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689B1 - 기타 운지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기타 운지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689B1
KR101113689B1 KR1020090118090A KR20090118090A KR101113689B1 KR 101113689 B1 KR101113689 B1 KR 101113689B1 KR 1020090118090 A KR1020090118090 A KR 1020090118090A KR 20090118090 A KR20090118090 A KR 20090118090A KR 101113689 B1 KR101113689 B1 KR 10111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ingering
guitar
unit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439A (ko
Inventor
이병채
신창민
천창욱
유동규
권영록
정광연
임은옥
성민기
김동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1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6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으로 기타 현을 누르면서 코드를 집지 않고, 버튼 하나로 간편하게 코드를 집을 수 있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타 운지, 코드 운지

Description

기타 운지 보조장치{Apparatus for Assisting Fingering of Guitar}
본 발명은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으로 기타 현을 누르면서 코드를 집지 않고, 버튼 하나로 간편하게 코드를 집을 수 있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는 현을 손가락으로 뜯거나 피크 등으로 쳐서 소리를 내는 발현악기로서, 통기타, 어쿠스틱기타, 베이스기타, 클래식기타, 전기기타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도 1은 종래의 기타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기타는 기타본체(100), 기타넥(200), 기타헤드(300)로 구성된다.
종래의 기타에서는 상기 기타넥(200) 상면에 형성된 지판(220)에 음쇠(240)가 기타넥(200)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기타본체(100)로부터 기타헤드(300)까지 현(A)이 팽팽하게 연결되어 있고, 기타넥(200)의 상면에 설치된 지판(220) 위에는 발현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음쇠(24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타는 대중적인 악기이긴 하지만, 연습을 충분히 하지 않은 초보자는 연주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반주를 하는 경우 코드를 운지하여야 하는데, 초보자에게는 더욱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코드를 운지하는 데 어려운 이유로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첫째로 코드의 운지 위치를 암기해야 하는데, 코드마다 운지해야 하는 지점이 3개에서 많게는 6군데까지 있다. 이것을 악보에 있는 코드를 보고 바로 운지하려면 코드마다 운지해야 하는 위치를 기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둘째로 손가락으로 기타 현을 눌러줘야 하는데, 기타의 현을 손가락으로 누를 때, 손각락으로 큰 압력이 전해지면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숙련자의 경우 손가락 끝에 굳은살이 생기면서 연주가 쉬어지지만, 초보자에게는 굳은살이 없어서 연주할 때 손가락이 많이 아프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공개특허 10-2009-0085005호에서는, 왼손으로 기타의 음을 짚어내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른손으로 스트럼하는 것을 입력받기 위한 현과, 현이 퉁겨지는 것을 감지하는 현센서, 그리고 왼손으로 자판위의 현을 쵸킹하거나 풀링, 그리고 슬라이딩하는 등의 연주동작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센서, 그리고 자동으로 음을 짚어주기 위해 필요한 곡의 악보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그리고 출력을 위한 스피커, 그리고 외부메모리 등 외부기기들과 연결을 위한 각종 외부 단자, 그리고 음량, 전원, 메뉴버튼 등의 각종 조절버튼, 그리고 각종 조작상황 및 가사 등을 나타내 주는 모니터, 그리고 이러한 부분들을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선택한 곡이 연주되기 시작하면, 현재 연주시점에 맞는 음이 오른손에 의한 탄현신호 및 왼손에 의한 변조신호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 스피커로 출력된다. 다만, 이는 기타에 대한 학습효과는 전혀 없으며, 오직 디지털 효과를 이용한 쉬운 기타 연주를 제공하는 것일 뿐이다.
