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417Y1 -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417Y1
KR200270417Y1 KR2020010038996U KR20010038996U KR200270417Y1 KR 200270417 Y1 KR200270417 Y1 KR 200270417Y1 KR 2020010038996 U KR2020010038996 U KR 2020010038996U KR 20010038996 U KR20010038996 U KR 20010038996U KR 200270417 Y1 KR200270417 Y1 KR 200270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mera
image
user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석
강문상
Original Assignee
(주)로보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보옵틱스 filed Critical (주)로보옵틱스
Priority to KR2020010038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417Y1/ko

Link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서 입력된 영상데이터의 위치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양/단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진 카메라를 통해서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마이크를 통해서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는 사용자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양방향통신모드 또는 단방향통신모드로 변환되도록 스위칭제어한다.
본 고안으로 인해서 사용자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정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때 상기 피사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상대방의 액정화면에 정확하게 피사체가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An image control apparatus of a camera for a picture-communication}
본 고안은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여 촬영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촬영한 데이터를 단/양방향 통신모드로 송수신할 수 있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음성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이에 더해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소형카메라를 단말기의 전면에 향하도록 고정된 형태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의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서 활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행하도록 하면 상대측으로 화상정보가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제어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CAM)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카메라(CAM)가 피사체를 촬영하면, 그 화상정보를 입력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 및 압축하는 비디오 코덱부(10)와, 상기 변환된 신호를 무선전송부(3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저대역 신호처리부(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구성을 가진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제어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화상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입력키를 보호하기 위해 접혀있는 덮개를 펴서, 통화할 상대측의 전화번호를 눌러 접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CAM)를 통해 사용자측의 피사체 영상정보가 상대측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어져 있는 카메라(CAM)는 단말기의 화면과 함께 단말기의 전면만을 응시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사체의 영상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카메라(CAM) 정면의 적절한 위치에 놓여있을 때만 가능하여, 화상을 상대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측에서 입력하는 피사체의 영상정보가 상대측의 단말기 화면 한가운데에 최적으로 위치하는지 사용자측에서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자신이 촬영하는 영상을 확인해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변환경이 정지되지 않고 자주 움직이는 상황(예를 들어, 차량 내부 등)에서는 상대측으로 사용자의 모습이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최적의 화상을전송하는데 더욱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 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메라를 사용해서 사용자가 촬영하는 영상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사용해서 촬영한 영상/음성정보를 단/양방향 통신모드로 변환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구성도.
도 3a,3b,3c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를 나타내는 도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를 이용해서 화상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어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AM : 카메라 230 : 액정화면
110 : 영상코덱 140 : 음성코덱
120 : 마이크 130 : 스피커
170 : 주제어부 180 : 메모리인터페이스
190 : 메모리 210 : 외부시스템
220 : 입출력인터페이스 160 : 무선통신모듈
200 : 외부시스템인터페이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상/하, 좌/우 각도조절을 통해 입력하는 카메라와, 피사체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와,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로 입력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변환부와, 상기 디지털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상대측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전달수단과, 상기 디지털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확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3b,3c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고,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도, 도 3c는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회전각도에 따른 상태도이며,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서 피사체 영상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CAM)는, 이동캠코더의 액정모니터와 같이 180도 회전이 가능한 딸깍이 구조로 되어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정보가 입력되도록 상기 카메라(CAM)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CAM)의 각도를 조절하여, 카메라(CAM)에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양방향 또는 단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에 구비되어져 있는 통신모드변환키(도시하지 않음)를 직접 눌러 선택하거나 또는 카메라(CAM)의 각도조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통신모드가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CAM)의 영상신호 처리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CAM)를 이용해서 화상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어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메라(CAM)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디지털변환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코덱(110)과,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120)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30)와,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코덱(140)과, 상기 영상코덱(110)과 음성코덱(140)으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통신모드에 따라 절환하는 모뎀(150)과,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대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160)과, 사용자가 입력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190)와, 상기 음성코덱(140)과 영상코덱(11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저장하는 상기 메모리(190)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메모리인터페이스(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상대측으로 출력되는 외부시스템(210)과, 사용자가 입력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상기 외부시스템(210)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외부시스템인터페이스(220)와, 상기 카메라(CAM)를 통해 입력한 영상신호를 단말기로 입출력하는 입출력인터페이스(220)와,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2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액정화면(230)과,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신모드를 선택하도록 구비되어져 있는 다이얼키(240)와, 상기 다이얼키(240)에 입력된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가 입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주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시스템으로는 개인용컴퓨터(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폰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상기 영상코덱(110)과 음성코덱(140)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주제어부(170)가 인지할 수 있는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변환기의 일실시예일 뿐이며, 상기 모뎀(150)도 사용자가 촬영한 데이터를 상대측에 전달하기 위한 신호절환수단으로 신호전달수단의 일실시예이다.
