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826Y1 - 다목적 과일 수확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과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826Y1
KR200268826Y1 KR2020010037476U KR20010037476U KR200268826Y1 KR 200268826 Y1 KR200268826 Y1 KR 200268826Y1 KR 2020010037476 U KR2020010037476 U KR 2020010037476U KR 20010037476 U KR20010037476 U KR 20010037476U KR 200268826 Y1 KR200268826 Y1 KR 200268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mesh
annular band
band member
harv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흥식
Original Assignee
조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흥식 filed Critical 조흥식
Priority to KR2020010037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826Y1/ko

Links

Landscapes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목에 열려있는 과일을 고목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고 또한, 수확시 지면에 떨어지는 과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다목적 과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목나무에 열리는 과일 수확시 시간 및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고목나무에 올라가지 않고도 과일을 빠르고 안전하게 또한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는 다목적 과일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대와, 상기 장대의 일단에 부착고정되며 환형을 이루는 환형띠부재와, 상기 환형띠부재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과일의 꼭지를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환형띠부재의 테두리에 일측이 부착고정되고 일단은 개구되어 가지로부터 절단된 과일을 지면으로 안내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소정위치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그물망내를 지나는 과일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물망의 단면적이 탄성적으로 확대/축소 되도록 소정 탄성력을 가진 고무밴드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환형띠부재의 내주면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된 톱날형상의 칼날부재와, 상기 칼날부재의 요철(凹凸)부위중 철(凸)부위의 외면을 감싸고 요(凹)부위는 외부에 노출된 채 상기 칼날부재의 외면을 감싸는 고무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환형띠부재의 상부면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절곡된 갈고리부재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물망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그물망을 양분하며 분리/결합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의해 분리된 상기 그물망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그물망의 일단을 차폐하는 그물망 차폐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과일 수확기{A multipurpose fruit harvester}
본 고안은 과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목에 열려있는 과일을 고목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고 또한, 수확시 지면에 떨어지는 과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다목적 과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목에 열리는 과일은 대표적으로 감나무가 있다.
이는 고목에 나무가지가 약하고 과일이 높인 위치에 많이 열려있는데 감을 수확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긴 대나무 끝을 V자형으로 쪼개어 이루어지는 과일 수확기(100)를 사용하는데, 이는 상기 과일 수확기의 V자형으로 쪼깨어진 그 사이에 감 가지를 밀어 넣어 걸리면 대나무를 돌려 감이 달린 가지를 꺽어 수확을 했었다.
또한, 나무를 잘타는 사람들이 직접 감나무에 올라가 감을 손으로 직접 따서 수확하기도 하였으며, 또는 고가 사다리등을 이용하기도 하였으며, 감나무 밑에 그물망을 치고 감가지를 털어서 대량 수확하기도 하지만 이는 과육에 상처나 충격을 받아 손상이 되었다.
그러고, 끝이 V자형인 대나무를 이용해 감을 수확할 경우 감이 V자형 사이로 잘 빠져 지면에 떨어지면 과육이 파손되기 쉽어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고 감이 매달린 높은 부분의 가지를 대나무 끝의 벌어진 V자형 사이에 꼬이기도 쉬운 일이 아니었다.