다음으로,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9-0004712호에서는 기타 넥 형상으로 형성된 코드학습기구를 이용하여 기타코드를 배울 때 기타의 어느 부분을 눌러야 어떤 코드인지 알려줌으로써 기타코드를 쉽게 배우도록 하는 기타코드 학습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이는 코드표시 확인 홈과 플랫구분 바가 기타목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코드표시판에 표시된 표시들을 기타의 어느 곳을 눌러야 하는지 알려주는 플랫보드; 코드판 사용 손잡이와 코드판 복원 손잡이와 코드판 제어 홈이 형성되어서 동작이 제어되고 코드표시판이 형성되어서 표시된 코드를 제어하는 코드판, 플랫보드를 고정시키고 코드판을 제어하는 플랫보드 고정 및 코드판 제어돌기가 형성된 플랫보드 고정 및 코드판 제어수단, 여러개의 코드판이 동시에 선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코드판 제어기, 플랫보드를 고정시 코드판 복원 손잡이 홀의 반대쪽으로 빠져나오는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플랫보드 제어기, 코드판을 지지할 장소인 코드판 지지수단과 플랫보드를 고정할 장소인 플랫보드 고정 돌기와 플랫보드 제어기를 고정시킬 플랫보드 제어기 고정 수단과 코드판 제어기를 고정시킬 코드판 제어기 고정수단과 플랫보드 고정 및 코드판 제어돌기를 끼울 플랫보드 고정 및 코드판 제어돌기 끼움 홀이 모두를 지지해 줄 전체지지대가 포함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타코드 암기 시 어느 플랫의 어느 줄을 눌러야 하는지 정확하고 빠르고 쉽게 알려줌으로써 기타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 기타코드를 쉽게 배우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기타 코드의 학습 효과는 제공하고 있으나, 기타를 연주할 때 왼손 손각락의 통증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는 코드마다 운지해야 하는 지점을 기억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버튼 하나로 단순하게 코드가 운지됨으로써 코드의 운지 위치를 암기해야 하는 어려움을 제거하여, 기타에 대한 교육을 전혀 받지 않고도 간단하게 코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기타 코드의 운지 위치를 암기하고, 연주할 수 있게 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기타 코드 암기시 어느 플랫의 어느 줄을 눌러야 하는지 정확하고 빠르고 쉽게 알려줌으로써 기타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 기타 코드를 쉽게 배우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타의 줄을 손가락으로 누를 필요가 없어, 손가락 끝에 굳은살이 없는 경우에도 연주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의 현을 눌러주어 기타 코드의 운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있어서, 기타 넥(200)의 일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0)과, 조작부(4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기타 현을 누르는 누름 돌기(37)가 설치되는 회 전블럭(30)과, 상기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래크(rack) 기어(2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기어와, 중심축(55)에 제공되는 회전지지부(56)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블럭(30)은,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와, 회전지지부(34)를 포함한다.
상기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상기 기어부(50)의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상기 회전블럭(30)의 상기 회전기어부(33)와 맞물린다.
상기 몸체부(31)의 옆면에는 상기 누름 돌기(37)가 삽입되는 홈(32)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돌기(37)는 상기 홈(32)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의 현을 눌러주어 기타 코드의 운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있어서, 기타 넥(200)의 일부를 덮도록 제공되고, 제2 상면(13)과, 상기 제2 상면에서 연장형성되고 양측에 제공되는 두 개의 제2 측면(14)과, 상기 제2 상면(13)의 상측에 제공되는 두 개의 제1 측면(12)과, 상기 두 개의 제1 측면(12)을 연결하는 제1 상면(11)을 포함하는 하우징(10)과, 조작부(40)와, 상기 두 개의 제1 측면(12)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0)와, 상기 두 개의 제2 측면(14) 사이에 제공되고, 기타 현을 누르는 누름 돌기(37)가 설치되는 회전블럭(30)과, 상기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래크(rack) 기어(2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기어와, 중심축(55)에 제공되는 회전지지부(56)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블럭(30)은,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와, 회전지지부(34)를 포함한다.
상기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상기 기어부(50)의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상기 회전블럭(30)의 상기 회전기어부(33)과 맞물린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의 현을 눌러주어 기타 코드의 운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있어서, 기타 넥(200)의 일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0)과, 조작부(4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기타 현을 누르는 누름 돌기(37)가 설치되는 4개의 회전블럭(30)과, 상기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각각의 상기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래크(rack) 기어(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제1 기어(51)와, 제2 기어(52)와, 제3 기어(53)와, 제4 기어(54)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블럭(30)은,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을 포함하고, 상기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상기 기어부(50)의 제1 기어(51)와 맞물리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상기 회전블럭(30)의 상기 회전기어부(33)와 맞물린다.
