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016Y1 -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16Y1
KR200217016Y1 KR2020000027847U KR20000027847U KR200217016Y1 KR 200217016 Y1 KR200217016 Y1 KR 200217016Y1 KR 2020000027847 U KR2020000027847 U KR 2020000027847U KR 20000027847 U KR20000027847 U KR 20000027847U KR 200217016 Y1 KR200217016 Y1 KR 200217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alarm
sound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웅
Original Assignee
박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래웅 filed Critical 박래웅
Priority to KR2020000027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16Y1/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종류에 따라 이를 여러 가지 신호로 분류하여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유지 보수가 편리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Emergency alarm device of crimes and disasters prevention system}
본 고안은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다양화되고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그만큼의 경제적 부를 누리는 사람이 있는 반면, 빈부격차로 인한 경제범죄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비단, 경제적인 범죄가 아니더라도 국가 주요시설물의 방호의 필요성과 복잡 다양화한 사회가 형성됨에 따른 모든 시설물들의 유지 관리도 좀 더 정밀한 체크가 요구되고 있다.
이 같은 욕구에 따라 등장한 것이 방범 및 방재시스템인 바, 근래에는 이 같은 업무를 위탁받아 전문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도 다수 등장하고 있다.
이 같은 기존의 방범 및 방재 시스템에 적용되는 회로 구성 부분 중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비상상황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센서부 및 알람 경보부이다.
그러나, 기존의 방범 및 방재시스템에 사용되는 케이블센서는 회로의 단선 또는 단락시 별도로 신호를 구분함이 없이 무조건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알람신호와 동일하게 하나의 신호로만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신호인지를 확실하게 파악할 수 없어 시스템의 신뢰성과 유지 보수 관리면에서 애로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비상상황 발생종류에 따라 이를 여러 가지 신호로 분류하여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유지 보수가 편리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신호분석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방범 방재시스템의 선로상태를 검출하는 선로상태검출부; 선로상태검출부 및 음향신호분석부로부터 출력된 비상신호를 외부에 인식시키도록 출력하는 경보출력부; 및 상기 선로상태검출부로부터 출력된 경보신호 및 음향신호분석부의 분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가지 알람신호를 경보출력부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향신호분석부는 음향신호가 일정한 크기와 시간대로 연속 수신될 경우 음향신호 수신장치가 자동 작동되어 음향신호를 가청음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향신호의 크기와 연속되는 시간은 볼륨을 부착하여 현장상황에 맞게 임의 조절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경보출력부로부터 원격지에 있는 수신장치로의 출력은 232, 485포트를 부착하여 전용회선을 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선로상태검출부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블센서 2 ------ 트랜스
3 ------ 증폭부 4, 5 ---- 신호증폭기
6, 7 --- 필터부 10 ----- 선로상태검출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선로상태검출부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보장치는,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케이블센서(1), 트랜스(2)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3), 증폭부(3)에 의해 증폭된 감지신호를 주파수대역으로 분류하여 저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신호증폭부(4), 고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신호증폭부(5), 신호증폭부(4)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1필터부(6), 신호증폭부(5)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2필터부(7),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6)(7)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신호분석부(9), 카운터 및 타이머(8)가 구성된다.
상기 음향신호분석부(9)는 방범 및 방재용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시스템은 케이블센서에서 발생되는 음향신호를 가청음으로 청취하기 위해서는 수신장치를 24시간 켜 놓거나 케이블센서 신호분석기에 카운터회로를 구성하여 조정된 카운터 수만큼 신호가 입력될 경우 수신장치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되어 음향신호를 청취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 경우 불편한 점이 있으므로 음향신호가 일정한 크기와 시간대로 연속 수신될 경우 음향신호 수신장치가 자동 작동되어 음향신호를 가청음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향신호의 크기와 연속되는 시간은 볼륨을 부착하여 현장상황에 맞게 임의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상기 음향신호분석부(9)는 케이블 센서(1)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향신호(예를 들어, 센서 두드리는 소리, 방범 방재시스템에 부딪치는 소리 등)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91),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음향신호를 처리하여 메모리(93)에 저장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CPU,92), 메모리(93)에 저장된 음향신호의 원인을 분석하도록 CPU(92)의 제어에 의해 소정시간 마다 재생하는 재생부(94)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경보장치는 또한, 상기 센서(1)에 의해 감지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증폭부(3)를 통해 소정레벨 증폭한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방범 방재시스템의 선로상태를 검출하는 도 2의 상세회로를 갖는 선로상태검출부(10), 선로상태검출부(10) 및 음향신호분석부(9)로부터 발생된 비상신호를 외부에 인식시키도록 출력하는 경보출력부(11)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경보장치는 또한, 상기 선로상태검출부(10)로부터의 검출신호를 토대로 한 음향신호분석부(9)의 분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가지 알람신호를 경보출력부(11)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장치(12)가 구성된다.
상기 경보출력부(11)로부터 원격지에 있는 수신장치(12)로 경보를 출력하는 방법은 232, 485포트를 부착하여 전용회선을 통해 전송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블센서(1)가 방범 방재시스템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트랜스(2)를 통해 증폭기(3)에 입력하여 소정레벨 증폭시킨 후 신호증폭부(4)(5)로 출력함과 동시에 선로상태검출부(10)로 출력한다.
따라서, 신호증폭부(4) 및 신호증폭부(5)에 의한 신호증폭과 필터부(6)(7)에 의한 잡음 제거가 완료된 후 감지신호는 음향신호분석부(9)로 출력된다.
