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300B1 - 점자 실로폰 연주기 - Google Patents

점자 실로폰 연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300B1
KR100574300B1 KR1020040016451A KR20040016451A KR100574300B1 KR 100574300 B1 KR100574300 B1 KR 100574300B1 KR 1020040016451 A KR1020040016451 A KR 1020040016451A KR 20040016451 A KR20040016451 A KR 20040016451A KR 100574300 B1 KR100574300 B1 KR 10057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xylophone
braille
keyboard
player
music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212A (ko
Inventor
정남용
김도한
박기범
변성근
김규남
홍동우
Original Assignee
정남용
김도한
박기범
변성근
김규남
홍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남용, 김도한, 박기범, 변성근, 김규남, 홍동우 filed Critical 정남용
Priority to KR102004001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30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2Writing aids for blin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 실로폰 연주기 및 점자 건반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반에 계이름이 점자로 성형된 실로폰 연주기 및 건반악기를 개발하여 시각장애인이 실로폰은 물론 다양한 건반악기를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는 일측에 실로폰(5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110)가 형성된 몸체부(100)와; 외측 단부에 꼭지(210)가 마련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꼭지(210)가 실로폰(500)의 음판(510)을 타격 가능하도록 그 중단이 상기 몸체부(100)에 지지된 다수개의 채(200)와; 상기 채(200)의 꼭지(210)가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상승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300)과; 상기 채(200)의 내측 하단부와 접촉하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에 그 중단이 지지되어 누름에 따라 상기 채(200)의 내측 단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계이름이 각각 점자(410)로 성형된 다수개의 건반(400)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점자 건반악기는 건반의 누름에 따라 음원이 발생하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건반에는 각각 계이름이 점자로 성형된 것으로 구성되어, 시각장애인도 실로폰의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초보 교습자도 건반악기의 연주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몸체부, 받침대, 걸림턱, 채, 꼭지, 탄성수단, 건반, 점자, 실로폰, 음판, 건반악기

