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100Y1 - 분실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실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100Y1
KR200270100Y1 KR2020010040044U KR20010040044U KR200270100Y1 KR 200270100 Y1 KR200270100 Y1 KR 200270100Y1 KR 2020010040044 U KR2020010040044 U KR 2020010040044U KR 20010040044 U KR20010040044 U KR 20010040044U KR 200270100 Y1 KR200270100 Y1 KR 200270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mobile phone
wireless
c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대근
Original Assignee
편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대근 filed Critical 편대근
Priority to KR2020010040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100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중화된 이동통신서비스시스템(휴대폰)과 무선호출서비스시스템(삐삐)을 하나의 서비스시스템으로 합하여 휴대폰과 무선호출경보기, 두 개의 단말기로 구성된 분실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두 개의 단말기들 중에서 휴대폰으로 무선호출경보기를 언제 어디든 신속하게 호출할 수 있으며, 이는 유 · 무선전화기에서 무선전화기의 위치를 모를 때 유선전화기 본체에 있는 호출 버튼을 누르면 무선전화기가 벨소리를 울려 위치를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나 그런 호출방식은 호출할 수 있는 거리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국 어디서든 작동이 가능한 이동통신과 무선호출시스템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휴대폰으로 호출된 무선호출경보기는 작동하여 경보음을 울리고 주위의 시선을 끌어서 위치를 알려 분실방지 및 분실 시에 빠른 조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두 개의 단말기안에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두 단말기가 일정한 거리로 떨어지면 경보음이 울린다.

