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578Y1 -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578Y1
KR200267578Y1 KR2020010036800U KR20010036800U KR200267578Y1 KR 200267578 Y1 KR200267578 Y1 KR 200267578Y1 KR 2020010036800 U KR2020010036800 U KR 2020010036800U KR 20010036800 U KR20010036800 U KR 20010036800U KR 200267578 Y1 KR200267578 Y1 KR 200267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xing member
building
shap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준호
Original Assignee
도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준호 filed Critical 도준호
Priority to KR2020010036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578Y1/ko

Links

Landscapes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용으로 사용되는 복층유리를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접착력이 강한 구조용 코킹재를 사용하지 않고 볼트로서 간단히 고정할 수 있게 성형한 합성수지제의 고정부재를 사용하므로서 시공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 계절의 변화에 따라 복층유리가 변형되어 건물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의 전면과 면접하도록 일정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접면부와, 상기 평판의 중앙부 또는 끝단부에 연결판을 횡착하여 대향 고정한 같은 형상의 평판의 사이의 요입부에 내측유리의 외단부가 삽입되는 외단 삽입부와, 대향 고정된 평판의 외측면에 외측유리의 내측단부가 접하는 내측단 접면부와, 연결판을 횡착한 평판의 전후면으로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공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볼트공을 관통한 체결부로 구성된 단면 형상이 "H"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된 합성수지제의 일자형,열십자형,T자형,L자형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복층유리를 벽면에 고정하므로서 시공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 계절의 변화에 따라 복층유리가 변형되어 건물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A fixture of plural glass for building outer wall}
본 고안은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용으로 사용되는 복층유리를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접착력이 강한 구조용 코킹재를 사용하지 않고 볼트로서 간단히 고정할 수 있게 성형한 합성수지제의 고정부재를 사용하므로서 시공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 계절의 변화에 따라 복층유리가 변형되어 건물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용으로 사용되는 복층유리를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 사용했던 방법은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외벽에 일정간격으로 종횡으로 배치된 사각형상의 프레임의 전면 중앙부에 지지단을 돌설하고, 이의 상면에는 복층유리가 받침판과 접착제를 사용하여 복층유리의 사이에 고정한 간격 유지판을 매개로 수직으로 입설되며, 복층유리의 내면과 프레임의 전면 사이에는 위치 고정시 사용되는 테이프와 부착력이 강한 구조용 코킹을 유입하여 복층유리를 프레임에 단단히 부착 고정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프레임에 종횡으로 여러개 부착된 복층유리의 끝단 사이에는 방수용 코킹을 유입하므로서 시공을 완료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공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층유리를 프레임에 고정할때 여러가지 부재가 사용되므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특히 구조용 코킹을 프레임과 복층유리 사이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유입하는 작업이 상당히 힘들게 되어 작업시간이 상당히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용 코킹으로 프레임과 복층유리를 단단히 결착하게 되면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온도에 대응하지 못하게 되므로 복층유리의 수축과 팽창으로 복층유리가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변형되어 건물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코자 한 것으로 프레임의 전면과 면접하도록 일정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접면부와, 상기 평판의 중앙부 또는 끝단부에 연결판을 횡착하여 대향 고정한 같은 형상의 평판의 사이의 요입부에 내측유리의 외단부가 삽입되는 외단 삽입부와, 대향 고정된 평판의 외측면에 외측유리의 내측단부가 접하는 내측단 접면부와, 연결판을 횡착한 평판의 전후면으로 프레임에 형성된 볼트공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볼트공을 관통한 체결부로 구성된 단면 형상이 "H"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된 합성수지제의 일자형,열십자형,T자형,L자형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복층유리를 벽면에 고정하므로서 시공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 계절의 변화에 따라 복층유리가 변형되어 건물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정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로 복층유리를 벽면에 고정시킨 예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복층유리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열십자형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복층유리를 벽면에 고정시킨 예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외벽 2 : 프레임 3,3',3a,3a': 볼트공