또한, 고목의 상부는 나무가지가 약하여 사람들이 직접 감나무에 올라가 감을 손으로 따다가 가지가 부러져 다치는 등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목나무에 열리는 과일 수확시 시간 및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고목나무에 올라가지 않고도 과일을 빠르고 안전하게 또한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는 다목적 과일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대와, 상기 장대의 일단에 부착고정되며 환형을 이루는 환형띠부재와, 상기 환형띠부재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과일의 꼭지를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환형띠부재의 테두리에 일측이 부착고정되고 일단은 개구되어 가지로부터 절단된 과일을 지면으로 안내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소정위치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그물망내를 지나는 과일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물망의 단면적이 탄성적으로 확대/축소 되도록 소정 탄성력을 가진 고무밴드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환형띠부재의 내주면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된 톱날형상의 칼날부재와, 상기 칼날부재의 요철(凹凸)부위중 철(凸)부위의 외면을 감싸고 요(凹)부위는 외부에 노출된 채 상기 칼날부재의 외면을 감싸는 고무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환형띠부재의 상부면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절곡된 갈고리부재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물망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그물망을 양분하며 분리/결합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의해 분리된 상기 그물망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그물망의 일단을 차폐하는 그물망 차폐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과일 수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과일 수확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과일 수확기의 환형띠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a,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과일 수확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일반적인 과일 수확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대 20 : 환형띠부재
30 : 칼날부재 40 : 고무부재
50 : 그물망 60 : 고무밴드
70 : 결합구 80 : 그물망 차폐부재
90 : 갈고리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목적 과일 수확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과일 수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과일 수확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과일 수확기의 환형띠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a,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과일 수확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대(10)가 구비되고 상기 장대(10)의 일단에는 환형을 이루는 환형띠부재(20)가 부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환형띠부재(20)의 내주면의 양측에는 고목의 나무가지에 열려있는 과일의 꼭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톱날형상의 칼날부재(30)가 마주보도록 볼트및 너트에 의해 부착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환형띠부재(20)의 상부면을 따라 다수의 갈고리부재(90)를 볼트및 너트에 의해 부착고정할 수도 있는데, 상기 갈고리부재(9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절곡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칼날부재(30)의 요철(凹凸)부위중 철(凸)부위의 외면을 감싸고 요(凹)부위는 외부에 노출된 채 상기 칼날부재(30)의 양측면에 고무부재(40)가 부착구비된다.
또한, 상기 환형띠부재(20)의 테두리에는 그물망(50)의 일측이 부착고정되고 상기 그물망(50)의 일단은 개구되어 있어 상기 칼날부재(30)에 의해 수확된 과일이 상기 그물망(50)의 내부를 지나 지면으로 안내된다.
한편, 상기 그물망(50)의 소정위치에는 그물망(50)내를 지나는 과일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물망(50)의 단면적이 탄성적으로 확대/축소 되도록 소정 탄성력을 가진 고무밴드(60)를 그물망(50) 단면의 테두리에 다수개 구비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물망(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그물망(50)이 소정위치에서 분리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70)를 구비하였다.
상기 결합구(70)로는 지퍼(zipper)를 사용하면 바람직하겠다.
상기 그물망(50)을 상기 결합구(70)에 의해 분리한 후 개구된 상기 그물망(50)의 일단에 결합되어 폐구하는 그물망 차폐부재(8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는 장대의 일측을 손으로 잡은 채, 고목나무의 과일이 열려 있는 나무가지를 장대의 일측에 구비된 환형띠부재에 삽입한 다음 장대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준다.
그러면, 상기 환형띠부재의 외주면에 마주보며 부착고정된 칼날부재는 나무가지를 따라 이동되며 나무가지의 일측에 열려 있는 과일의 꼭지에서 정지되어진다. 이 때 소정 힘을 더 가하여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면 과일의 꼭지는 상기 칼날부재의 외부에 노출된 요(凹)부의 예리한 칼날에 의해 절단되게 된다.
한편, 상기 환형띠부재의 칼날부재가 나무가지를 따라 이동될 때, 칼날부재의 철(凸)부위의 외면이 고무부재로 덮혀있어 나무가지가 긁히는등 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나무가지가 긁히는 일이 없어 칼날부재와 나무가지의 마찰이 작아지게되므로 원활하게 이동되어지며, 나무가지를 회전시켜 부러뜨리지 않고 나무가지의 뻗은 방향을 따라 상기 환형띠부재를 잡아당기거나 밀경우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과일의 꼭지를 절단하여 과일을 수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재를 분리한 다음 다수의 갈고리 부재를 환형띠부재의 상부면에 볼트결합한 후 이를 비교적 꼭지가 약한 과일(매실, 살구, 자두)등이 열린 나무가지에 접촉시켜 나무가지를 따라 잡아당기게 되면 예리한 칼날이 아니더라도 과일의 꼭지는 절단되어 수확된다.
한편, 상기 칼날부재의 요(凹)부의 칼날에 의해 과일의 꼭지가 절단된 과일은 상기 환형띠부재의 테두리에 부착된 그물망에 떨어지게 된다.