상기 제2 기어(52)와, 상기 제3 기어(53)와, 상기 제4 기어(54)의 기어 회전비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의 현을 눌러주어 기타 코드의 운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있어서, 기타 넥(200)의 일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0)과, L 자의 형상이고, 일부에는 기어 날(43)이 제공되는 3개의 조작부(4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기타 현을 누르는 누름 돌기(37)가 설치되는 회전블럭(30)과, 상기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래크(rack) 기어(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제1 기어(51)와,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조작부(40)의 기어 날(43)과 각각 맞물리는 제2 기어(52), 제3 기어(53) 및 제4 기어(54)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블럭(30)은,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를 포함하고, 상기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상기 기어부(50)의 제1 기어(51)와 맞물리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상기 회전블럭(30)의 상기 회전기어부(33)와 맞물린다.
상기 제2 기어(52)와, 상기 제3 기어(53)와, 상기 제4 기어(54)의 기어 회전비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하우징(10)과 탄성스프링(45)으로 결합되어, 조작 후 힘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회복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의 현을 눌러주어 기타 코드의 운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있어서, 기타 넥(200)의 일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0)과, 조작부(4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기타 현을 누르는 누름 돌기(37)가 설치되는 4개의 회전블럭(30)과, 상기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각각의 상기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래크(rack) 기어(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제1 기어(51)와, 제2 기어(52)와, 제3 기어(53)와, 제4 기어(54)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블럭(30)은,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을 포함하고, 상기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상기 기어부(50)의 제1 기어(51)와 맞물리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상기 회전블럭(30)의 상기 회전기어부(33)와 맞물리고, 상기 누름 돌기(37)는 눌러지는 경우 빛을 발하는 발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기타 코드를 운지할 때 손가락의 통증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누르는 부분이 줄이 아니라 줄을 누르는 부분이 장착된 판 형태이므로 큰 힘을 손가락의 통증없이도 줄 수 있어서 연주시 손가락의 통증이 제거된다.
2. 실제 기타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기존에 연주하는 방식으로 연주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왼손으로 코드를 잡는 대신 버튼을 누르고, 오른손으로 기타를 튕기기만 하면 원하는 코드 연주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3. 사용자가 코드를 운지하는 방법을 몰라도 연주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는 코드에 따라서 운지해야 하는 부분을 누를 수 있는 기구를 미리 장착해두고, 사용자는 무슨 코드인지 악보에서 보고 그 코드에 해당하는 버튼 1개를 선택하기만 하면, 그 버튼에 해당하는 코드가 자동으로 운지된다.
4. 사용자가 추후에 기계의 도움이 없이 연주가 가능하도록 교육의 효과를 높인다. 코드 입력은 사용자가 직접함으로써 코드의 위치를 입력할 때마다 인식하게 되어 교육적인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개략적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코드를 운지하는 부분인 기타 넥(200)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크게 하우징(10)과, 조작부(40)와, 기어부(50)와, 회전블럭(30)과, 래크(rack) 기어(20)로 구성된다.
도 2는 연주자의 눈으로 보게 되는 하우징(10)을 제거하는 경우, 기어부(50)와, 회전블럭(30)과, 래크(rack) 기어(20)의 유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기어부(50)에 제공된 각각의 기어는 서로 다른 직경(혹은 다른 회전비)을 갖도록 되어 있고, 어느 기어를 회전시키느냐에 따라 기어부(50)의 회전하는 각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축으로 연결된 기어부는 회전동력을 래크 기어(20)로 전달한다. 따라서 기어부(50)의 회전하는 각도가 차이가 있으면, 래크 기어(20)가 움직이는 길이도 달라지게 된다.
래크 기어(20)는 모든 회전블럭(30)과 연결되어 있는데, 래크 기어(20)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 모든 회전블럭(30)이 한꺼번에 조작부에 따라 정해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이때, 래크 기어(20)가 움직인 길이에 따라 회전블럭(30)이 회전하는 각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회전블럭(30)의 회전기어부(33)는 모두 같은 반지름의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수개의 회전블럭(30)은 항상 같은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회전블럭(30)에는 기타 현을 눌러서 운지 기능을 수행하는 누름 돌기((37)가 제공된다. 따라서, 각각의 조작부(40)를 눌렀을 때, 회전블럭(30) 원하는 회전각을 미리 설정하여, 눌러져야 할 코드에 해당하는 부분에 누름 돌기(37)를 제공하면, 조작부(40)를 누르는 것만으로 코드를 운지할 수 있게 되는 원리이다.