Description

점자 실로폰 연주기{Device for playing a xylophone for the blind}
도 1은 일반적인 실로폰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에 대한 건반을 누르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에 대한 건반을 누른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받침대
120 : 걸림턱 200 : 채
210 : 꼭지 300 : 탄성수단
400 : 건반 410 : 점자
500 : 실로폰 510 : 음판
본 발명은 점자 실로폰 연주기 및 점자 건반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반에 계이름이 점자로 성형된 실로폰 연주기 및 건반악기를 개발하여 시각장애인이 실로폰은 물론 다양한 건반악기를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시각장애인도 실로폰의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초보 교습자도 건반악기의 연주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로폰은 조율된 나뭇조각 혹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음판을 음계순으로 늘어놓고 채로 쳐서 소리내는 타악기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실로폰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실로폰(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계에 맞춰 각기 길이가 다른 음판(11)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꼭지(12a)가 마련된 채(12)로 상기 음판(11)을 타격 함에 따라 음판(11)이 진동하면서 음원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건반악기는 음계에 맞춰 건반이 횡으로 배열되어 있어 연주자가 건반을 누름에 따라 고유의 음원을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일반적인 실로폰은 연주시 채로 적절한 음판을 타격 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실로폰 연주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 다.
또한, 일반적인 건반악기의 경우 일정 수준에 이르는 연주자에게 건반악기의 연주가 가능하지만 교습단계인 초보의 시각장애인 연주자에게는 상기한 일반적인 건반악기의 연주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점자 실로폰 연주기 및 점자 건반악기를 이용하여 실로폰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건반악기를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도 실로폰의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초보 교습자도 건반악기의 연주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자 실로폰 연주기 및 점자 건반악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는 일측에 실로폰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된 몸체부와; 외측 단부에 꼭지가 마련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꼭지가 실로폰의 음판을 타격 가능하도록 그 중단이 상기 몸체부에 지지된 다수개의 채와; 상기 채의 꼭지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승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채의 내측 하단부와 접촉하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그 중단이 지지되어 누름에 따라 상기 채의 내측 단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계이름이 각각 점자로 성형된 다수개의 건반으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자 건반악기는 건반의 누름에 따라 음원이 발생하는 건반 악기에 있어서, 상기 건반에는 각각 계이름이 점자로 성형된 것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에 대한 건반을 누르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에 대한 건반을 누른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실로폰(5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110)가 형성된 몸체부(100)와; 외측 단부에 꼭지(210)가 마련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꼭지(210)가 실로폰(500)의 음판(510)을 타격 가능하도록 그 중단이 상기 몸체부(100)에 지지된 다수개의 채(200)와; 상기 채(200)의 꼭지(210)가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상승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300)과; 상기 채(200)의 내측 하단부와 접촉하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에 그 중단이 지지되어 누름에 따라 상기 채(200)의 내측 단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계이름이 각각 점자(410)로 성형된 다수개의 건반(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점자 건반악기는 건반의 누름에 따라 음원이 발생하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건반에는 각각 계이름이 점자로 성형된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와 점자 건반악기의 작용을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로폰(5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받침대(110)가 일측에 일체로 마련된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그 중단이 지지되는 다수개의 건반(400)과 채(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채(200) 및 건반(400)은 상기 몸체부(100)의 받침대(110)에 고정된 실로폰(500)의 음판(510)에 대응하도록 다수개가 횡으로 배열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100)에 그 중단이 지지되며, 점자(410)가 성형된 건반(400)의 외측단을 누름에 따라 연동하여 채(200)의 외측단인 꼭지(210)가 실로폰(500)의 음판(510)을 타격 하게 되는 것이다.
즉, 계이름이 점자(410)로 성형된 건반(400)의 외측단을 누르게 되면, 상기 건반(400)의 내측단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건반(400)의 내측단과 접촉한 채(200)의 내측단이 상승하게 되면서 채(200)의 외측단인 꼭지(210)가 실로폰(500)의 음판(510)을 타격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에는 회동에 따라 실로폰(500)의 음판(510)을 타격 하게 되는 채(200)를 항상 원래의 위치, 즉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복귀시킬 수 있는 탄성수단(300)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300)은 일측이 상기 몸체부(1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채(200)의 중단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즉, 꼭지(210)가 형성된 채(200)의 외측단을 항상 상승시킬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300)을 상기 몸체부(100)와 채(200) 사이에 고정시킴으로써, 건반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수단(300)이 탄성적으로 수축하여 채(200)의 꼭지(210)를 상승시키고, 건반(400)을 누르면 상기 탄성수단(300)이 탄성적으로 신장하면서 채(200)의 꼭지(210)가 실로폰(500)의 음판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부(100)에는 상기 건반(400)의 반시계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20)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채(200)가 탄성수단(300)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하여 그 내측단이 건반(400)의 내측단을 하강시키더라도 상기 걸림턱(120)이 상기 건반(400)의 내측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건반(400)을 항상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건반(400)을 누르지 않은 경우와 건반(400)을 누른 경우를 각각 구분하여 명확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연주자가 건반(40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300)인 코일스프링이 수축하면서 상기 채(200)의 꼭지(210)를 탄성적으로 상승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채(200)의 내측 단부가 상기 건반(400)의 내측 단부 상측면을 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건반(400)의 내측 단부는 걸림턱(120)에 지지되어 수평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연주자가 건반(400)을 누르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반(400)의 내측 단부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수단(300)인 코일스프링이 탄성적으로 신장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건반(400)의 내측단부가 채(200)의 내측단부를 상승시켜 채(200)의 꼭지(210)가 실로폰(500)의 음판(510)을 타격 하게 되면서 음원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자 실로폰 연주기는 건반(400)에 각각의 계이름이 점자(410)로 성형되어 있어 시각장애인이 점자(410)에 따라 각각의 건반(400)을 손쉽게 누를 수 있어 시각장애인도 실로폰(500) 연주가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점자 건반악기는 건반의 누름에 따라 음원이 발생하는 건반악기의 건반에 각각 점자를 성형하여 초보 교습자인 시각장애인도 용이하게 건반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점자 실로폰 연주기 및 점자 건반악기를 이용하여 실로폰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건반악기를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도 실로폰의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초보 교습자도 건반악기의 연주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일측에 실로폰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된 몸체부와;
    외측 단부에 꼭지가 마련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꼭지가 실로폰의 음판을 타격 가능하도록 그 중단이 상기 몸체부에 지지된 다수개의 채와;
    상기 채의 꼭지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승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채의 내측 하단부와 접촉하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그 중단이 지지되어 누름에 따라 상기 채의 내측 단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계이름이 각각 점자로 성형된 다수개의 건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실로폰 연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채의 중단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실로폰 연주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건반의 일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실로폰 연주기.
  4. 삭제
KR1020040016451A 2004-03-11 2004-03-11 점자 실로폰 연주기 KR100574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451A KR100574300B1 (ko) 2004-03-11 2004-03-11 점자 실로폰 연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451A KR100574300B1 (ko) 2004-03-11 2004-03-11 점자 실로폰 연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212A KR20050091212A (ko) 2005-09-15
KR100574300B1 true KR100574300B1 (ko) 2006-04-26

Family

ID=3727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451A KR100574300B1 (ko) 2004-03-11 2004-03-11 점자 실로폰 연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882B1 (ko) * 2014-11-18 2015-03-30 (주)원앤티에스 실로폰 플레이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212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9354B2 (ja) 電子鍵盤楽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97590B1 (ko) 건반악기 및 건반악기용 타현세기조절장치
US8664497B2 (en) Double keyboard piano system
US20010003942A1 (en) Electronic musical toy instrument
KR100574300B1 (ko) 점자 실로폰 연주기
US20050284283A1 (en) Musical drum practice pads
JP4699553B2 (ja) 鍵盤楽器、音板を有する楽器
EP2795610B1 (en) Percussion instrument
SU1072826A3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обучени игре на клавишных музыкальных инструментах
US6660917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fall board formed with clearance for fingers
KR101113689B1 (ko) 기타 운지 보조장치
JP3136758U (ja) 両端ゴム製球部設置マレット
US2192077A (en) Transposing keyboard
JP3110503U (ja) 音盤組み替え式打楽器
JP6394737B2 (ja) 電子鍵盤楽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180295A1 (es) Piano híbrido acústico
CN205751487U (zh) 一种多面简谱琴
WO2019087308A1 (ja) 発音装置
WO2006083185A8 (en) The cheock 12 dimension music code with decoders
KR20180083509A (ko) 점자가 구비된 건반 장치
JP2538046Y2 (ja) 楽器用鍵盤
US970845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inoshita et al. Characteristics of keystroke force in the piano
KR20050037282A (ko) 연주하기 용이한 기타
KR200305515Y1 (ko) 타악기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