그물망에 떨어진 과일은 그물망을 통해 지면에 떨어지는데, 상기 그물망의 소정 위치에 다수 구비된 고무밴드에 의해 과일이 바로 떨어지지 못하고 고무밴드에 걸림으로써, 과일의 낙하속도를 줄여 과일이 지면과의 충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꼭지가 절단된 과일이 그물망을 통과하면서 곧바로 지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물망에 다수개의 고무밴드를 일정간격으로 구비하여 그물망을 통해 지면을 도달하는 과일은 전부 고무밴드에 걸려 그 낙하속도가 줄어들게 하였다.
한편, 고목나무의 가지뿌리부분에 열리는 과일을 수확할 경우에는 그물망을지퍼에 의해 그 길이를 줄이고 일단을 그물망 개폐부재에 의해 폐구한 다음 과일수확기를 고목나무의 가지뿌리부분으로 이동시켜 과일을 수확하게 된다.
이 때, 그물망의 길이가 짧아 그물망이 나뭇가지에 의해 그물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동이 용이하며 상기 그물망의 일단이 그물망 개폐부재에 의해 폐구되어 수확된 과일이 지면에 떨어지지 않고 그물망안에 보관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목나무에 열리는 과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또한 과육의 손상을 방지하며 수확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과일 수확시 드는 노동력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대와, 상기 장대의 일단에 부착고정되며 환형을 이루는 환형띠부재와, 상기 환형띠부재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과일의 꼭지를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환형띠부재의 테두리에 일측이 부착고정되고 일단은 개구되어 가지로부터 절단된 과일을 지면으로 안내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소정위치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그물망내를 지나는 과일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물망의 단면적이 탄성적으로 확대/축소 되도록 소정 탄성력을 가진 고무밴드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과일 수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환형띠부재의 내주면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된 톱날형상의 칼날부재와, 상기 칼날부재의 요철(凹凸)부위중 철(凸)부위의 외면을 감싸고 요(凹)부위는 외부에 노출된 채 상기 칼날부재의 외면을 감싸는 고무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과일 수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환형띠부재의 상부면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절곡된 갈고리부재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과일 수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그물망을 양분하며 분리/결합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의해 분리된 상기 그물망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그물망의 일단을 차폐하는 그물망 차폐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과일 수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지퍼(zipp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곡물 수확기.
KR2020010037476U 2001-12-05 2001-12-05 다목적 과일 수확기 KR200268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76U KR200268826Y1 (ko) 2001-12-05 2001-12-05 다목적 과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76U KR200268826Y1 (ko) 2001-12-05 2001-12-05 다목적 과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826Y1 true KR200268826Y1 (ko) 2002-03-18

Family

ID=7307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476U KR200268826Y1 (ko) 2001-12-05 2001-12-05 다목적 과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8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830B1 (ko) * 2012-10-29 2013-10-15 김진호 감 수확기
KR20230083926A (ko) 2021-12-03 2023-06-12 구선희 과수 수확 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830B1 (ko) * 2012-10-29 2013-10-15 김진호 감 수확기
KR20230083926A (ko) 2021-12-03 2023-06-12 구선희 과수 수확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72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material from a line
KR200446320Y1 (ko)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
US5937626A (en) Hand-held fruit picking tool
KR200268826Y1 (ko) 다목적 과일 수확기
KR20200011321A (ko) 과일 수확 장치
KR20150002757U (ko) 과일 수확기
KR200357736Y1 (ko) 과일 수확기
KR20020078121A (ko) 속과기
JP2005176817A (ja) 果実収穫装置。
CN107896678A (zh) 一种具有打薄功能的园艺剪
CN206879518U (zh) 一种果树茶枝修剪掘虫多用工具
JP2017127298A (ja) 果実取り具
KR200331587Y1 (ko) 청설모방제기구
KR100772066B1 (ko) 과수나무 가지 유인구
KR20210076696A (ko) 과일 따는 기구
KR20200011101A (ko)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US5881543A (en) Guard assembly for cane cutter
JP3739346B2 (ja) 収穫装置
JP2000083442A (ja) 果実採取用具
JP2008011843A (ja) 果実収穫具
KR20130058982A (ko) 과실수확기구
CN211558461U (zh) 一种防胡蜂巢门器的辅助装置
JP3107581U (ja) 剪定鋏装着用の受取網
KR101974518B1 (ko) 과일 수확장치
KR101700824B1 (ko) 과수 피해 방지 보호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