일반적으로 조작부(40)를 누르기 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드 운지 보조장치는 약간 기타 넥(20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야 하고, 조작부를 누름과 동시에 손으로 힘을 가하면 하우징(10)이 전체적으로 아래로 눌리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주자가 하우징(10)을 전체적으로 누르게 되면 회전블럭(30)의 면이 기타 넥(200)과 가까워지면, 누름 돌기(37)가 기타 현을 누르게 되는 것으로 기타의 운지가 완료된다.
다시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1) 왼손 손가락으로 운지할 코드에 해당하는 조작부(40)를 누르고, 2) 조작부(40)를 누름과 동시에 왼손으로 하우징을 기타 쪽으로 누르고, 3) 코드 운지가 완료되면 연주자는 오른손으로 기타 줄을 튕겨서 연주를 한다. 4) 코드가 바뀔 때 마다 상기 1) 내지 3)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코드 운지 보조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하였고, 이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정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조작부(40)는 기타 연주자가 코드를 집는 대신에 누를 수 있도록 버튼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조 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에서는 L 자형의 조작부(40)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주자가 힘을 가하여 그 힘을 기타 운지 보조장치 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특히 조작부(40)의 일부에는 기어 날(43)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 날(43)은 후술할 기어부(50)의 기어와 맞물리게 되며, 조작부(40)가 직선운동을 하는 경우, 기어부(50)는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조작부(40)는 상기 하우징(10)과 탄성스프링(45)으로 결합되어, 조작 후 원상태로 회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부(50)는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기어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기어와, 중심축(55)에 제공되는 회전지지부(56)을 포함한다. 기어의 갯수는 사용되는 조작부(40)의 갯수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7에서는 4개의 기어를 사용한 실시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제1 기어(51)와, 제2 기어(52)와, 제3 기어(53)와, 제4 기어(54)가 그것이다. 각각의 조작부(40)는 각각의 기어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제2 기어(52)와, 제3 기어(53)와, 제4 기어(54)의 기어 회전비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 각각의 회전비를 다르게 구성하여야, 각각의 조작부(40)의 운동에 따른 기어부(50)의 회전각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기어부(50)가 회전하면, 후술할 래크 기어(20)가 기어부(50)의 회전량 만큼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래크 기어(20)와 맞물려 있는 회전블럭(30)의 회전각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떠한 조작부(40)를 누르느냐에 따라 회전블럭(30)의 회전각에 차이가 발생하고, 최대 회전각일 때 기타 넥(200)과 접하는 부분에 누름 돌기(37)가 제공되어 기타 현을 누르게 된다.
회전블럭(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와, 회전지지부(34)를 포함한다.
몸체부(31)의 형상을 각기둥으로 하였으나, 원기둥의 형태로 제공되어도 가능하나, 가공상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6각기둥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블럭(30)은 4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코드의 난이도에 따라 더 많은 회전블럭(30)이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기타 코드 상 손가락 4개 이상을 요구하는 코드는 흔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4개를 제시하고 있다.
회전블럭(30)은 연주자의 손가락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회전블럭(30)에 제공되는 누름 돌기(37)는 손가락이 기타 현을 누르는 부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몸체부(31)의 각 기둥의 옆면에는 누름 돌기(37)가 삽입되는 홈(32)을 포함한다. 누름 돌기(37)는 홈(32)에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이다. 연주자는 연주하고자 하는 곳에 해당하는 코드를 선택하여 회전블록(30)에 누름 돌기(37)를 장착한다. 선택할 수 있는 코드의 수는 회전블럭(30)의 면의 수와 같다. 즉, 6각기둥의 몸체부(3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6개의 코드를 사전에 장착할 수 있다. 연주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코드를 사전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반복적으로 코드를 습득할 수 있어 교육적인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래크 기어(20)는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래크 기어의 사시도이다.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기어부(50)의 기어와 맞물린다. 특히, 제1 기어(51)에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회전블럭(30)의 회전기어부(33)와 맞물린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0)은 기타 넥(200)의 일부를 덮도록 제공되고, 제2 상면(13)과, 제2 상면에서 연장형성되고 양측에 제공되는 두 개의 제2 측면(14)과, 제2 상면(13)의 상측에 제공되는 두 개의 제1 측면(12)과, 두 개의 제1 측면(12)을 연결하는 제1 상면(11)을 포함한다.