Description

분실방지 시스템{Loss Prevention System}
본 고안은 일종의 호출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건을 분실하거나 혹은 본 고안의 발상의 계기가 된 미아방지시에 빠른 대처를 위해 기존의 이동통신서비스시스템과 무선호출서비스시스템을 한 시스템으로 합한 새로운 시스템과 센서를 내장하여 경보음이 울리는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위에서 많이 보이는 미아찾기 포스터를 보고 미아가 발생하였을 때 어떤 신속한 조치로 미아발생률을 낮추기 위한 고안으로 이미 대중화가 되어 우리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락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서비스시스템(휴대폰)과 무선호출서비스시스템(삐삐)을 이용하여 그 해결책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기존의 휴대폰과 삐삐는 서로 다른 서비스 지원을 받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다. 휴대폰과 삐삐는 서로 사용하는 번호가 달라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따로 가입을 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요즘은 휴대폰의 발달로 인해 삐삐는 그 사용도가 낮아져서 점점 사용하지 않게 되었고, 휴대폰은 통화, 문자 메세지 그리고 호출 등을 하게 되면서 점점 삐삐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서 발달하여 왔다.
본 고안에 따라 무선호출경보기를 가방이나 핸드백에 부착하거나, 또는 아이에게 착용시키기 위해서는 무선호출기의 그 크기가 휴대폰처럼 크지 않고 작아야하므로 본 고안의 무선호출경보기는 기존의 삐삐와는 달리 기능이 축소되게 고안되었다. 본 고안을 하게된 이유인 미아방지와 물건 분실방지를 위해서는 독립적으로 발달해온 기존의 시스템은 사용하기가 힘들다. 기존의 방식대로 독립된 이동통신서비스시스템과 무선호출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하면 휴대폰과 삐삐를 따로 구입하여야 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이동통신 및 무선호출시스템을 지원 받아야하므로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시스템관리가 체계적이지 못하다. 또한 두 단말기의 번호를 따로 외우고 있어야 하며 서비스 이용료도 따로 지불해야하므로 가계적으로 손실이 크다.
본 고안은 기존의 이동통신서비스시스템과 무선호출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 회사측에서 이 두 개의 시스템을 하나로 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여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미아방지 및 물건의 분실방지에 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의 모형도
<도면의 기호가 적힌 부분의 명칭>
1. 내장된 센서
2. 무선호출경보기의 on/off 버튼
3. 미아나 분실물이라고 적힌 스티커
4. 경보음이 나오는 스피커
5. 휴대폰의 수화기
6. 휴대폰의 송화기
7. 걸림고리
본 고안은 휴대폰을 생산하여 판매할 때에 휴대폰과 무선호출경보기를 한 세트로 생산한다. 이는 유 ·무선전화기를 생산할 때 무선전화기와 본체인 유선전화기를 한 세트로 생산하는 것과 같다. 휴대폰의 기능 중에서 문자 서비스와 휴대폰 호출 서비스가 있다. 그 중에서 휴대폰 호출서비스는 자신의 휴대폰으로 타인의 휴대폰을 호출하는 것이다. 또한 무선호출기인 삐삐의 기능도 전화로 그 삐삐의 번호를 호출하면 삐삐 사용자가 호출인에게 연락을 하게끔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바로 휴대폰과 삐삐의 이 서비스를 이용한다.
우선 휴대폰과 무선호출경보기를 가진다. 휴대폰으로 무선호출경보기를 호출할 때 호출하는 번호를 입력하는데 이때 휴대폰 번호와 끝에 숫자 2를 입력하고 호출을 하면 휴대폰과 한 세트인 무선호출경보기가 호출되어 작동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번호가 011-9999-1234일 경우 휴대폰의 메뉴에서, 문자 메시지-휴대폰 호출 순으로 메뉴를 선택한 다음 자신의 휴대폰 번호인 011-9999-1234와 끝에 2를 입력하여, 011-9999-12342를 입력한다. 그러면 무선호출경보기가 호출되어 작동이 되는 것이다. 끝에 숫자 2를 입력하는 것은 이 서비스에서 끝에 숫자 2가 휴대폰과 한 세트인 무선호출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휴대폰으로 자신의 번호를 입력하여 호출하면 자신의 휴대폰이 호출된다. 하지만 휴대폰과 무선호출경보기를 구분하는 입력번호 끝자리에 한자리의 숫자를 두어 그 오류를 예방한다.
본 고안에 따라 위와 같이 호출을 할 경우 무선호출경보기는 기존의 삐삐처럼 연락번호와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무선 호출 신호를 받으면 무선호출경보기는 경보음을 내고 액정화면에는 연락처가 뜬다. 이것이 본 고안이 기능이 축소되어 그만큼의 부피를 줄이고 크기를 작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무선호출기(삐삐)와 다른 점이다. 기존의 삐삐는 연락처나 음성 메세지가 수신되었을 때 수신 여부를 알리기 위해 벨소리가 났다. 하지만 본 고안의 무선호출경보기는 경보음이 나게 되어 있어 그 소리로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또한 주위의 시선을 집중시킨다. 기존의 무선호출서비스시스템은 자신의 삐삐번호로 전화를 걸어 음성 메시지확인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아 독립된 서비스시스템을 가져야 했지만 본 고안은 그러한 서비스를 없애고 단지 호출을 하였을 때 그 호출 신호로 무선호출기가 작동되게 한다. 그래서 무선호출경보기는 경보음을 내고 액정화면에 연락처가 뜨게 된다. 이렇게 하여 휴대폰의 호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무선호출경보기는 기존의 삐삐와 같이 부가적인 기능들을 없애고 단순화하여 소형이며, 휴대하기 편하게 제작한다. 그리고 무선호출경보기에 휴대폰처럼 폰줄을 걸 수 있게끔 걸림고리를 만들어 열쇠 고리를 달아 가방이나 핸드백등에 부착할 수 있게 하고, 또는 목에 거는 휴대폰줄을 달아 아이들의 목에 걸 수 있게끔 한다.
본 고안에 따라 미아가 발생했을 때에 부모가 신속히 호출을 하면 아이의 목에 걸어져 있는 무선호출경보기가 호출 신호를 받아 작동하여 경보음이 내면서 액정화면에 연락처가 뜬다. 이렇게 되면 주위의 사람들의 시선을 끌게 되어 주위 사람들의 도움으로 신속하게 부모에게 연락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부모와 떨어진 두려움으로 인해 아이가 말을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목에 걸린 무선호출경보기의 액정화면에 뜬 연락처로 빠르게 연락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연락처가 새겨진 목거리나 팔찌등을 아이가 착용하고 있어도 아이가 그저 울고만 있다면 주위의 시선을 끌기가 어렵지만 미아임을 알리는 경보음이 올린다면 주위의 관심을 보다 많이 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선호출경보기를 가방, 핸드백에 부착하여 분실 시에는 위와 같이 호출을 하여 찾을 확률을 높인다.
그리고 휴대폰에는 상대방 휴대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친구 찾기란 서비스가 있다. 예를 들어 011에서 제공하는 n.Top은 친구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면 그 위치를 알려주는 서비스시스템이 있다. 본 고안은 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무선호출경보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휴대폰과 무선호출경보기안에 센서를 내장하여 두 개의 단말기가 일정한 거리를 벗어나면 경고음이 울리게 되어 있어서 아이가 부모의 곁을 떠나거나 혹은 가방이나 핸드백과 같은 물건을 두고 이동하려고 할 때에 경보음이 울려서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아이가 부모의 곁에서 떨어지려고 할 때에 경보음이 울려 부모가 아이들을 챙길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무선호출경보기를 부착한 물건을 두고 이동하려고 해도 경보음이 울려 물건을 다시 챙기게 된다. 만약 그 경보음에 신경을 못 써서 물건을 분실을 하게 되거나 아이와 떨어지게 되었을 때에는 호출을 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측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을 도입하여 휴대폰의 기본요금에서 서비스 사용료를 저렴하게 청구하는 서비스를 새로 만들고, 휴대폰을 생산하는 측에서는 휴대폰과 함께 무선호출경보기를 같이 생산하여 한 세트로 생산하여 판매한다. 또한 안에 센서를 내장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의 기본적인 조건
<휴대폰의 조건>
1. 휴대폰에는 무선호출경보기를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와 위치확인 서비스메뉴가 있어야 한다.
2. 휴대폰에는 두 단말기에 내장된 센서를 on/off 시킬수 있는 key가 있어 때와 장소를 가려야 한다. 두 단말기 중에 하나의 전원을 껴서 때와 장소를 가린다고 할 때에 만약 무선호출기의 전원을 끈 상태로 물건을 분실하면 호출이 불가능하므로 별도로 센서작동 key가 필요하다.
<무선호출기의 조건>
1. 무선호출기는 기존의 호출기처럼 부가적인 기능 등은 없애고 호출시 경보음이 발생하고 액정화면에는 연락처가 떠야한다. 이는 기존의 삐삐는 음성확인 및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전화기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공받았기 때문에 두 단말기의 서비스가 독립적이였기 때문에 한가지의 서비스시스템으로 합하기 위한 조건이고, 또 여러 기능이 있으면 그에 따라 크기도 커지고 부피도 늘어나기 때문에 크기와 부피를 줄이기 위한 조건이다.
2. 무선호출경보기는 디자인과 크기에 유의해야한다. 무선호출기는 가방 등에 부착하거나 아이들의 목에 걸어 두기 때문에 무게와 크기, 그리고 시각적 디자인에 유의해야한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조건을 갖추어 본 고안의 실용성을 높였다.
본 고안은 이동통신과 무선호출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국의 어디서나 언제든지 미아가 발생했을 때나 물건을 분실하였을때 이용되며 또한 센서를 이용하여 분실예방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고안은 우리사회의 미아발생률을 낮추고 현대 정보통신의 또 다른 혁신이 될 것이다.

