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413Y1 -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 Google Patents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413Y1
KR200270413Y1 KR2020010038941U KR20010038941U KR200270413Y1 KR 200270413 Y1 KR200270413 Y1 KR 200270413Y1 KR 2020010038941 U KR2020010038941 U KR 2020010038941U KR 20010038941 U KR20010038941 U KR 20010038941U KR 200270413 Y1 KR200270413 Y1 KR 200270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ccumulator
welding material
discharge pipe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산업
Priority to KR2020010038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413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관과 토출관의 사이로 개재되는 필터가 견고하게 고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는 흡입관과 토출관 사이로 개재되어 기액분리를 행하는 필터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반드시 용접을 행하여야 했으나 긴밀하게 삽착된 필터와 몸체 사이에 충분한 용접재를 도포하여 견고히 고착시키기가 무척이나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몸체에 밀접되는 필터의 외주면에 용접재가 충진되어지도록 소정의 깊이를 갖는 충진공을 형성하고 삽착 시킨 후 용접재를 용융시켜 삽착되어진 필터의 외주면에 용접재가 균일하게 도포되어지도록 함으로서 견고한 고착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냉동설비용

Description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A accumulator of cooling Equipment}
본 고안은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관과 토출관 사이로 개재되어지는 기액분리용 필터가 견고히 고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는 냉동 싸이클에 의해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이송되는 냉매가 기체상태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원하는 냉동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관상의 몸체(100)의 하부로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적정량 충진된 상태로 유지되고 토출관(120)의 단부를 통해서는 기화된 냉매만이 압축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몸체(100)의 상단부로 삽착되어진 흡입관(110)과 토출관(12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격자망(40)으로 이루어진 필터(10)가 개재되어 증발기로부터 이송되어지는 냉매 중에 미처 기화되지 못한 액체상의 냉매가 토출관(12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10)를 어큐뮬레이터의 몸체(100) 내공간에 위치시키고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몸체(100)를 분할하여 분할된 단부를 필터(10)에 양측에서 외삽시켜 맞닿은 몸체(100) 단부 사이로 용접재를 투입하여 필터(10)를 고정시키거나 분할된 몸체(100)의 일측으로 필터(10)를 소정의 깊이만큼 삽착하고 외접된 부위로 용접재(20)를 이용하여 용접을 행한 후 분할된 몸체(100)의 결합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종래의 냉동설비에 이용되는 어큐뮬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동관이나 강관을 사용하고 원가의 절감과 작동시에 걸리는 작용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강관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강관의 내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발 등의 가공을 통한 인발관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인발 가공된 강관들은 설계시에는 충분한 내압 성능을 보유토록 되는 것이나 삽착되는 흡입관(110)과 토출관(120) 및 필터(10)의 용접에 의해 열처리되면서 내압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어 작용 압력에 의해 종종 어큐뮬레이터 몸체(100)가 부풀어지도록 변형되면서 흡입관(110)과 토출관(120)사이로 개재되어진 필터(10)가 이탈하게 되어 액상의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어지는 사고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필터(10)는 견고하게 삽착되어 고정되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그 외경을 몸체(100)의 내경보다 통상 0.3 밀리미터 내지 0.4 밀리미터 정도 크게 형성하고 압삽토록 하는 것이어서 그 사이로 충분한 양의 용접재(20)를 녹여 넣기가 쉽지 않았고 그에 따른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됨으로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가열에 따라 몸체(100)의 내압 성능이 현격히 떨어지게 되고 필터(10)의 견고한 부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필터의 외주 면에 충분한 양의 용접재가 충진되어지도록 충진공을 형성하여 몸체의 내주면에 끼워 넣고 용접을 행함으로서 용융되어진 용접재가 필터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필터를 견고히 고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의 "가" 내지 "다"는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의 몸체로 내삽되는 필터의 상태를 보이는 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필터 12: 기밀턱
14 : 충진공 20 : 용접재
30 : 용접링 40 : 격자망
100 : 몸체 110 : 흡입관
120 : 토출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구조상의 기능이 동일할 경우에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의 필터는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의 흡입관(110)과 토출관(120) 사이로 개재되고 적어도 1면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격자망(이 형성되어 액상의 냉매가 압축기로 흡입되어지지 않도록 하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의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10)의 외주 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충진공(14)이 적어도 1개 이상 마련된 기밀턱(12)이 일방을 향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입상되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충진공(14)은 필터(10)의 외주 면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진공(14)으로는 반고상(paste)의 용접재(20)가 충진되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10)는 어큐뮬레이터 몸체(100)에 내접되어지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1면에 소정의 눈금을 갖는 격자망(40)이 부착 형성되며 흡입관(110)의 직하방은 막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흡입관(110)으로 유입된 냉매 중에 기체 상태의 냉매는 토출관(120)으로 유입되고 액상의 냉매는 격자망(40)을 통해 어큐뮬레이터 몸체(100)의 하단에 모여 있다가 추후에 증발되어 토출관(120)으로 유입되어진다.
상기 필터(10)의 외주 면에 수직하도록 형성된 기밀턱(12)은 몸체(100)의 내벽에 밀착되어지도록 내삽 되어지는 것으로 기밀턱(12)의 주면에 형성된 충진공(14)으로는 반고상(Paste)의 용접재(20) 소정량이 충진 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용접재(20)는 보통 980℃ 내지 1020℃ 사이에서 용융되는 성질을 갖는인청동합금을 사용함으로서 동관으로 이루어진 흡입관(110)과 토출관(120)의 열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되어 바람직 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필터(10)를 몸체(100)의 내공간에 삽착하고 몸체(100)의 외측에서 약 1040℃의 온도로 용접을 행함으로서 용융된 용접재(20)가 삼투압에 의해 기밀턱(12)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짐으로서 삽착된 필터(10)는 견고히 고착되어지게되어 운전시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몸체(100)에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도 유동되어짐 없이 견고히 고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10)의 기밀턱(12)에는 외주 면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는 요입테(14`)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테(14`)에 고리형의 용접링(30)이 삽착 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용접링(30) 역시 용접열을 가함에 따라 용융되어 필터(10)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퍼지도록 됨으로서 몸체(100)의 내벽에 견고히 고착되어질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의 내주면과 내삽되어지는 필터 사이에 충분한 양의 용접재를 도포할 수 있도록 됨으로서 필터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관상의 몸체(100) 양단부에 각각 흡입관(110) 및 토출관(120)이 삽착되고 삽착된 흡입관(110) 및 토출관(120) 사이에는 소정의 눈금을 갖는 격자망(40)이 적어도 1면으로 부착되어진 필터(10)가 개재되어 냉동싸이클을 따라 순환하는 냉매의 기액 분리를 행하는 공지의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10)의 외주면에는 반고상의 용접재(20)가 충진되어지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충진공(14)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기밀턱(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몸체(100)의 내주면에 긴밀히 삽착되고 용접열에 의하여 용융된 용접재(20)가 기밀턱(12)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견고히 고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14)은 기밀턱(12)의 주면을 따라 연결되어지는 요입테(1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테(14`)로는 환형의 용접링(30)이 삽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KR2020010038941U 2001-12-17 2001-12-17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KR200270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41U KR200270413Y1 (ko) 2001-12-17 2001-12-17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41U KR200270413Y1 (ko) 2001-12-17 2001-12-17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413Y1 true KR200270413Y1 (ko) 2002-04-03