그리고 상기 피사체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CAM)와 마이크(120)는 데이터입력수단으로, 피사체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액정화면(230)과 스피커(130)는 데이터확인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신호 처리과정은 휴대폰을 일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다. 따라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영상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예를 들어, PDA일 경우) 모니터, 터치스크린, 키보드, 입력펜등과 같은 입/출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구성의 동작흐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우선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져 있는 통신모드선택키(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신호처리를 단방향으로 제어할 것인지, 양방향으로 제어할 것인지 선택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방향통신모드로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단방향 통신모드를 선택 후, 도 3a, 3b,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있는 카메라(CAM)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상기 카메라(CAM)를 통해서 입력한다(100). 상기 카메라(CAM)를 통해서 입력된 영상신호는 영상코덱(110)을 통해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CAM)를 통해서 영상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마이크(120)를 통해서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는 음성코덱(140)으로 전송되고, 상기 음성코덱(140)은 상기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상기와 같이 음성코덱(140)과 영상코덱(110)을 통해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각각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는 각각 스위치2(SW2)를 통해서 모뎀(150)으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를 전달받은 모뎀(150)을 상기 데이터를 무선통신모듈(16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160)로 전송된 데이터는 상대측의 단말기로 상기 데이터가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대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대측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액정화면(230)에 실시간으로 카메라(CAM)를 통해서 촬영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또는 단말기에 구비되어진 메모리(190)에 상기 음성코덱(140)과 영상코덱(110)에 의해서 변환된 디지털신호가 저장된다.
상기 과정에 대해 도 4의 제어구성을 가지고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통신모드를 단방향통신모드로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하고 있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는 각각 영상코덱(110)과 음성코덱(140)에 의해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데이터는 모뎀(150)을 통해서 무선통신모듈(160)로 전달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은 상기 데이터를 상대측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대측은 이를 확인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촬영하고 있는 피사체를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가 촬영하고 있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는 각각 영상코덱(110)과 음성코덱(140)에 의해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데이터는 주제어부(170)에 전달된다.
상기 주제어부(170)는 상기 데이터가 액정화면(230)을 통해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를 입출력인터페이스(22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신호는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20)를 지나 액정화면(230)과 스피커(130)를 통해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출력되고, 사용자는 이를 액정화면(230)을 통해서 직접 확인한다.
또한, 상기 음성코덱(140)과 영상코덱(110)에 의해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는 주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상기 주제어부(170)는 전달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처리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190)에 저장하고자 하면, 상기 주제어부(170)는 메모리인터페이스(180)를 거쳐, 상기 데이터가 메모리(19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190)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언제든지 상대측으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모리(19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대측에 전달하고자 한다면, 메모리(19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대측에 전송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신호는 주제어부(170)에 전달되고, 상대측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190)에 저장된 데이터는 메모리인터페이스(180)를 통해서 외부시스템인터페이스(200)로 전달된다. 상기 외부시스템인터페이스(200)로 전달된 데이터는 상대측의 외부시스템(210)(예를 들어, 개인용컴퓨터, PDA, 휴대폰 등)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대측은 사용자가 전송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단방향통신모드를 선택함에 따른 영상신호전달과정에 대해 살펴보았고, 양방향통신모드에 따른 영상신호전달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이얼키(240)를 사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키(240)에 구비되어진 통신모드선택키(도시하지 않음)를 눌러, 양방향통신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한 신호는 주제어부(17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170)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이동통신 단말기가 양방향통신이 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통신모드를 선택한 후, 단말기에 구비되어진 카메라(CAM)의 각도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여 영상신호를 입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CAM)는 상/하, 좌/우로 180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CAM)를 통해서 입력된 영상신호는 영상코덱(110)으로 전달되고, 상기 영상코덱(110)은 상기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카메라(CAM)로 영상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마이크(120)를 통해서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음성신호는 음성코덱(140)으로 전달되고, 상기 음성코덱(140)은 상기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코덱(110)과 음성코덱(140)으로 인해서 디지털변환된 각각의 신호는 스위치1(SW1)의 스위칭동작에 의해서 모뎀(150)으로 전달된다.
상기 모뎀(150)은 상기 디지털신호를 무선통신모듈(160)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60)로 전송된 신호는 상대측 단말기에 전달되고, 상대측은 상기 전달된 피사체의 데이터를 단말기를 통해서 확인한다.
한편, 상대측은 전화가 걸려와 연결되어 피사체의 데이터를 전달받으면, 이에 따라 전화를 받은 쪽도 상기와 같은 화상제어를 통해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는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서 모뎀(150)으로 전달된다.상기 모뎀(150)은 전달된 데이터를 영상코덱(110)과 음성코덱(140)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달된 데이터는 상기 영상코덱(110)에서 각각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된 신호는 모두 주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상기 주제어부(170)는 상기 데이터를 입출력인터페이스(220)로 전달하고,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20)로 전달된 데이터는 액정화면(230)과 스피커(130)를 통해서 각각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영상/음성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상대측에서 보내는 영상/음성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어구성에 따른 양방향통신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의 액정화면이 분할되어 화상통화시 자신의 모습과 상대방의 모습이 한 화면에 동시에 나타내고자 한다면, 양방향통신모드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를 회전하여 촬영한 피사체의 정보가 자신의 단말기 화면과 상대방의 단말기 화면에 동시에 분할되어 나타난다. 이로 인해서 사용자는 촬영하는 데이터 뿐만 아니라 상대측의 촬영데이터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을 통해서 출력되는 방식을 화면분할(PIP : Picture In Picture)방식이라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진 카메라(CAM)를 통해서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마이크(120)를 통해서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는 사용자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양방향통신모드 또는 단방향통신모드로 변환되도록 스위칭제어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CAM)는 이동식캠코더의 액정화면(230)과 같이 별도의 딸깍이 구조로 구비되고, 180도 회전이 가능하다.그리고 상기 스위칭제어는 스위치1(SW1)과 스위치2(SW2)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통신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가 각각 제어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양/단방향 통신모드 변환을 단말기에 구비된 다이얼키(240)의 조작으로 신호입력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었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이외에 기구적 방법이나 또는 전자식스위치를 사용한 물리적 또는 하드웨어적으로도 얼마든지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고안으로 인해서 사용자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정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때 상기 피사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상대방의 액정화면에 정확하게 피사체가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방향/양방향통신모드로 변환이 가능하여, 단순히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은 단방향통신모드로 전송하고, 실시간으로 동영상데이터가 필요한 경우는 양방향통신모드로 전송됨으로서,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 수신할 수 있다.

