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095Y1 -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095Y1
KR200269095Y1 KR2020010039124U KR20010039124U KR200269095Y1 KR 200269095 Y1 KR200269095 Y1 KR 200269095Y1 KR 2020010039124 U KR2020010039124 U KR 2020010039124U KR 20010039124 U KR20010039124 U KR 20010039124U KR 200269095 Y1 KR200269095 Y1 KR 200269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bolt
door
bolt lock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태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9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095Y1/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구성을 달리하여 핸들 대신에 내진용으로 설계된 잠금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진동이나 충격발생시에 쉽게 개방되거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나사조임가능하도록 손잡이(4a)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손잡이(4a)에 일체로 형성된 환봉(4b)의 끝부분에는 수나사(4c)가 가공된 볼트 로크(4)와, 도어(2)의 전면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트 로크(4)의 환봉(4b)이 끼워진 볼트 삽입공(5)과, 상기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볼트 로크(4)가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볼트 로크의 환봉(4b) 둘레면 적소에 형성된 걸편(4d)과, 상기 볼트 로크(4)의 환봉(4b)에 끼워진 상태로 나사결합시 볼트 로크(4)의 손잡이(4a)와 볼트 삽입공(5) 사이에서 탄발력을 부가하기 위한 코일스프링(6)과, 상기 볼트 로크(4)의 수나사(4c)가 나사결합되도록 수, 배전반 프레임(1)에 각각 설치된 팝너트(POP NUT)(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device for locking door of incoming panel or distributing board}
본 고안은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수, 배전반의 도어가 내진용으로 설계된 잠금장치에 의해 잠금 및 잠금해제되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발생시에 상기 도어가 개방되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등의 폐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 배전반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용 설비의 한가지로서, 예로서 원자력용 직류 전동기 제어반의 경우에는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기기기들을 사각형의 철재 외함에 안전하게 절연 수납한 제품이라 하겠다.
도 1에서 이러한 수, 배전반의 종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수, 배전반의 프레임(1)에 개폐가능하도록 도어(2)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일측에는 핸들(3)이 구비되어 있는 바, 기기의 유지 및 보수시 사용자가 상기 핸들(3)을 이용하여 도어(2)를 개폐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핸들에 의해 도어를 잠글 때에는 상기 도어의 가운데 부분만이 수, 배전반의 프레임에 걸림되므로 수, 배전반 및 도어가 진동이나 충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가 저절로 개방되거나 형상의 변형에 따라 도어에 틈이 생기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 배전반의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지 못한 경우에는 내부가 충분히 절연되지 못하므로 이에 따라 습기 등의 침투로 인해 내부 전장품이 손상되거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종래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를 달리하여 핸들 대신에 내진용으로 설계된 볼트 잠금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진동이나 충격발생시에 쉽게 개방되거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수, 배전반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수, 배전반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횡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를 보인 요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 배전반 프레임 2 : 도어
4 : 볼트 로크 5 : 볼트 삽입공
6 : 코일스프링 7 : 팝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파지하여 나사조임가능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된 환봉의 끝부분에는 수나사가 가공된 볼트 로크와, 도어의 전면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트 로크의 환봉이 끼워진 볼트 삽입공과, 상기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볼트 로크가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볼트 로크의 환봉 둘레면 적소에 형성된 걸편과, 상기 볼트 로크의 환봉에 끼워진 상태로 나사결합시 볼트 로크의 손잡이와 볼트 삽입공 사이에서 탄발력을 부가하기 위한 코일스프링과, 상기 볼트 로크의 수나사가 나사결합되도록 수, 배전반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팝너트(POP NU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2 또는 도 3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수, 배전반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횡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를 보인 요부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전반 도어(2)의 전면 상, 하부에 각각 볼트에 의한 잠금장치가 설치되는데, 더욱 자세하게는 본 고안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나사조임가능하도록 손잡이(4a)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손잡이(4a)에 일체로 형성된 환봉(4b)의 끝부분에는 수나사(4c)가 가공된 볼트 로크(4)와, 도어(2)의 전면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트 로크(4)의 환봉(4b)이 끼워진 볼트 삽입공(5)과, 상기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볼트 로크(4)가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볼트 로크의 환봉(4b) 둘레면 적소에 형성된 걸편(4d)과, 상기 볼트 로크(4)의 환봉(4b)에 끼워진 상태로 나사결합시 볼트 로크(4)의 손잡이(4a)와 볼트 삽입공(5) 사이에서 탄발력을 부가하기 위한 코일스프링(6)과, 상기 볼트 로크(4)의 수나사(4c)가 나사결합되도록 수, 배전반 프레임(1)에 각각 설치된 팝너트(POP NUT)(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수, 배전반의 도어(2)를 잠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도어를 닫은 상태로 도어의 전면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된 