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951Y1 - 풍향 표시 지구본 - Google Patents
풍향 표시 지구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6951Y1 KR200266951Y1 KR2020010036311U KR20010036311U KR200266951Y1 KR 200266951 Y1 KR200266951 Y1 KR 200266951Y1 KR 2020010036311 U KR2020010036311 U KR 2020010036311U KR 20010036311 U KR20010036311 U KR 20010036311U KR 200266951 Y1 KR200266951 Y1 KR 2002669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direction
- ellipsoid
- earth
- wind
- glob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풍향을 표시하는 지구본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지구본의 위도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표시하여 지구의 대기 순환을 보다 용이하게 학습하도록 할 수 있는 풍향 표시 지구본에 관련된다.
본 고안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자재하도록 축설된 지구 타원체를 구비하는 지구본에 있어서, 표면에 위도 및 경도에 따라 세계 지도가 표시되고 반투명의 소재로 형성되는 지구 타원체와; 상기 지구 타원체의 내부에 구비하되, 상부 및 하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상기 샤프트에 회전 자재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지구 타원체의 위도별 풍향을 표시하는 다수의 풍향 표시부가 형성된 풍향 표시 타원체를 구비하여 지구의 위도별 풍향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풍향을 표시하는 지구본에 관련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지구본의 위도에 따라 바람의 방향을 표시하여 지구의 대기 순환을 보다 용이하게 학습하도록 할 수 있는 풍향 표시 지구본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구본은 지지부에 지구 타원체의 모형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외부면에 세계 지도를 인쇄함으로써 사용자나 학습자로 하여금 세계 지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지구본을 사용하면 세계 각 나라의 위치, 다시 말해 경도와 위도에 따른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평면적인 세계 지도를 보면 세계의 각 나라에 대한 실제 지구에서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반면, 지구본을 이용하면 세계 각 나라의 입체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지구본은 지구의 형상을 그대로 본 따 모형화시켜 놓은 것이므로 지구의 자전을 이해하거나 천체의 운동을 학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지구본은 세계 각 나라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보다 다양한 학습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학교에서 지구에 대한 학습을 하는 학생들은 지구 대기의 순환을 공부하는데 대부분의 교육이 이차원적인 그림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들이 용이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지구의 대기 중에서 부는 바람은 지구의 위도별 온도, 지구의 자전 등 많은 복합적인 요소에 따라 그 풍향이 결정되며, 계절에 따라서도 그 풍향이 변화되는 등 지구 대기의 순환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로서는 평면적인 그림으로 이해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투명한 지구 타원체에 표시된 위도별로 바람의 방향을 표시한 풍향 표시 타원체를 지구 타원체의 내부에 형성하여 지구 대기의 순환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풍향 표시 지구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풍향 표시 타원체에 풍향을 표시하는 풍향 표시부를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람의 방향에 따라 빛을 발산하여 보다 높은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풍향 표시 지구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지구 타원체의 위도에 따라 각 위도별로 서로 다른 빛을 발산하는 발광 소자로 바람의 방향을 표시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위도별 풍향을 학습할 수 있는 풍향 표시 지구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향 표시 지구본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
도 2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향 표시 타원체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지지부 11 : 전원부
20 : 샤프트 30 : 지구 타원체
40 : 풍향 표시 타원체 41 : 풍향 표시부
42 : 발광 소자 43 : 체결공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자재하도록 축설된 지구 타원체를 구비하는 지구본에 있어서,
표면에 위도 및 경도에 따라 세계 지도가 표시되고 반투명의 소재로 형성되는 지구 타원체와; 상기 지구 타원체의 내부에 구비하되, 상부 및 하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상기 샤프트에 회전 자재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지구 타원체의 위도별 풍향을 표시하는 다수의 풍향 표시부가 형성된 풍향 표시 타원체를 구비하여 지구의 위도별 풍향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술한 풍향 표시 지구본이 상기 풍향 표시 타원체의 다수의 풍향 표시부에 다수의 발광 소자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산하여 풍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술한 다수의 발광 소자가 상기 지구 타원체의 각 위도에 따른 다수의 풍향 표시부별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빛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위도별 풍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당업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향 표시 지구본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풍향 표시 지구본은 지지부(10), 샤프트(20), 지구 타원체(30), 풍향 표시 타원체(4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풍향 표시 타원체(40)가 지구 타원체(3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풍향 표시 타원체(40)가 지구 타원체(3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10)는 전술한 샤프트(20), 지구 타원체(30), 풍향 표시 타원체(40)를 고정, 지지하는 수단으로 상부면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샤프트(20)가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20)는 지지부(10)에 고정되며 지구 타원체(30)와 풍향 표시 타원체(40)가 회전 자재하도록 축설되어진다.