4 : 복층유리 4a: 내측유리 4b: 외측유리
5 : 간격 유지판 6 : 접착제 7 : 외단부
8 : 스페이스 9 : 고정부재 9a,9a": 평판
9a': 프레임 접면부 9b: 연결판 9c: 외단 삽입부
9d: 체결부 10 : 볼트 10': 방수용 코킹
11 : 분리용 테이프 12 : 구조용 코킹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정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로 복층유리를 벽면에 고정시킨 예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복층유리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열십자형 고정부재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외벽(1)에 일정간격으로 종횡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사각형 프레임(2)의 전면 중앙부에 볼트공(3)(3')을 형성하고, 프레임(2)의 전면에는 내측유리(4a)와 외측유리(4b)의 사이에 간격유지판(5)을 접착제(6)로 고정하여서 된 복층유리(4)의 내측유리(4a)의 외단부(7)를 스페이스(8)가 생기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단면 형상이 "H"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된 합성수지제의 일자형,열십자형,T자형,L자형 등의 고정부재 (9)를 볼트(10)로 체결하여 고정하며, 상기 고정부재 (9)에 삽입되어 종횡으로 설치된 외측유리(4b)의 사이에는 마감 작업으로 방수용 코킹(10')을 유입하되 고정부재(9)의 외측면이 코킹(10')으로 완전히 덮히지 않도록 중앙부위에 접착력이 약한 분리용 테이프(11)를 부착하여 유입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9)는 프레임(2)의 전면과 면접하도록 일정형상의 평판(9a)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접면부(9a')와, 상기 평판(9a)의 중앙부 또는 끝단부에 연결판(9b)을 횡착하여 대향 고정한 같은 형상의 평판(9a")의 사이의 요입부에 내측유리(4a)의 외단부(7)가 삽입되는 외단 삽입부(9c)와, 대향 고정된 평판 (9a')의 외측면에 외측유리(4b)의 내측단부가 접하는 내측단 접면부(9c)와, 연결판(9b)을 횡착한 평판(9a)의 전후면으로 프레임(2)에 형성된 볼트공(3)(3')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볼트공(3a)(3a')을 관통한 체결부(9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단 삽입부(9c)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9c')가 돌설된 구조로 되어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종래에 사용된 구조용 코킹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는 건물의 외벽용으로 사용되는 복층유리(4)를 벽면(1)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접착력이 강한 구조용 코킹(12)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10)로서 간단히 고정할 수 있게 성형한 합성수지제의 고정부재(9)를 사용하므로서 시공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 계절의 변화에 따라 복층유리(4)가 변형되어 건물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실시예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의 외벽용으로서 내측유리(4a)와 외측유리(4b)의 사이에 간격유지판(5)을 접착제(6)로 고정하여서 된 복층유리(4)를 본 고안에 의거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외벽(1)에 복층유리(4)의 크기를 감안하여 일정간격으로 종횡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사각형 프레임(2)의 전면 중앙부에 볼트공 (3)을 형성한다.
상기 작업이 완료되면 단면 형상이 "H"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된 합성수지제의 일자형,열십자형,T자형,L자형 등의 고정부재(9)를 프레임(2)의 전면에 면접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9)에 형성된 볼트공(3a)(3a')과 프레임(2)에 형성된 볼트공(3)(3')을 일치시켜 상기 볼트공(3)(3')(3')(3")으로 볼트(10)를 체결하면 되는데, 고정시에는 상기 고정부재(9)가 쓰임에 맞도록 각각의 위치를 고려하여 고정부재(9)를 고정한다. 