어 컴퓨터 사용 환경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이온이 인체에 유익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음이온 발생기는 수천 볼트의 음전압을 음극판에 걸어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데, 이에 따라 전자가 전리를 일으킬 수 있을 정도의 에너지를 갖고 고속으로 공기 중에 방출됨으로써 공기를 음이온화시키게 된다. 이렇게 방출된 전자는 산소 분자와 결합하여 음이온화된 산소를 만들게 되고, 전자가 먼지를 음으로 대전시킨 채로 양극판에 흡착되게 된다.
그러나, 단일 제품으로 된 음이온 발생기를 컴퓨터 사용 공간에 들여놓는 것은 비용면이나 공간면에서 용이한 일이 아니고, 또한 컴퓨터와는 별개로 음이온 발생기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번거로운 일이 될 수가 있다.
이런 제반 여건을 감안하여 컴퓨터 본체 내부에 음이온 발생기를 부가시킨 기술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16994호로 공지되어 있는 바,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이하, 간단히 "본체"라 한다)(10)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전면에 각종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설치틀(12)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러한 설치틀(12)에 음이온 발생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음이온 발생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드라이버 설치틀(12)에 음이온 발생기틀(20)이 장착되는데, 음이온 발생기틀(20)의 전방에는 흡기구(2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컴퓨터 본체(10) 내부의 공간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22)의 전방에는 양극판(27)과 음극판(28)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발생부(26)가 배치되고, 다시 그 전방에는 구동팬(24)이 장착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3은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 내는 필터를 나타낸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에 따르면, 음이온 발생부와 발생된 음이온을 컴퓨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냉각팬 사이에 상당한 거리가 있기 때문에 컴퓨터 본체 내부의 먼지 집진 효율이 좋을 지는 모르나 컴퓨터 본체 외부로의 음이온 토출 효율은 낮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기존에 구비된 냉각팬 이외에 별도의 구동팬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 및 소비 전력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팬을 사용함으로 해서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라이버를 장착하라고 마련해둔 드라이버 설치틀에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드라이브 설치틀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이온 발생기를 컴퓨터 본체에 기 구비된 전원 공급 박스 내에 설치함으로써 드라이버 설치틀을 낭비하지 않고, 음이온 토출 효율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는 내부에 통기로가 형성되며 적소에 흡기구, 배기구 및 냉각팬이 구비된 전원 공급 박스; 상기 배기구 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각각 통기로가 형성되어 있는 음극판체와 양극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이온 발생부 및 상기 음이온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양극판체는 상기 배기구에 대해 상기 음극판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컴퓨터 본체의 일부분을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가 탑재된 전원 공급 박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가 탑재된 전원 공급 박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가 탑재된 전원 공급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의 전력 공급 계통을 보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컴퓨터 본체, 12: 드라이버 설치틀,
20: 음이온 발생기틀, 21: 흡기구,
22: 배기구, 23: 필터,
24: 구동팬,
26: 음이온 발생부, 27: 양극판,
28: 음극판,
50: 컴퓨터 본체, 60: AC 커넥터,
100, 200: 전원 공급 박스, 102, 202: 흡기구,
104, 204: 배기구, 110, 210: 인쇄 회로 기판,
120, 220: 인쇄 회로 기판, 130, 230: 냉각팬 뭉치,
140, 240: 양극판체, 142, 242: 양극판,
144, 244: 통공, 146, 246: 손잡이,
150, 250: 음극판체, 152, 252: 방전침,
154, 254: 통기 슬릿, 156, 256: 연결편,
160, 260: 양극판 고정홈, 170, 270: 음극판 고정홈,
300: 정전압 발생부, 302: 전원 스위치,
310: 고압 발생부, 320: 음이온 발생부,
330: 냉각팬 구동부, 332: 냉각팬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컴퓨터 본체의 일부분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50)의 배면의 적소, 바람직하게 상부에는 컴퓨터 본체(50)의 내부에 탑재된 전원 공급 박스의 배기구(104)가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배기구(104)를 컴퓨터 본체(50)의 상부에 배치하는 이유는 컴퓨터 본체(50) 내부에서 차가운 공기는 하강하고 데워진 공기는 상승하게 되는데 전원 공급 박스, 즉 냉각팬(미도시)을 컴퓨터 본체(50)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냉각 효율이 그 만큼 향상되기 때문이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0은 상용 교류 전원의 플러그 또는 콘센트가 연결되는 AC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가 탑재된 전원 공급 박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인 바, 편의를 위해 AC 커넥터, 좌측벽, 우측벽 