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501Y1 -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 - Google Patents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501Y1
KR200269501Y1 KR2020010039035U KR20010039035U KR200269501Y1 KR 200269501 Y1 KR200269501 Y1 KR 200269501Y1 KR 2020010039035 U KR2020010039035 U KR 2020010039035U KR 20010039035 U KR20010039035 U KR 20010039035U KR 200269501 Y1 KR200269501 Y1 KR 200269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ercussion
rotary arm
foot
percussion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제상
Original Assignee
윤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제상 filed Critical 윤제상
Priority to KR2020010039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501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악 놀이 및 리듬 교육을 위한 타악기 연주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을 이용하여 다양한 타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활용도에 한계가 있는 타악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Playing Apparatus of Percussion instrument by foot}
본 고안은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장기의 아동들이 놀이를 하면서 동시에 악기에 대하여 음감(音感) 및 박자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된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타악기는 손이나 채를 이용하여 악기를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 악기로 성장기 아동들의 놀이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성장기의 어린이들은 유치원이나 놀이방 등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이곳에서 선생님들과 함께 악기를 이용한 다양한 놀이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곳에서 선생님이나 어린이들이 여러가지 악기를 가지고 놀이를 하지만 타악기의 경우 악기의 특성상 한사람이 여러가지 악기를 연주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그 활용 정도가 많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타악기의 활용상의 단점을 극복하여 그 다양한 형태로 활용도를 높인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성장기의 아동들이 놀이를 하면서 동시에 음감 및 박자 감각을 익히고 악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어 아동들의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타악기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놀이용 타악기의 일 실시예.
도2는 도1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놀이용 타악기의 다른 실시예.
도4는 본 고안의 놀이용 타악기의 사용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놀이용 타악기의 또 다른 사용 상태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몸체 11.......... 쿠션
20.......... 받침대 21.......... 홈
30.......... 동작바 31.......... 고정축
32.......... 누름부 33.......... 회전팔 구동부
34.......... 오링
40.......... 회전팔 41.......... 악기 타격부
50.......... 악기 지지대 51.......... 악기
52.......... 회전축 53.......... 완충재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면에 쿠션(11)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일단이 인입되고 그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21)이 형성된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의 홈(21)에 내장되어 고정축(31)을 기준으로 상.하 운동하며 몸체(10)측으로는 누름부(32)가 형성되고 타단으로는 회전팔 구동부(33)가 형성된 동작바(bar,30)와, 상기 동작바(30)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팔 구동부(33)의 상.하 운동에의해 회전운동하며 일단은 축고정되고 타단에는 악기 타격부(41)가 설치된 회전팔(40)과, 상기 회전팔(40)이 측벽에 축고정되고 그 하단은 상기 받침대(20)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상단에는 악기(51)가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팔(40)과 대응되는 완충재(53)가 설치된 악기 지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악기의 연주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놀이용 타악기의 일 실시예이고, 도2는 도1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3는 본 고안의 놀이용 타악기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4은 본 고안의 놀이용 타악기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놀이용 타악기의 또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몸체(10)의 상면에 적정 두께의 쿠션(11)을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본 고안의 놀이용 타악기는 주로 성장기의 유아나 어린이들을 그 사용 대상으로 하므로 놀이 도중 미끄러짐이나 넘어짐에 의해 다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몸체의 형상은 본 실시예와 도면에서는 사각형으로 한정하여설명하고 있으나 그 형상은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재질 또한 넘어지거나 미끄러졌을 경우에도 안전한 프라스틱이나 합성 수지로 함이 바람직하다.
몸체(10)에는 받침대(20)를 설치하게 되는데, 몸체(10)에 일단이 인입되도록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받침대(2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21)이 형성된다.
받침대(20) 상면에 형성된 홈(21)에는 악기(51)를 타격할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고 전달하는 동작바(bar, 30)가 내장되도록 설치된다. 동작바(bar, 30)는 고정축(31)에 의해 홈(21) 내에 고정되어서 지렛대 역할을 한다. 동작바(bar, 30)의 일측, 즉 몸체(10)측으로는 누름부(32)가 형성되고 타단으로는 회전팔 구동부(33)가 형성되어 어린이들이 뛰면서 발로 누름부(32)를 밟게되면 고정축(31)에 고정된 동작바(bar,30)의 누름부(32)측은 아래로 내려가고 반대편의 회전팔 구동부(33)측은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바(30)는 누름부(32)를 밟기 전에는 회전팔 구동부(33)측이 낮은 위치에 있도록 무게 중심이 회전팔 구동부(33)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동작바(30)의 저면과 받침대(20)의 홈(21)의 상면 사이에는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링(34)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동작바(30)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팔 구동부(33)의 상.하 운동에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팔(40)은 일단은 악기 지지대(50)의 측벽에 회전축(52)으로 축고정되어 회전운동하고 타단에는 악기 타격부(41)가 설치되어 악기 지지대(50)의 상단에 설치된 악기(51)를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킨다.