따라서, 음향신호분석부(9)는 음향신호를 가청음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그 신호를 경보출력부(11)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경보출력부(11)는 상기 분석된 가청음을 외부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식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음향신호의 크기와 연속되는 시간은 볼륨을 부착하여 현장상황에 맞게 임의 조절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선로상태검출부(10)에서는 트랜스(2)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가 비교기(15)의 반전단자(-)에 입력되어 비반전단자(+)에 미리 설정된 신호와 비교된다. 이 비교결과, 트랜스(2)로부터 반전단자(-)에 입력된 감지신호가 비반전단자(+)에 설정된 신호보다 작을 경우에는 트랜지스터(17)가 오프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트랜지스터(15)의 온에 따라 점등상태로 있던 발광다이오드(19)도 소등됨으로써 방범 방재시스템의 회로가 단선되었음을 알린다.
반면에, 상기 트랜스(2)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가 비교기(16)의 반전단자(-)에 입력되어 비반전단자(+)에 미리 설정된 신호와 비교되고, 그 비교결과, 반전단자(-)에 입력된 감지신호가 클 경우에는 트랜지스터(18)가 온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트랜지스터(18)의 오프에 따라 소등상태로 있던 발광다이오드(20)가 점등됨으로써 방범 방재시스템 회로가 쇼트되었음을 알린다.
이와 같이 방범 방재시스템의 회로구성의 쇼트 혹은 단선상태는 경보출력부(11)로 입력되어 수신장치(12)로 전송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도 인식 가능토록 하여 즉시 조치가 가능하게 한다.한편, 센서(1)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향신호는 음향신호분석부(9)에 입력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91)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CPU(92)의 처리에 의해 메모리(93)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메모리(93)에 저장된 디지털음향신호는 CPU(92)의 제어에 의해 소정시간 마다 재생부(94)에서 재생됨으로써 방범 방재시스템의 관리자가 음향 발생원인을 분석토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발생시 그 비상상황의 종류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신호로 나타냄으로써 시스템의 유지 보수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케이블센서(1); 감지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3);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감지신호를 주파수대역으로 분류하여 저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제1신호증폭부(4); 고주파수대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는 제2신호증폭부(5); 제1신호증폭부(4)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1필터부(6); 제2신호증폭부(5)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잡음 등을 제거하는 제2필터부(7);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6)(7)를 통해 입력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며, 센서(1)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91),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음향신호를 처리하여 메모리(93)에 저장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CPU,92), 메모리(93)에 저장된 음향신호의 원인을 분석하도록 CPU(92)의 제어에 의해 소정시간 마다 재생하는 재생부(94)를 포함하는 음향신호분석부(9); 카운터 및 타이머(8); 상기 센서(1)에 의해 감지된 비상상황 감지신호를 증폭부(3)를 통해 소정레벨 증폭한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방범 방재시스템의 선로상태를 검출하는 선로상태검출부(10); 선로상태검출부(10) 및 음향신호분석부(9)로부터 출력된 비상신호를 외부에 인식시키도록 출력하는 경보출력부(11); 및 상기 선로상태검출부(10)로부터 출력된 경보신호 및 음향신호분석부(9)의 분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가지 알람신호를 경보출력부(11)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장치(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향신호분석부(9)는 음향신호가 일정한 크기와 시간대로 연속 수신될 경우 음향신호 수신장치가 자동 작동되어 음향신호를 가청음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향신호의 크기와 연속되는 시간은 볼륨을 부착하여 현장상황에 맞게 임의 조절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경보출력부(11)로부터 원격지에 있는 수신장치(12)로의 경보 출력은 232, 485포트를 부착하여 전용회선을 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재시스템 비상상황 경보장치.
KR2020000027847U 2000-10-06 2000-10-06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KR200217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847U KR200217016Y1 (ko) 2000-10-06 2000-10-06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847U KR200217016Y1 (ko) 2000-10-06 2000-10-06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016Y1 true KR200217016Y1 (ko) 2001-03-15

Family

ID=7308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847U KR200217016Y1 (ko) 2000-10-06 2000-10-06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51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hazard alert signal
US4935952A (en) Alarm-responsive apparatus and method
WO2004066232A3 (en) Personal monitoring system
CA2501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ctivation of a smoke detector alarm
US108857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hazard detector signal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MXPA03002077A (es) Sistema integrado de seguridad.
US7443289B2 (en) Automatic detection of microphone sabotage in a security system device
WO2007016119A3 (en) Glassbreak alarm recorder for false alarm verification
ATE286289T1 (de) Apparat zum ermitteln und melden ungünstiger bedingungen
KR200217016Y1 (ko) 방범 방재시스템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US6377184B1 (en) Transmission line safety monitoring system
US20050068177A1 (en) Security device for detecting change of air pressure and method thereof
JP2968601B2 (ja) 警報検知器
US5883573A (en) Message generation supervision system
KR200268441Y1 (ko) Dtmf방식을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KR102431569B1 (ko) 유선통신 기반 센서링 스피커 시스템
JPS62172498A (ja) 警報システム
KR200274042Y1 (ko) 최대 충격감도가 설정된 케이블센서 시스템
JP2001236587A (ja) 放流警報システム
KR200268678Y1 (ko) 방범 방재시스템의 케이블센서 선로 점검장치
JP3541574B2 (ja) 警報装置
CN116104362A (zh) 具有防拆告警装置的智能门锁
EP1286320A3 (de) Melder, Testvorrichtung zum Prüfen eines Melder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elders
JPH03214995A (ja) ホームバスシステム
KR930011569A (ko) 원격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