즉 일자형과 열십자형의 고정부재(9)는 복층유리(4)가 상하 또는 좌우로 맞물려 삽입되는 부위에 고정할 수 있으며 T자형,L자형의 고정부재(9)와 단면 형상이 "ㄷ"자형으로 된 일자형의 고정부재(9)는 복층유리(4)가 부착된 전체의 최외각부에 사용되므로 일자형 또는 열십자형의 고정부재(9)로 복층유리를 벽면에 전체적으로 구성한 후에 고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복층유리(4)가 프레임(2)에 고정된 고정부재(9)를 매개로 벽면(1)에 고정되는 실시예를 고정부재(9)의 각부위를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단면 형상이 "H"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된 합성수지제의 일자형,열십자형,T자형,L자형 등의 고정부재(9)에는 프레임(2)의 전면과 면접하는 일정형상의 평판 (9a)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접면부(9a')가 있고, 상기 평판의 중앙부 또는 끝단부에는 연결판(9b)을 횡착하여 대향 고정한 평판(9a")의 사이의 요입부에는 내측유리 (4a)의 외단부(7)가 삽입되는 외단 삽입부(9c)가 있으며, 대향 고정된 평판(9a')의 외측면에는 외측유리(4b)의 내측단부가 접하는 내측단 접면부(9c)가 있고, 연결판 (9b)으로 연결된 평판(9a)(9a")의 전후면에는 프레임(2)에 형성된 볼트공(3)(3')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볼트공(3a)(3a')을 관통한 체결부(4d)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고정부재(9)를 이에 형성된 볼트공(3a)(3a')과 프레임(2)에 형성된 볼트공(3)(3')을 일치시켜 볼트(10)를 체결하면 고정부재(9)의 프레임 접면부(9a')가 프레임(2)의 전면에 면접하면서 단단히 고정되고, 따라서 프레임(2)에 고정부재 (9)를 다수개 종횡으로 설치하여 외단 삽입부(9c)로 복층유리(4)의 내측유리(4a)의외단부(7)가 삽입되게 밀어 넣으면 외측유리(4b)의 내측단부가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9)의 내측단 접면부(9c)에 접하고 내측유리(4a)의 단입부가 외단 삽입부 (9c)에 삽입 지지되어 복층유리(4)가 접착력이 강한 구조용 코킹(12)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방으로 지지되면서 벽면 (1)에 고정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마주보는 외단 삽입부(9c)는 내측유리(4a)가 삽입된 후에도 일정크기의 스페이스(8)를 가질 수 있게 거리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복층유리(4)의 삽입시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에 계절의 변화에 따라 복층유리(4)가 수축 또는 팽창되는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어 복층유리(4)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단 삽입부(9c)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9c')가 돌설되어 있으므로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리 또한 용이하여 교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9)를 매개로 복층유리(4)가 벽면에 전체적으로 고정되면 외측유리(4b)의 내측단이 접하는 고정부재(9)의 내측단 접면부(9c)로 이물이나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종횡으로 설치된 복층유리(4)의 사이에 방수용 코킹(10')을 유입하여 마감 처리를 할 수가 있는데, 방수용 코킹(10')을 유입할 시에는 방수용 코킹(10')의 점착력에 의해 복층유리(4)가 고정부재(9)에 구속되어 계절의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 대처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9)의 외측면이 코킹(10')으로 완전히 덮히지 않도록 중앙부위에 접착력이 약한 분리용 테이프(11)를 부착하여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용으로 사용되는 복층유리를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접착력이 강한 구조용 코킹재를 사용하지 않고 볼트로서 간단히 고정할 수 있게 성형한 합성수지제의 고정부재를 사용하므로서 시공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을 상승 시킬 수 있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후에 계절의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변형에 의한 건물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3)

  1.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외벽(1)에 일정간격으로 종횡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사각형 프레임(2)의 전면 중앙부에 볼트공(3)(3')을 형성하고, 프레임(2)의 전면에는 내측유리(4a)와 외측유리(4b)의 사이에 간격유지판(5)을 접착제(6)로 고정하여서 된 복층유리(4)의 내측유리(4a)의 외단부(7)를 스페이스(8)가 생기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단면 형상이 "H"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된 합성수지제의 일자형,열십자형,T자형,L자형 등의 고정부재(9)를 볼트(10)로 체결하여 고정하며, 상기 고정부재(9)에 삽입되어 종횡으로 설치된 외측유리(4b)의 사이에는 마감 작업으로 방수용 코킹(10')을 유입하되, 고정부재(9)의 외측면이 코킹(10')으로 완전히 덮히지 않도록 중앙부위에 접착력이 약한 분리용 테이프(11)를 부착하여 유입한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9)는 프레임(2)의 전면과 면접하도록 일정형상의 평판(9a)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접면부(9a')와, 상기 평판(9a)의 중앙부 또는 끝단부에 연결판(9b)을 횡착하여 대향 고정한 같은 형상의 평판(9a")의 사이의 요입부에 내측유리(4a)의 외단부(7)가 삽입되는 외단 삽입부(9c)와, 대향 고정된 평판 (9a')의 외측면에 외측유리(4b)의 내측단부가 접하는 내측단 접면부(9c)와, 연결판 (9b)을 횡착한 평판(9a)의 전후면으로 프레임(2)에 형성된 볼트공(3)(3')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볼트공(3a)(3a')을 관통한 체결부(9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고정부재(9)의 외단 삽입부(9c)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9c')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
