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007Y1 - 연결용 튜브와 관 - Google Patents

연결용 튜브와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007Y1
KR200270007Y1 KR2020020000073U KR20020000073U KR200270007Y1 KR 200270007 Y1 KR200270007 Y1 KR 200270007Y1 KR 2020020000073 U KR2020020000073 U KR 2020020000073U KR 20020000073 U KR20020000073 U KR 20020000073U KR 200270007 Y1 KR200270007 Y1 KR 200270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bes
guide
guide portion
constit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202002000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007Y1/ko

Link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안내부(2, 4)를 구성한 튜브(1)나 관(3)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튜브(1)를 관(3)에 결합과 분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결합과 분리 시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노동력의 소모를 적게하여 효율적인 작업 결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용 튜브와 관{omitted}
.
본 고안은 안내부를 형성한 튜브나 관에 관한 것으로서, 양 측 기관에 형성된 각각의 고형화 된 관에 튜브를 빠르고 쉽게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각 기관과 기관에 형성된 고형화 된 관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고무와 같이 유연한 성질을 갖는 물질을 이용한 튜브를 만들어 관과 관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튜브나 관의 형태를 보면은 절단면이 표면에 대하여 일자형의 수직을 이루고 있어 튜브를 고형화 된 관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상당한 불편을 겪게 된다.
절단면이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튜브와 관을 이용한 작업 형태를 보면은 튜브의 일 측면을 한 쪽에 형성된 관에 끼워 결합을 시키고 튜브의 다른 쪽 측면을 다른 쪽 관에 끼우게 되는데 그 결합 과정이 쉽지 않다. 튜브를 관 쪽으로 밀면 튜브의 중간 부분이 꺽인 상태에서 튜브 홈의 일부분이 관에 끼워지고 삽입되지 않은 튜브의 나머지 상당한 부분이 관에 겹치게 된다. 이 상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를 좌우로 회전시켜 관에 튜브의 삽입 부분을 점차적으로 늘려 관에 튜브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 작업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된다.
관으로부터 튜브를 분리할 때에도 튜브와 관과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서 관이 튜브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튜브나 관에 안내부를 구성하여 각각의 관에 튜브를 빠르고 쉽게 연결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튜브 측면의 일부분을 돌출시켜 일 측면에 안내부를 형성한 튜브를 이용하여 관과 결합을 시킬 때 다음과 같이 작업이 진행된다. 안내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의튜브의 홈을 한쪽 관에 끼워 결합시킨 후 안내부가 형성된 튜브의 안내부를 손으로 잡고 튜브를 관 쪽으로 밀면 튜브 하단의 일부가 관의 하단과 결합하게되고 안내부는 관의 상단에 걸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튜브나 안내부를 관 쪽으로 밀거나 잡아 당기면 관의 하단에 결합된 튜브와 상단에 걸친 안내부에 의해서 튜브가 관으로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튜브를 관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는 안내부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려 반대편으로 꺽고 잡아당기어 쉽게 튜브를 관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하 양측에 안내부를 구성한 튜브는 양측의 안내부를 손으로 잡고 관에 튜브의 홈을 맞추어 안내부를 관 쪽으로 당기어 각각의 관에 튜브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분리할 때에도 양측의 안내부를 손으로 잡고 반대편으로 잡아당기어 튜브를 관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일 측에 경사 형태의 안내부를 구성한 관을 튜브에 결합시킬 때는 단면적이 표면에 직각인 튜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 과정을 보면은 다음과 같다. 튜브의 한쪽을 안내부가 형성되지 않은 관에 결합시키고 튜브의 다른 쪽을 안내부가 형성된 관에 끼워 관의 안내부를 따라 튜브를 삽입, 결합하도록 한다.
도 1의 (A)는 일 측면에 안내부를 구성한 튜브의 사시도이고 (B)는 상하 양측에 안내부를 구성한 튜브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의 (A), (B), (C),는 일 측면에 안내부를 구성한 튜브와 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 3의 (A), (B)는 일 측면에 안내부를 구성한 관에 튜브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튜브 2. 튜브의 안내부
3. 관 4.관의 안내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살시 예를 첩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는 일 측면에 안내부를 구성한 사시도이고 (B)는 상하 양측에 안내부를 구성한 튜브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1의 (A)는 튜브(1)의 원형 단면적의 일부를 돌출시켜 튜브(1)의 일 측면에 안내부(2)를 형성하여 관(3)과 결합, 분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안내부(2)를 튜브(1)의 좌우 양측에 구성할 수 있으며 돌출된 안내부(2)가 미관상, 안전상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때는 안내부(2)를 튜브(1)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절단선이나 절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의 (B)는 안내부(2)를 튜브(1)의 상하 양측에 형성한 것으로, 양측의 안내부(2)를 손으로 잡고 관(3)에 튜브(1)의 홈을 맞추어 안내부(2)를 관(3) 쪽으로 당겨 각각의 관(3)에 튜브(1)를 결합시키며 분리할 때에는 상하 양측의 안내부(2)를 손으로 잡고 반대편으로 끌어당기어 튜브(1)를 관(3)에서 분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튜브(1)의 안내부(2)를 다수개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의 (A), (B), (C)는 일 측면에 안내부를 구성한 튜브와 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 2의 (A)는 안내부(2)가 형성된 튜브(1) 부분이 부분단면 상태에서 관(3)과 결합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안내부(2)가 형성되지 않은 오른쪽의 튜브(1) 홈을 관(3)에 끼워 결합시키고 튜브(1)의 왼쪽에 형성된 안내부(2)를 손으로 잡고 관(3) 쪽으로 밀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B)는 안내부(2)가 형성된 튜브(1)의 홈이 관(3)과 결합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튜브(1) 하단의 일부가 관(3)의 하단과 결합하고 안내부(2)는 관(3)의 상단에 걸치게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튜브(1)나 안내부(2)를 관(3) 쪽으로 밀거나 잡아당기면 튜브(1)가 관(3)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그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 2의 (C)이다.
도 3의 (A), (B)는 안내부를 구성한 관과 튜브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 3의 (A)는 안내부(4)가 형성되지 않은 오른쪽의 관(3)에 튜브(1)를 결합시키고 경사 형태의 안내부(4)를 구성한 왼쪽의 관(3)에 튜브(1)를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관(3)의 안내부(4)를 따라 튜브(1)를 관(3) 쪽으로 밀어 튜브(1)를 관(3)에 삽입하여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 3의 (C)이다. 필요에 따라 관(3)의 안내부(4)를 각각의 관(3)에 형성할 수 있으며 튜브(1)와 관(3)에 안내부(2, 4)를 각각 설치하여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안내부(2, 4)를 구성한 튜브(1)나 관(3)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튜브(1)를 관(3)에 결합과 분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결합과 분리 시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노동력의 소모를 적게하여 효율적인 작업 결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측면을 돌출시켜 안내부를 형성한 튜브를 이용하여 관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튜브와 관.
  2.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내부를 형성한 관에 튜브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튜브와 관.
KR2020020000073U 2001-12-29 2001-12-29 연결용 튜브와 관 KR200270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073U KR200270007Y1 (ko) 2001-12-29 2001-12-29 연결용 튜브와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073U KR200270007Y1 (ko) 2001-12-29 2001-12-29 연결용 튜브와 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007Y1 true KR200270007Y1 (ko) 2002-03-25