이때, 기어부(50)는 두 개의 제1 측면(12) 사이에 제공되고, 회전블럭(30)은 두 개의 제2 측면(14)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측면에는 기어부(50)의 회전지지부(56)가 삽입되기 위한 제1 구멍(17)이 제공되고, 제2 측면(14)에는 회전블럭(30)의 회전지지부(34)가 삽입되기 위한 제2 구멍(18)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구멍(17) 및 제2 구멍(18)은 기어부(50) 및 회전 블럭(30)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누름 돌기(37)는 눌러지는 경우 빛을 발하는 발광체로 만들어진다면, 시각적인 효과를 더욱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변경, 개량 내지 수정된 기술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타 형상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개략적 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기어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회전블럭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래크 기어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의 조작부의 사시도.

Claims (15)

  1. 기타의 현을 눌러주어 기타 코드의 운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있어서,
    기타 넥(200)의 일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0)과,
    조작부(4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기타 현을 누르는 누름 돌기(37)가 설치되는 회전블럭(30)과,
    상기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래크(rack) 기어(20)를 포함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기어와,
    중심축(55)에 제공되는 회전지지부(56)을 포함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럭(30)은,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와,
    회전지지부(34)를 포함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상기 기어부(50)의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상기 회전블럭(30)의 상기 회전기어부(33)와 맞물리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1)의 옆면에는 상기 누름 돌기(37)가 삽입되는 홈(32)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돌기(37)는 상기 홈(32)에 탈부착이 가능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
  6. 기타의 현을 눌러주어 기타 코드의 운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있어서,
    기타 넥(200)의 일부를 덮도록 제공되고, 제2 상면(13)과, 상기 제2 상면에서 연장형성되고 양측에 제공되는 두 개의 제2 측면(14)과, 상기 제2 상면(13)의 상측에 제공되는 두 개의 제1 측면(12)과, 상기 두 개의 제1 측면(12)을 연결하는 제1 상면(11)을 포함하는 하우징(10)과,
    조작부(40)와,
    상기 두 개의 제1 측면(12)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0)와,
    상기 두 개의 제2 측면(14) 사이에 제공되고, 기타 현을 누르는 누름 돌기(37)가 설치되는 회전블럭(30)과,
    상기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래크(rack) 기어(20)를 포함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기어와,
    중심축(55)에 제공되는 회전지지부(56)을 포함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럭(30)은,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와,
    회전지지부(34)를 포함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상기 기어부(50)의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상기 회전블럭(30)의 상기 회전기어부(33)과 맞물리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10. 기타의 현을 눌러주어 기타 코드의 운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있어서,
    기타 넥(200)의 일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0)과,
    조작부(4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기타 현을 누르는 누름 돌기(37)가 설치되는 4개의 회전블럭(30)과,
    상기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각각의 상기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래크(rack) 기어(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제1 기어(51)와, 제2 기어(52)와, 제3 기어(53)와, 제4 기어(54)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블럭(30)은,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을 포함하고,
    상기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상기 기어부(50)의 제1 기어(51)와 맞물리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상기 회전블럭(30)의 상기 회전기어부(33)와 맞물리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52)와, 상기 제3 기어(53)와, 상기 제4 기어(54)의 기어 회전비는 서로 상이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
  12. 기타의 현을 눌러주어 기타 코드의 운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 치에 있어서,
    기타 넥(200)의 일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0)과,
    L 자의 형상이고, 일부에는 기어 날(43)이 제공되는 3개의 조작부(4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기타 현을 누르는 누름 돌기(37)가 설치되는 회전블럭(30)과,
    상기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래크(rack) 기어(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제1 기어(51)와,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조작부(40)의 기어 날(43)과 각각 맞물리는 제2 기어(52), 제3 기어(53) 및 제4 기어(54)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블럭(30)은,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를 포함하고,
    상기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상기 기어부(50)의 제1 기어(51)와 맞물리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상기 회전블럭(30)의 상기 회전기어부(33)와 맞물리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52)와, 상기 제3 기어(53)와, 상기 제4 기어(54)의 기어 회전비는 서로 상이한,
    기타 운지 보조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하우징(10)과 탄성스프링(45)으로 결합되어, 조작 후 힘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회복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
  15. 기타의 현을 눌러주어 기타 코드의 운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타 운지 보조장치에 있어서,
    기타 넥(200)의 일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0)과,
    조작부(4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상기 조작부(4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0)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되고, 기타 현을 누르는 누름 돌기(37)가 설치되는 4개의 회전블럭(30)과,
    상기 기어부(50)의 회전운동을 각각의 상기 회전블럭(30)에 전달하는 래크(rack) 기어(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50)는,
    중심축(55)과
    중심축(55)을 따라 제공되는 제1 기어(51)와, 제2 기어(52)와, 제3 기어(53)와, 제4 기어(54)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블럭(30)은,
    각기둥의 형상인 몸체부(31)와,
    회전기어부(33)을 포함하고,
    상기 래크 기어(20)는 양 측면에 기어 날이 제공되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일측의 기어 날은 상기 기어부(50)의 제1 기어(51)와 맞물리고,
    상기 래크 기어(20)의 타측의 기어 날은 상기 회전블럭(30)의 상기 회전기어부(33)와 맞물리고,
    상기 누름 돌기(37)는 눌러지는 경우 빛을 발하는 발광체인,
    기타 운지 보조장치.