Claims (1)

  1. 휴대하기 용이하고 대중화가 되어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서비스시스템과 무선호출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하여 새롭게 미아방지 및 물건의 분실방지를 위해 고안된 실용화가 수월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이 특징인 분실방지 시스템.
KR2020010040044U 2001-12-15 2001-12-15 분실방지 시스템 KR200270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044U KR200270100Y1 (ko) 2001-12-15 2001-12-15 분실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044U KR200270100Y1 (ko) 2001-12-15 2001-12-15 분실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100Y1 true KR200270100Y1 (ko) 2002-03-28

Family

ID=7307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044U KR200270100Y1 (ko) 2001-12-15 2001-12-15 분실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1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3522B2 (en) Fold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US8755846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uses thereof
US20050272408A1 (en) Method for personal notification indication
US750260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80268780A1 (en) Wireless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20056775A (ko) 전화기에서 특정일 알림방법
JP2003284153A (ja) 携帯端末機器及び該携帯端末機器を用いた通信機器システム
KR200270100Y1 (ko) 분실방지 시스템
JP2010056584A (ja) 携帯型通信装置
HRP20030264A2 (hr) Mobilni telefon s pojednostavljenim biranjem ograničenog broja telefonskih brojeva
JP2010041701A (ja) 携帯型着信報知機及びそのシステム
JP3667087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
JP3023162U (ja) 携帯用通信機
JP3068863U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着信報知装置
KR20030056445A (ko) 약속메시지의 송·수신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JP4095545B2 (ja) メモリダイヤル式通信端末装置
JP3519969B2 (ja) 電話装置
JPH11331432A (ja) 電話ダイヤル信号発信機
JP2001101558A (ja) セキュリティ機能付き高齢者用携帯電話
KR20027863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수신 감지장치
FI114958B (fi) Kontaktipuhelin
WO2005020550A1 (en) A telecommunications device
KR20060007354A (ko) 블루투스 헤드셋 발신자번호표시 표시 및 장치
JP2003333130A (ja) 着信報知装置
JP2004007758A (ja) 無線電話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