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441Y1 - Dtmf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Dtmf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441Y1
KR200268441Y1 KR20010038680U KR20010038680U KR200268441Y1 KR 200268441 Y1 KR200268441 Y1 KR 200268441Y1 KR 20010038680 U KR20010038680 U KR 20010038680U KR 20010038680 U KR20010038680 U KR 20010038680U KR 200268441 Y1 KR200268441 Y1 KR 200268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dtmf
unit
lin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38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웅
Original Assignee
박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래웅 filed Critical 박래웅
Priority to KR20010038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DTMF를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케이블센서; 트랜스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감지신호를 주파수대역으로 분류하여 저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제1신호증폭부; 고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제2신호증폭부; 제1신호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1필터부; 제2신호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2필터부;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신호분석부; 카운터 및 타이머; 상기 케이블센서에 의해 감지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증폭부를 통해 소정레벨 증폭한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방범 방재시스템의 선로상태를 검출하는 선로상태검출부; 선로상태검출부 및 음향신호분석부로부터 발생된 비상신호를 외부에 인식시키도록 DTMF 방식으로 송신 혹은 수신하는 DTMF 송수신부; 및 상기 선로상태검출부로부터의 검출신호를 토대로 한 음향신호분석부의 분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가지 알람신호를 DTMF 송수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DTMF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Signa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of crimes and disasters prevention system using Dual Tone Multi-Frequency}
본 고안은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더욱 상세하게 케이블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낙뢰나 선로상의노이즈에 관계없이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수신장치(사용자)로 신속 정확하게 송신하고, 수신장치에서는 DTMF송수신장치에 DTMF신호를 송신하여 방법 방재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다양화되고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그만큼의 경제적 부를 누리는 사람이 있는 반면, 빈부격차로 인한 경제범죄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비단, 경제적인 범죄가 아니더라도 국가 주요시설물의 방호의 필요성과 복잡 다양화한 사회가 형성됨에 따른 모든 시설물들의 유지 관리도 좀 더 정밀한 체크가 요구되고 있다.
이 같은 욕구에 따라 등장한 것이 방범 및 방재시스템인 바, 근래에는 이 같은 업무를 위탁받아 전문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도 다수 등장하고 있다.
이 같은 기존의 방범 및 방재 시스템에 적용되는 회로 구성 부분 중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비상상황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케이블센서부이다.
그러나, 기존의 방범 및 방재시스템에 사용되는 케이블센서는 그 통신방식으로 릴레이 접점신호 혹은 RS485, RS422 통신을 이용하였으나, 이들 케이블센서 혹은 감지기를 옥외에 설치하였으므로 낙뢰 혹은 선로상의 노이즈에 의해 장거리 신호 전송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 주지의 사실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DTMF 방식을 케이블센서의 통신 수단으로 적용하여 장거리 신호 전송이 용이하고 두 가닥의 케이블에 많은 신호를 실어 전송할 뿐만 아니라, 센서부의 감도조정이나 카운터 횟수 등을 송수신장치나 수신장치(사용자)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토록 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케이블센서; 트랜스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감지신호를 주파수대역으로 분류하여 저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제1신호증폭부; 고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제2신호증폭부; 제1신호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1필터부; 제2신호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2필터부;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신호분석부; 카운터 및 타이머; 상기 케이블센서에 의해 감지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증폭부를 통해 소정레벨 증폭한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방범 방재시스템의 선로상태를 검출하는 선로상태검출부; 선로상태검출부 및 음향신호분석부로부터 발생된 비상신호를 원격지에서 인식하도록 DTMF 방식으로 송신하는 DTMF 송수신부; 및 상기 선로상태검출부로부터의 검출신호를 토대로 한 음향신호분석부의 분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가지 알람신호를 DTMF 송수신부로부터 수신하고, 원격으로 케이블센서의 감도 조정이나 카운터 횟수 등을 제어하는 수신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DTMF 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의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블센서 2 ------ 트랜스
3 ------ 증폭부 4, 5 ---- 신호증폭부
6, 7 --- 필터부 8 ------ 카운터 및 타이머
9 ------ 음향신호분석부 10 ----- 선로상태검출부
11 ----- DTMF 송수신부 12 ----- 수신장치(신호구분 및 원격제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DTMF 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구성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DTMF란 전화기에서 송출하는 숫자(부호) 정보로써 전자 교환기에서 사용하며, 전화기의 해당 번호를 누르면 복합 주파수 신호가 교환기에 인가되고 교환기에서는 이를 해독하여 디지트 정보로 변환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즉, DTMF는 전화기를 들고 번호판을 누를 때 수화기에서 들리는 음(Tone)을 말하는 것으로써, 각 가정에는 최소한 한대 이상의 DTMF 톤(Tone) 발생장치가 있고(0,1,2,3,4,5,6,7,8,9,*,#), 전화기가 이 DTMF를 전송하므로써 원하는 전화번호에 전화접속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 DTMF를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곳에서 전화선을 통하여 어떤 장치를 켜거나 끄기 등 원격제어를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DTMF 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는,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케이블센서(1), 트랜스(2)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3), 증폭부(3)에 의해 증폭된 감지신호를 주파수대역으로 분류하여 저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제1신호증폭부(4), 고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제2신호증폭부(5), 제1신호증폭부(4)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1필터부(6), 제2신호증폭부(5)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2필터부(7),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6)(7)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신호분석부(9), 카운터 및 타이머(8)가 구성된다.