한쌍의 볼트 로크(4)를 각각 나사조임하면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볼트 로크(4)의 손잡이(4a)를 파지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볼트 로크(4)의 수나사(4c)가 수, 배전반의 프레임(1)에 설치된 팝너트(POP NUT)(7)에 끼워져 나사결합되므로 결국 상기 도어(2)가 프레임(1)에 잠금되어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볼트 로크(4)가 팝너트(7)에 일정깊이 나사결합되어지면 상기 볼트 로크(4)의 환봉(4b)에 형성된 걸편(4d)이 팝너트(7)에 걸림되므로 상기 볼트 로크(4)가 더 이상 나사조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볼트 로크(4)의 환봉(4a)에는 코일스프링(6)이 끼워진 상태임을 감안할 때, 상기 볼트 로크(4)가 도어(2)의 볼트 삽입공(5)을 통해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볼트 로크(4)의 손잡이(4a)와 볼트 삽입공(5) 사이에 끼워진 코일스프링(6)이 점점 더 압축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볼트 로크(4)가 볼트 삽입공(5)으로부터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에 따라 수, 배전반에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코일스프링(6)에 의해 볼트 로크(4)가 도어(2)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생된 진동이나 충격을 어느 정도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볼트 로크(4)가 팝너트(7)에 반복적으로 체결될 때에는 나사가 마모에 따라 체결이 느슨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 때에도 상기 코일스프링(6)이 볼트 로크(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주므로 상기 볼트 로크가 하방으로 처짐이 없어 미관을 좋게 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도어(2)를 다시 잠금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과정의 역순에 따라 볼트 로크(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본 고안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는 사용시 수, 배전반에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도어에 체결된 볼트 로크가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도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음은 물론, 도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완충되므로 상기 도어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에도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볼트 로크 및 도어가 마손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볼트 로크가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수, 배전반의 미관을 유지하는 데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사용자가 파지하여 나사조임가능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된 환봉의 끝부분에는 수나사가 가공된 볼트 로크와,
    도어의 전면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볼트 로크의 환봉이 끼워진 볼트 삽입공과,
    상기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볼트 로크가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볼트 로크의 환봉 둘레면 적소에 형성된 걸편과,
    상기 볼트 로크의 환봉에 끼워진 상태로 나사결합시 볼트 로크의 손잡이와 볼트 삽입공 사이에서 탄발력을 부가하기 위한 코일스프링과,
    상기 볼트 로크의 수나사가 나사결합되도록 수, 배전반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팝너트(POP NU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KR2020010039124U 2001-12-18 2001-12-18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KR200269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124U KR200269095Y1 (ko) 2001-12-18 2001-12-18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124U KR200269095Y1 (ko) 2001-12-18 2001-12-18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095Y1 true KR200269095Y1 (ko) 2002-03-18

Family

ID=7311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124U KR200269095Y1 (ko) 2001-12-18 2001-12-18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0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27B1 (ko) * 2001-12-13 2004-06-30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제어반의 유닛 록킹장치
KR101469164B1 (ko) * 2014-08-08 2014-12-05 (주)서전기전 지진 저감용 면진 모듈과 영구자석 도어 잠금장치를 활용한 면진 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27B1 (ko) * 2001-12-13 2004-06-30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제어반의 유닛 록킹장치
KR101469164B1 (ko) * 2014-08-08 2014-12-05 (주)서전기전 지진 저감용 면진 모듈과 영구자석 도어 잠금장치를 활용한 면진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4788A1 (en) Slide Lock Fastener
KR200269095Y1 (ko) 수,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MY123308A (en) Closing device with selective locking.
US3260081A (en) Lock structure
JP5230817B2 (ja) スイッチロック金具および制御装置
KR100864701B1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KR200194822Y1 (ko) 배전함용 자물쇠
KR100653970B1 (ko) 도어의 잠금장치
JP2008078545A (ja) キャビネット
US20020139646A1 (en) Circuit breaker lockout device
KR19990026341U (ko) 통신시스템용 렉의 도어 잠금장치
CN208534211U (zh) 防盗门紧固联体式防暴防砸护锁装置
KR200494562Y1 (ko) 도어용 핸들 결합구
KR0117552Y1 (ko) 체인 고정 금속구
KR200345893Y1 (ko) 출입문용 보조 잠금장치
CN210714158U (zh) 多棱门栓结构
KR200280769Y1 (ko) 열반형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장치
KR200260083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자물쇠
KR200151467Y1 (ko) 벽걸이형 기기의 도어개폐장치
JP2002364227A (ja) 扉の鎖錠装置
CN102031903A (zh) 具备柜门防意外开启的多重锁具
CN2148808Y (zh) 保险柜
KR200260084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자물쇠
KR0160380B1 (ko) 자동차의 키 실린더
KR200264804Y1 (ko) 도어 잠금장치의 고정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