Family

ID=7312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073U KR200270007Y1 (ko) 2001-12-29 2001-12-29 연결용 튜브와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0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3200B2 (ja) 配管部材用のコネクタ
JPS62237681A (ja) 雌コネクタ部材
TW201507654A (zh) 帶扣
US6995319B2 (en) Cord end cover
KR200270007Y1 (ko) 연결용 튜브와 관
JP4764262B2 (ja) 光ファイバコード牽引治具
CN216850496U (zh) Mpo连接器
EP1083374A3 (en) Connection apparatus for waterway pipe
JP4163223B2 (ja) 光コネクタ
EP1225462A3 (de) Optischer Steckverbinder
EP1257012A3 (en) Optical junction connector
KR20000005641A (ko) 전선공동구의연결부재
KR200493862Y1 (ko) 퀵 리바 커플러
KR20020075221A (ko) 버클
KR200238409Y1 (ko) 체결용 밴드
KR200251599Y1 (ko)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KR200161499Y1 (ko) 전선 안내구 및 전선관
JP3940480B2 (ja) 電線保護管用継手
JP4170885B2 (ja) 配線ボックス用アダプタ
JP4003196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193701Y1 (ko) 창틀프레임 조인트 구조
KR200193702Y1 (ko) 창틀프레임 조인트 구조
JPH0411992U (ko)
JP2004208459A (ja) らせん支持具用コネクタ
JPH08179163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