이때 회전팔(40)의 악기 타격부(41)는 악기(51)를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킨후 반동에 의해 다시 악기(51)를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키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악기 타격부(41)의 동작을 방지하여 1회 음을 발생시킨 후에는 반동에 의해 악기 타격부(41)가 다시 악기(51)를 타격하지 못하도록 악기지지대(50)의 내측벽에 회전팔(40)과 대응되는 위치에 완충재(53)를 설치한다. 완충재(53)는 통상 고무 재질로 된 것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이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회전팔(40)의 악기 타격부(41)가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악기(51)가 설치되는 악기 지지대(50)는 그 하단은 상기 받침대(20)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상단에는 악기(51)가 설치된다. 그리고 내측 측벽에는 상기 회전팔(40)이 회전축(52)으로 축고정된다. 이러한 악기 지지대(50)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단에 설치되는 악기(51)만 다른 타악기로 교체하면 여러 종류의 타악기로 구성되는 놀이용 타악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는 그 배치를 도4 또는 도5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으며 또한 같은 배치 형태를 갖더라도 각각에 위치하는 악기를 바꿔 줌으로써 또 다른 형태를 구성할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는 타악기의 활용상의 단점을 극복하여 그 다양한 형태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는 성장기의 아동들이 놀이를 하면서 동시에 음감 및 박자 감각을 익히고 악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어 아동들의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면에 쿠션(11)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일단이 인입되고 그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21)이 형성된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의 홈(21)에 내장되어 고정축(31)을 기준으로 상.하 운동하며 몸체(10)측으로는 누름부(32)가 형성되고 타단으로는 회전팔 구동부(33)가 형성된 동작바(bar,30)와,
    상기 동작바(30)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팔 구동부(33)의 상.하 운동에의해 회전운동하며 일단은 축고정되고 타단에는 악기 타격부(41)가 설치된 회전팔(40)과,
    상기 회전팔(40)이 측벽에 축고정되고 그 하단은 상기 받침대(20)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상단에는 악기(51)가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팔(40)과 대응되는 완충재(53)가 설치된 악기 지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
KR2020010039035U 2001-12-18 2001-12-18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 KR200269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035U KR200269501Y1 (ko) 2001-12-18 2001-12-18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035U KR200269501Y1 (ko) 2001-12-18 2001-12-18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501Y1 true KR200269501Y1 (ko) 2002-03-22

Family

ID=7308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035U KR200269501Y1 (ko) 2001-12-18 2001-12-18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5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535B2 (en) Tethered ball game having targets and indicators
US5133551A (en) Sound producing game bat
CN103680480B (zh) 声学鼓
US4090705A (en) Jump rope
CN100476948C (zh) 具有高度可控制踏板的键盘乐器
JP2007206489A (ja) 打楽器
KR200269501Y1 (ko) 발을 이용한 타악기의 연주장치
CN203085178U (zh) 一种可随运动节奏调整韵律的音乐器械
US5331110A (en) Musical box
KR101349012B1 (ko) 타격 게임형 상지 운동장치
US4480400A (en) Bouncing toy
US5011450A (en) Sound producing toy with drive mechanism for movable figure
US2873639A (en) Toy piano having key mounted tone bars
JPH067749Y2 (ja) ピアノと鉄琴を搭載した車輪走行玩具
CN218069330U (zh) 一种乐器往复式动作装置及演奏乐器
JP6834755B2 (ja) 鍵盤楽器
CN2584253Y (zh) 一种益智动感音乐装置
JP2020187264A (ja) 回転式楽器
CN203552673U (zh) 脚踏式珠球演奏乐器
JPH04128792U (ja) 旋律を合奏可能な打楽器玩具
CN216934392U (zh) 一种电子颂钵
CN214705407U (zh) 一种乐器敲打装置
KR100574300B1 (ko) 점자 실로폰 연주기
JP3060595U (ja) 樹木型楽器装置
CN106448627A (zh) 一种练习用智能型架子鼓军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