지구 타원체(30)는 일반적인 종래 지구본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관통된 체결공을 통해 전술한 샤프트(20)에 축설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지구 타원체(30)는 전술한 샤프트(20)와 회전 자재하도록 축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구 타원체(30)는 풍향 표시 타원체(40)와 고정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지구 타원체(30)는 풍향의 표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지구 타원체(30)는 내부에 형성되는 풍향 표시 타원체(40)에 표시되는 풍향의 표시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향 표시 타원체(40)는 상부 및 하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공(43)을 통하여 전술한 샤프트(20)에 회전 자재 하도록 축설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풍향 표시 타원체(40)는 전술한 반투명한 지구 타원체(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지구 타원체(30)에 표시된 위도에 따라 풍향을 표시한 다수의 풍향 표시부(4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향 표시 타원체(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구 타원체(3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풍향 표시 타원체(40)가 지구 타원체(3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풍향 표시 타원체(40)가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풍향 표시 타원체(40)를 통하여 내부의 지구 타원체(30)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향 표시 타원체(40)는 전술한 지구 타원체(30)에 표시된 위도에 따라 각 위도별로 바람이 부는 방향을 표시한 다수의 풍향 표시부(41)를 표면에 형성하여, 각 위도별로 바람이 부는 방향을 지구 타원체(30)와 중첩하여 나타냄으로써 위도별 풍향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향 표시 타원체(4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풍향 표시 타원체(40)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풍향 표시 타원체(40)만을 도면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풍향 표시 타원체(40)는 다수의 풍향 표시부(41)에 다수의 발광 소자(42)가 형성되고, 지지부(10)의 일측으로 다수의 발광 소자(42)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1)가 형성된다. 전원부(11)는 일반적인 사용하는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운반의 편리성을 생각하는 경우 충전 기능을 포함하거나 전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수의 발광 소자(42)는 다수의 풍향 표시부(41)에 바람의 방향을 표시하도록 삽입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발광 소자(42)는 풍향 표시 타원체(40)의 내부를 통해 전원부(11)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발광 소자(42)로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 광섬유와 같은 다양한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다수의 발광 소자(42)는 전술한 지구 타원체(30)의 각 위도에 따라 형성된 다수의 풍향 표시부(41) 별로 서로 다른 빛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이웃한 서로 다른 풍향 표시부(41)는 서로 다른 빛을 발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지지부(10)에 발광 소자(42)의 점멸 제어부를 형성하고, 다수의 발광 소자(42)를 각각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점멸함으로써 바람의 방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은 지구 타원체에 표시된 위도별로 바람의 방향을 표시한 풍향 표시 타원체를 지구 타원체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지구의 위도별로 지구 대기의 순환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풍향 표시 타원체에 풍향을 표시하는 풍향 표시부를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람의 방향에 따라 빛을 발산하여 보다 높은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구 타원체의 위도에 따라 각 위도별로 서로 다른 빛을 발산하는 발광 소자로 바람의 방향을 표시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위도별 풍향을 학습할 수 있으며, 발광 소자를 바람의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함으로써 바람의 방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3)
-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에 회전 자재하도록 축설된 지구 타원체(30)를 구비하는 지구본에 있어서,표면에 위도 및 경도에 따라 세계 지도가 표시되고 반투명의 소재로 형성되는 지구 타원체(30)와;상기 지구 타원체(30)의 내부에 구비하되, 상부 및 하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공(43)을 통해 상기 샤프트(20)에 회전 자재하도록 축설되고 상기 지구 타원체(30)의 위도별 풍향을 표시하는 다수의 풍향 표시부(41)가 형성된 풍향 표시 타원체(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 표시 지구본.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풍향 표시 지구본이:상기 풍향 표시 타원체(40)의 다수의 풍향 표시부(41)에 다수의 발광 소자(42)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42)는 상기 지지부(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발산하여 풍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 표시 지구본.
- 청구항 2 에 있어서,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42)가 상기 지구 타원체(30)의 각 위도에 따른 다수의 풍향 표시부(41)별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빛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 표시 지구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6311U KR200266951Y1 (ko) | 2001-11-24 | 2001-11-24 | 풍향 표시 지구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6311U KR200266951Y1 (ko) | 2001-11-24 | 2001-11-24 | 풍향 표시 지구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6951Y1 true KR200266951Y1 (ko) | 2002-03-06 |
Family
ID=7305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631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66951Y1 (ko) | 2001-11-24 | 2001-11-24 | 풍향 표시 지구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695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9755B1 (ko) * | 2011-01-21 | 2013-04-03 | 최해덕 | 홍보용 정보 표시장치 |
-
2001
- 2001-11-24 KR KR2020010036311U patent/KR200266951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9755B1 (ko) * | 2011-01-21 | 2013-04-03 | 최해덕 | 홍보용 정보 표시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80591A (en) | Instructional globe | |
KR200266951Y1 (ko) | 풍향 표시 지구본 | |
Liben et al. | Geography for young children: Maps as tools for learning environments | |
KR200469769Y1 (ko) | 지구본을 이용한 태양의 고도변화 확인장치 | |
JP2005078031A (ja) | 天球儀 | |
US8029289B2 (en) | Backlit map with interchangeable pictures | |
US2809448A (en) | Illuminated globe | |
ES2997202T3 (en) | Interactive electronic toy system | |
KR200266949Y1 (ko) | 밤낮을 표시하는 지구본 | |
CN207690395U (zh) | 一种地理双球仪 | |
JP3219601U (ja) | 持ち運び式信号機 | |
GB2235805A (en) | Educational globe toy | |
Freeman et al. | Teaching about places | |
KR200424456Y1 (ko) | 입체 별자리 관찰구 | |
AU718275B3 (en) | A teaching aid | |
JPS5865468A (ja) | 宇宙天体表示具 | |
CN214504804U (zh) | 一种光纤地球仪 | |
AU737682B2 (en) | A globe having magnetic pieces attached thereto | |
CN204010522U (zh) | 一种地球仪 | |
JPS5865469A (ja) | 宇宙天体表示具 | |
CN211742484U (zh) | 一种教学用月相成因演示仪 | |
CN213904720U (zh) | 测绘教学用地球椭球模型 | |
ES1079855U (es) | Modelo de globo terráqueo con movimiento de precesión libre | |
CN212276691U (zh) | 一种地球仪教具 | |
Bansal | Analysing Middle Grades1 Science Textbooks for their Potential to Promote Scientific Inqui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124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20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2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