및 윗벽은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가 탑재된 전원 공급 박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박스(100)의 뒷벽에는 컴퓨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배기구(104)가 형성되어 있고, 앞벽에는 컴퓨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기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104)의 전방에는 냉각팬 뭉치(13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냉각팬 뭉치(130)의 전방에는 음이온 발생기의 양극판체(140)가 그 고정홈(1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워진 채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양극판체(14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양극판(142)에 배기 통로로 기능하는 다수의 통공(14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양극판(144)에는 전자에 의해 대전된 먼지 등이 흡착되는데, 먼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양극판체(1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양극판체(140)의 상부에 손잡이(14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손잡이(146)가 전원 공급 박스(100)의 상부 덮개(106)의 외부로 돌출되도록함으로써, 상부 덮개(106)를 해체하지 않고도 양극판체(140)를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162는 양극판체(140)를 접지시키기 위한 연결편을 나타낸다.
양극판체(140)의 전방에는 양극판체(1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음극판체(15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음극판체(150)는 그 하부가 고정홈(170)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워진 채로 설치된다. 음극판체(150)는 금속판, 바람직하게는 동판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양극판체(140)의 각 통공(144)의 중심을 향하여 방전침(152)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총 3개의 가로 고정대에 5개씩의 방전침(152)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각 가로 고정대 사이의 공간은 통기 슬릿(154)으로 기능하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56은 음극판체(150)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을 나타낸다.
한편, 음극판체(15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의 동판을 판금 작업으로 가공하여 방전침(152)으로 기능하는 부분을 형성함과 더불어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한 후에 방전침(152)이 통공(144)을 향하도록 가로대 부분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제작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10은 컴퓨터 본체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전원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부품이 탑재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나타내고, 120은 음이온 발생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부품이 탑재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가 탑재된 전원 공급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보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전원 공급 박스(200)의 뒷벽에 컴퓨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배기구(204)가 형성되어 있고, 밑벽에는 컴퓨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기구(2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구(202)의 상방에는 냉각팬 뭉치(23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배기구(204)의 전방에는 음이온 발생기의 양극판체(240)가 고정홈(2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워진 채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양극판체(24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양극판(242)에 배기 통로로 기능하는 다수의 통공(24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양극판(242)에는 전자에 의해 대전된 먼지 등이 흡착되는데, 먼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양극판체(2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양극판체(240)의 상부에 손잡이(24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262는 양극판체(240)를 접지시키기 위한 연결편을 나타낸다.
양극판체(240)의 전방에는 양극판체(2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음극판체(25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음극판체(250)는 그 하부가 고정홈(270)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워진 채로 설치된다. 음극판체(250)는 금속판, 바람직하게는 동판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양극판체(240)의 각 통공(244)의 중심을 향하여 방전침(254)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총 3개의 가로 고정대에 5개씩의 방전침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각 가로 고정대 사이의 공간은 통기 슬릿(254)으로 기능하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56은 음극판체(250)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을 나타낸다.