KR2020010036800U 2001-11-29 2001-11-29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 KR200267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00U KR200267578Y1 (ko) 2001-11-29 2001-11-29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00U KR200267578Y1 (ko) 2001-11-29 2001-11-29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578Y1 true KR200267578Y1 (ko) 2002-03-13

Family

ID=7311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800U KR200267578Y1 (ko) 2001-11-29 2001-11-29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57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30B1 (ko) 2007-02-14 2007-11-28 이봉재 건물의 외벽면 마감재
KR100955878B1 (ko) * 2007-11-20 2010-05-04 알루텍 (주) 커튼 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커튼 월 설치방법
KR101137228B1 (ko) 2010-08-13 2012-04-20 (주) 코인스이앤씨 건물 외벽용 유리 보강장치
KR20130137309A (ko) 2012-06-07 2013-12-17 도준호 외장 패널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415321B1 (ko) * 2013-02-08 2014-07-04 최서윤 건축물 외벽용 커튼월 유닛
KR101747948B1 (ko) * 2016-10-05 2017-06-16 주식회사선진알미늄 방열성 및 방습성이 향상된 커튼월
CN108767784A (zh) * 2018-06-29 2018-11-06 上海聚通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玻璃材质墙面管线槽的安装固定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30B1 (ko) 2007-02-14 2007-11-28 이봉재 건물의 외벽면 마감재
KR100955878B1 (ko) * 2007-11-20 2010-05-04 알루텍 (주) 커튼 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커튼 월 설치방법
KR101137228B1 (ko) 2010-08-13 2012-04-20 (주) 코인스이앤씨 건물 외벽용 유리 보강장치
KR20130137309A (ko) 2012-06-07 2013-12-17 도준호 외장 패널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415321B1 (ko) * 2013-02-08 2014-07-04 최서윤 건축물 외벽용 커튼월 유닛
KR101747948B1 (ko) * 2016-10-05 2017-06-16 주식회사선진알미늄 방열성 및 방습성이 향상된 커튼월
CN108767784A (zh) * 2018-06-29 2018-11-06 上海聚通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玻璃材质墙面管线槽的安装固定方法
CN108767784B (zh) * 2018-06-29 2024-01-05 上海聚通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玻璃材质墙面管线槽的安装固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4486A (en) Panel wall construction
US8347569B1 (en) Self-adjusting coplanar ACM panel mounting system secured by novel retaining clip
US6484465B2 (en) Open joint wall panel system
RU2601644C2 (ru) Узел для крепления двух смежных панелей к структуре, чтобы позволить тепловое расширение и сжатие
US5048254A (en) Prefabricated building panel
US20150052840A1 (en) Multi-Layered Cladding Frame System
US6148585A (en) Architectural column cover and wall panel assembly
KR200267578Y1 (ko)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구조
US7051485B2 (en) Ceiling panel system
SK96195A3 (en) Assembled set of profile assemblies from metal and wood for door and window frames
KR102041344B1 (ko) 커튼월 시스템
CN215407010U (zh) 一种屋面支座及屋面组件
JP5169367B2 (ja) 断熱天井
CA1216127A (en) Panel wall system
KR100701206B1 (ko) 건축용 단열패널 부착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외벽 단열패널시공방법
CN112443069A (zh) 一种装配式吊顶安装构件及安装方法
WO2009145367A1 (en) Deck fastener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deck board
KR20080088160A (ko) 데크 결합용 부재 및 데크자재의 결합구조
CN219931307U (zh) 装配墙
CN217812034U (zh) 阳角结构
JP3414695B2 (ja) 内壁材固定機能を兼ね備えたサイディング材固定具
CA3027413C (en) Reveal device for a panel system
JPS6038143Y2 (ja) 断熱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JPH0115775Y2 (ko)
JPS5811845Y2 (ja) 構築物の面材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