Claims (4)

  1.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상/하, 좌/우 각도조절을 통해 입력하는 카메라와;
    피사체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와;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로 입력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변환부와;
    상기 디지털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상대측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전달수단과;
    상기 디지털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확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데이터확인수단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변환부와 신호전달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가 단/양방향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신호전달수단에 전달되도록 스위칭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KR2020010038996U 2001-12-17 2001-12-17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KR200270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96U KR200270417Y1 (ko) 2001-12-17 2001-12-17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96U KR200270417Y1 (ko) 2001-12-17 2001-12-17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417Y1 true KR200270417Y1 (ko) 2002-04-03

Family

ID=7307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996U KR200270417Y1 (ko) 2001-12-17 2001-12-17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4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904B1 (ko) 휴대 가능한 다기능 전자 기기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US200401859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folder in a rotation touch phone having a camera
US70615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photographing angle of camera in portable terminal
JP4352465B2 (ja) 携帯端末
US7068298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method for taking a photograph with the same
KR20040082152A (ko) 원격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카메라 촬영 방법
KR100358166B1 (ko) 화상 휴대폰 장치
JPH102099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274777A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US200502807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and two display units
KR200270417Y1 (ko)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카메라의 영상제어장치
JP2004040491A (ja) 映像通信装置
KR20070031574A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US20050122404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371022B1 (ko) 휴대 단말기
KR100452346B1 (ko) 착탈식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JP2000197026A (ja) 携帯機器
JP2002141977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ディジタルカメラ並びに携帯情報端末接続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KR20040021767A (ko) 적외선 통신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 및 그를 사용한사진전송 방법
JP2001128131A (ja) 画像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及び記録媒体
KR20040028181A (ko)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 및 그를 사용한사진전송 방법
KR20050087487A (ko) 원격제어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JP4046715B2 (ja) 情報送出装置
KR100309607B1 (ko) 영상 전화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