미설명 부호 210은 컴퓨터 본체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전원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부품이 탑재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나타내고, 미설명 부호 220은 음이온 발생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부품이 탑재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의 전력 공급 계통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AC)은 통상적으로 컴퓨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된 메인 전원 스위치가 되는 푸시버튼 스위치(302)로 구현되는 전원 스위치를 개재하여 정전압 발생부(300)에 공급되는데, 정전압 발생부(300)는 이렇게 공급된 상용 교류 전원을 감압, 정류 및 평활하여 소정의 크기, 예를 들어 3.3[V], ±5[V] 및 ± 12[V]를 갖는 직류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직류 전압은 컴퓨터 본체의 각 부, 예를 들어 CPU,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 또는 CD-ROM 드라이버 등으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320)는 이렇게 정전압 발생부(300)에서 발생시킨 소정 전압, 예를 들어 12[V]의 전압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 고압 발생부(310)는 정전압 발생부(300)에서 생성된 12[V]의 전압을 처리하여 수 [kV] 크기의 음의 고전압을 발생시켜서 음이온 발생부(320)의 음극판체(150),(250)에 공급하게 되고, 이 경우에 양극판체(140),(240)는 접지될 수 있다. 12[V]의 직류 전압은 또한 냉각팬 구동부(330)에 공급되어 냉각팬(332)을 구동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음극판체가 양극판체가 전방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원 공급 박스에 냉각팬이 다수개 구비된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양극판체 및 음극판체의 형상은 냉각 효율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컴퓨터 본체에 전원이 투입된 상태, 즉 냉각팬 구동부(330)에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음이온 발생부(320)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을 것인 바, 이 경우에 도 6의 블록도에서 고압 발생부(310) 전단에 개재되는 스위치를 컴퓨터 본체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음이온 발생기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를 컴퓨터 본체의 전면에 설치할 수도 있고, 냉각 효율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터 부재 또는 향 발생 부재를 양극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에 따르면, 컴퓨터 사용 환경에 부유하고 있는 먼지를 집진하고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토출하는 기본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부가 냉각팬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음이온 토출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전원 공급 박스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드라이버 설치틀을 낭비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별도의 팬을 추가하지 않고 기존에 구비된 냉각팬을 사용하여 음이온을 토출하기 때문에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 및 소비 전력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통기로가 형성되며 적소에 흡기구, 배기구 및 냉각팬이 구비된 전원 공급 박스;
    상기 전원 공급 박스 내부의 상기 배기구 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각각 통기로가 형성되어 있는 음극판체와 양극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이온 발생부 및
    상기 음이온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체는 상기 배기구와 상기 음극판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체의 상부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KR2020020001327U 2002-01-16 2002-01-16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KR200270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27U KR200270705Y1 (ko) 2002-01-16 2002-01-16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27U KR200270705Y1 (ko) 2002-01-16 2002-01-16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802A Division KR20020023786A (ko) 2001-12-18 2001-12-18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705Y1 true KR200270705Y1 (ko) 2002-04-03

Family

ID=73115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327U KR200270705Y1 (ko) 2002-01-16 2002-01-16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7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4183A1 (ko) * 2013-09-09 2015-03-12 Lee Hee Chul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CN115832894A (zh) * 2023-02-15 2023-03-21 浙江东禾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分布式能源系统用电力存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4183A1 (ko) * 2013-09-09 2015-03-12 Lee Hee Chul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CN115832894A (zh) * 2023-02-15 2023-03-21 浙江东禾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分布式能源系统用电力存储装置
CN115832894B (zh) * 2023-02-15 2023-09-08 浙江东禾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分布式能源系统用电力存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6535B2 (en) Ion-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al apparatus
EP2017931A1 (en) Induction electrode, ion generating element,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ical apparatus
TWI283192B (en) A flat-plate type static dust-connecting device
JP2010040173A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KR200270705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JP3726220B2 (ja) 空気清浄機
KR20020023786A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KR200271926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JP6041595B2 (ja) 送風装置
CN212935139U (zh) 一种负离子发生装置
JP5484259B2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3569516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ディスプレイ装置
CN216292010U (zh) 一种led显示屏电源管理装置
KR200400102Y1 (ko) 음이온발생장치
CN217157269U (zh) 一种曲面结构电容式触摸屏
CN214949527U (zh) 一种新风系统用具有高压静电杀菌功能的进风口
JPH09245935A (ja) 負イオン発生ユニットを添装した送風機器
JP2004020025A (ja) 空気調和機
CN220236786U (zh) 一种吸尘器的吸尘头
CN212202536U (zh) 具备负离子释放功能的塔扇
CN218095852U (zh) 一种散热型舞台灯
CN219194607U (zh) 一种具有碲化铋半导体的电离水发生装置
JP2014007031A (ja) 帯電粒子発生装置
CN214592099U (zh) 一种涡轮式静电消除器
CN211619701U (zh) 电梯及其轿厢内的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