본 고안의 경보장치는 또한, 상기 케이블센서(1)에 의해 감지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증폭부(3)를 통해 소정레벨 증폭한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방범 방재시스템의 선로상태를 검출하는 선로상태검출부(10), 선로상태검출부(10) 및 음향신호분석부(9)로부터 발생된 비상신호를 외부에 인식시키도록 DTMF 방식으로 출력하는 DTMF 송수신부(11)와 DTMF 송수신부(11)로부터 출력된 비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원격제어용 신호(원격으로 케이블센서의 감도 조정이나 카운터 횟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DTMF 송수신부(11)로 송신하는 수신장치(12)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경보장치는 또한, 상기 선로상태검출부(1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토대로 한 분석신호와, 음향신호분석부(9)의 분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가지 알람신호를 DTMF 송수신부(11)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수신장치(12)가 구성된다.
상기 DTMF 송수신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DTMF 톤을 저장한 상태에서 이 DTMF 톤을 원격지에 있는 수신장치(12)에 송신하여 방범 방재시스템에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인식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블센서(1)가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가 트랜스(2)를 통해 증폭기(3)에 입력되어 소정레벨 증폭된 후 제1 및 제2신호증폭부(4)(5)로 출력됨과 동시에 선로상태검출부(10)로 출력된다.
그러면, 제1신호증폭부(4) 및 제2신호증폭부(5)에 의한 신호증폭과 제1 및 제2필터부(6)(7)에 의한 잡음 제거가 완료된 후 감지신호는 음향신호분석부(9)로 출력된다.
따라서, 음향신호분석부(9)는 음향신호를 가청음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그 변환신호를 DTMF 송수신부(11)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DTMF 송수신부(11)는 상기 분석된 가청음을 DTMF 톤으로 수신장치(12)에 출력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가 본 시스템의 비상상황을 인식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선로상태검출부(10)에서는 트랜스(2)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따라 선로 상태를 검출하여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을 판단한다.
이와 같이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은 DTMF 송수신부(11)로부터 여러 개의 DTMF 톤을 이용하여 수신장치(12)로 전송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토록 하며, 수신장치(12)에서는 여러 개의 DTMF 톤을 이용하여 케이블센서(1)의 감도조정이나 카운터 횟수 등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의 범주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발생시 그 비상상황을 DTMF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종래 케이블센서를 옥외에 설치함으로써 발생되었던 신호 전송상의 낙뢰나 노이즈를 예방할 수 있음으로써 장거리 신호 전송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원격으로 센서부의 감도조정이나 카운터 횟수 등을 제어함으로서 지금까지 사용자가 현장에 출동하여 케이블센서의 감도나 카운터 횟수 등을 수동 조정함에 따른 시간 및 인건비 낭비를 최소화하여 유지보수관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케이블센서(1);
    트랜스(2)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3);
    증폭부(3)에 의해 증폭된 감지신호를 주파수대역으로 분류하여 저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제1신호증폭부(4);
    고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제2신호증폭부(5);
    제1신호증폭부(4)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1필터부(6);
    제2신호증폭부(5)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2필터부(7);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6)(7)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신호분석부(9);
    카운터 및 타이머(8);
    상기 케이블센서(1)에 의해 감지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증폭부(3)를 통해 소정레벨 증폭한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방범 방재시스템의 선로상태를 검출하는 선로상태검출부(10);
    선로상태검출부(10) 및 음향신호분석부(9)로부터 발생된 비상신호를 외부에 인식시키도록 DTMF 방식으로 출력하는 DTMF 송수신부(11); 및
    상기 선로상태검출부(1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토대로 한 음향신호분석부(9)의 분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가지 알람신호를 DTMF 송수신부(11)로부터 수신하고, 원격으로 케이블센서의 감도 조정이나 카운터 횟수 등을 제어하는 수신장치(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 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KR20010038680U 2001-12-14 2001-12-14 Dtmf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KR200268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8680U KR200268441Y1 (ko) 2001-12-14 2001-12-14 Dtmf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8680U KR200268441Y1 (ko) 2001-12-14 2001-12-14 Dtmf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441Y1 true KR200268441Y1 (ko) 2002-03-16

Family

ID=4113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38680U KR200268441Y1 (ko) 2001-12-14 2001-12-14 Dtmf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155A1 (en) * 2008-01-04 2009-07-16 Rae-Woong Park Crimes and disasters preven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155A1 (en) * 2008-01-04 2009-07-16 Rae-Woong Park Crimes and disasters preven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1834A (en) Intrusion detecting apparatus with zone identification and with noise interference discrimination
US6175307B1 (en) Security system with audible link and two-way communication
US3761914A (en) Alarm system
US3939420A (en) Debugging arrangement
KR200268441Y1 (ko) Dtmf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KR200205015Y1 (ko) 방범 시스템 가입자용 양방향 무선 단말장치
KR100658021B1 (ko) 통신 주파수 변경이 가능한 무전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5563974U (zh) 用于检测警报器警铃的感应装置
KR101561946B1 (ko) 실시간 지능형 보안 감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50330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source of page communication in a party-line intercom paging system
JP2724855B2 (ja) アンサーバックシステム
KR102536819B1 (ko) 스피커의 소음감지를 통한 호출시스템
KR100395692B1 (ko) 홈 매니저를 이용한 비상 호출 시스템
JP2001307238A (ja) 防犯システム及び切削音検出方法
CN100394453C (zh) 声耦合智能型家居安全监控方法
US20040027490A1 (en) Ring triggered mute
KR200217016Y1 (ko)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JPS62172498A (ja) 警報システム
JP3620864B2 (ja) 警報装置
KR20040083655A (ko) 비상통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휴대형 무선 단말기 및비상통보 방법
KR930011566A (ko) 원격 정보 처리 시스템
JPH03214995A (ja) ホームバスシステム
NO954712L (no) Terminal for kontaktlös kommunikasjon med bærbare gjenstander
JP2720490B2 (ja) 構内ページングシステム
KR101159803B1 (ko) 방범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