KR1020090118090A 2009-12-01 2009-12-01 기타 운지 보조장치 KR10111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90A KR101113689B1 (ko) 2009-12-01 2009-12-01 기타 운지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90A KR101113689B1 (ko) 2009-12-01 2009-12-01 기타 운지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439A KR20110061439A (ko) 2011-06-09
KR101113689B1 true KR101113689B1 (ko) 2012-02-14

Family

ID=4439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090A KR101113689B1 (ko) 2009-12-01 2009-12-01 기타 운지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978B1 (ko) * 2015-02-17 2017-01-23 유주석 버튼식 현악기
KR101705702B1 (ko) * 2015-11-06 2017-02-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악기 운지 보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078Y1 (ko) * 1987-11-18 1990-09-29 권갑석 기타의 보턴식 코드장치
KR200145716Y1 (ko) 1996-07-03 1999-06-15 이승범 기타의 키보드식 코드 누름장치
KR20010045716A (ko) * 1999-11-06 2001-06-05 이제욱 브레비나제
JP2003216019A (ja) 2002-01-18 2003-07-30 Katsuhiro Hidaka ギター運指練習機
KR20090062733A (ko) * 2007-12-13 2009-06-17 김민우 코드표시기능을 갖는 기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078Y1 (ko) * 1987-11-18 1990-09-29 권갑석 기타의 보턴식 코드장치
KR200145716Y1 (ko) 1996-07-03 1999-06-15 이승범 기타의 키보드식 코드 누름장치
KR20010045716A (ko) * 1999-11-06 2001-06-05 이제욱 브레비나제
JP2003216019A (ja) 2002-01-18 2003-07-30 Katsuhiro Hidaka ギター運指練習機
KR20090062733A (ko) * 2007-12-13 2009-06-17 김민우 코드표시기능을 갖는 기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439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4186B2 (ja) 楽器を操作するための移動距離を有する可変テンションジョイスティックを備えた入力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2159290B (zh) 一种用于音乐游戏的触觉感知游戏外设
US2010027977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inged controllers and/or instruments
CN101168098B (zh) 指琴
US9076413B2 (en) Pedal operated configurable guitar chord player
CN104091589B (zh) 弓弦乐器弹奏指导装置及其控制方法
WO2005004087A2 (en) Musical teaching device and method
US8802958B2 (en)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s of using same
CA2504004A1 (en) Training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US20150332601A1 (en) Piano Learning System
US7230175B2 (en) Portable exerciser for stringed instrument players
KR101113689B1 (ko) 기타 운지 보조장치
JP3217159U (ja) 弦楽器用コード押さえ補助具
CN107799107A (zh) 盲人辅助钢琴
KR101705702B1 (ko) 현악기 운지 보조 장치
WO2015055895A1 (en) Selective pitch emulator for electrical stringed instruments
JP2011221472A (ja) 画像表示装置付きギター
KR101380159B1 (ko) 악기연주 시스템
CN217690477U (zh) 一种弯音总成器件及一种乐器
JP3126504U (ja) 鍵盤楽器練習用補助器具
JP2002287750A (ja) 電子弦楽器
Chui et al. Solotouch: A capacitive touch controller with automated note selector
WO2005086134A1 (en) Device for simplified chord playing on electric guitar
US20080173160A1 (en) Electric guitar designed to be playable by an individual using a prosthetic device
JPS63272364A (ja) 手持ち音階発生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