Family

ID=7311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941U KR200270413Y1 (ko) 2001-12-17 2001-12-17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4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237A (ko) * 2016-12-26 2018-07-04 김대수 증발기 배관에 내삽되는 압축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413531A (zh) * 2022-01-11 2022-04-29 河南新科隆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冷柜用新型储液罐及其加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237A (ko) * 2016-12-26 2018-07-04 김대수 증발기 배관에 내삽되는 압축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413531A (zh) * 2022-01-11 2022-04-29 河南新科隆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冷柜用新型储液罐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558B2 (en) Non-cylindrical refrigerant condui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90260785A1 (en) Heat plate with capillary suppor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482568B (zh) 用于换热器的换热管、换热器及其装配方法
JP2004190906A (ja) 熱交換器用フィン付き管、熱交換器、熱交換器用フィン付き管の製造装置および熱交換器用フィン付き管の製造方法
JP2005313233A (ja) 熱交換器の入口及び/又は出口パイプをヘッダパイプに初期取付けする方法
KR200270413Y1 (ko)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CN100433392C (zh) 半导体致冷设备专用翼管形散热器及其制备方法
US7181929B2 (en) Finned tube for heat exchangers, heat exchanger, apparatus for fabricating heat exchanger finned tube and process for fabricating heat exchanger finned tube
KR101514977B1 (ko) 브레이징 노를 이용한 콘덴서 헤더용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KR102158252B1 (ko) 동파방지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JP3899173B2 (ja) 熱交換器
AU2003286429B2 (en) Finned tube for heat exchangers, heat exchanger, apparatus for fabricating heat exchanger finned tube and process for fabricating heat exchanger finned tube
KR200406575Y1 (ko)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KR20160117376A (ko) 입출구파이프를 포함한 열교환기 제조방법
CN111288832B (zh) 集流管以及换热器
KR200270457Y1 (ko)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KR101694671B1 (ko) 입출구파이프를 포함한 열교환기 제조방법
KR101694670B1 (ko) 열교환기용 입출구파이프 연결부재
KR101608493B1 (ko) 어큐뮬레이터의 튜브 연결구조
JP3726045B2 (ja) アキュームレータ及び熱交換器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20076531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2066347B1 (ko) 유체 압력을 이용한 파이프 확관 장치
JP3441542B2 (ja) 熱交換器
US20240118045A1 (en) Heat exchanger
KR101288756B1 (ko) 냉매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