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889Y1 - 팬코일 유니트 - Google Patents

팬코일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889Y1
KR200266889Y1 KR2019970042146U KR19970042146U KR200266889Y1 KR 200266889 Y1 KR200266889 Y1 KR 200266889Y1 KR 2019970042146 U KR2019970042146 U KR 2019970042146U KR 19970042146 U KR19970042146 U KR 19970042146U KR 200266889 Y1 KR200266889 Y1 KR 200266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ont panel
cabinet
blower
co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481U (ko
Inventor
장인규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70042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88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9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4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8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룸(room)에 설치되어 내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룸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팬코일 유니트(fan coil unit)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캐비닛의 전면판넬이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제 1, 제 2 전면판넬로 이루어지되, 이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전면판넬이 상기 필터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닛의 전면 하부와 상기 제 1 전면판넬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전면판넬의 하부와 상부를 지지하는 브래킷과 회동지지편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필터와 상기 제 2 전면판넬의 위치를 현장의 여건에 따라 서로 바꾸어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필터가 송풍기의 하부에만 설치되도록 구성된 방식에 비하여 필터의 점검이 용이하고, 또한 베이스와 외장커버를 현장여건에 맞추어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팬코일 유니트
본 고안은 건물의 룸(room)에 설치되어 내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룸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팬코일 유니트(fan coil unit)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필터의 설치 위치를 현장여건에 맞추어 송풍기의 하부에 수평으로 또는 송풍기의 전면에 수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팬코일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팬코일 유니트(fan coil unit)는 건물의 냉, 난방시 냉동기 또는 보일러에서 냉수나 온수를 공급받아 그 열교환기(heat exchanger)에 통과시킴으로써 주변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 뒤, 이 공기를 송풍기(blower)에 의해 실내로 토출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장치이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팬코일 유니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룸(1)의 바닥면(2)과 벽면(3)간의 코너(corner)부에 캐비닛(4)이 설치되고, 그 둘레는 현장에서 제작되는 베이스(5)와 외장커버(6)에 의해 감싸인다.
그리고 캐비닛(4)의 상측에는 공기와 열교환을 일으키는 열교환기(7)가 설치되고, 그 하측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8)가 설치되며, 이 송풍기(8)의 하부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9)는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 잦은 점검이 요구될 뿐만아니라 필요시 교체하여야 하는 바, 캐비닛(4)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외장커버(6)와 베이스(5)의 사이에 점검구(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베이스(5)와 외장커버(6)는 통상 설치 현장에서 그 여건에 맞도록 임의적으로 제작하여 설치되는 것임을 감안할 때, 현장의 여건에 즉, 외관 및 설치면적 등에 치우치게 되는 경우에는 베이스(5)와 외장커버(6) 사이에 형성되는 필터 점검구(10)를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필터의 점검이 상당히 어려워지는 즉, 필터의 점검을 위하여 베이스(5)와 외장커버(6)의 전면커버(6a)를 해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필터의 점검구(10)의 확보에 치우치게 되는 경우에는 베이스(5)와 외장커버(6)를 현장의 여건에 맞도록 임의적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장여건에 맞추어 필터의 위치를 송풍기의 하부와 송풍기의 전면으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점검이 용이하고, 베이스와 외장커버를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팬코일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팬코일 유니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 유니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필터가 송풍기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 유니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필터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 유니트의 캐비닛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물의) 룸(room) 2 : (룸의) 바닥면
3 : (룸의) 벽면 21 : 캐비닛
22 : 송풍기 23 : 열교환기
24 : 필터 25 : 전면판넬
26,27 : 제 1, 제 2 전면판넬 28 : 브래킷
29 : 회동지지편 31 : 베이스
32 : 외장커버 32a : 전면커버(외장커버의)
33 : 필터 점검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기를 흡입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상측에 위치되며 흡입된 내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흡입되는 내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와, 이들이 내장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을 감싸는 베이스와 외장커버를 구비하는 팬코일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판넬이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제 1, 제 2 전면판넬로 이루어지되, 이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전면판넬이 상기 필터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닛의 전면 하부와 상기 제 1 전면판넬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전면판넬의 하부와 상부를 지지하는 브래킷과 회동지지편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필터와 상기 제 2 전면판넬의 위치를 현장의 여건에 따라 서로 바꾸어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팬코일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 유니트는, 캐비닛(21)의 내부에 내기를 흡입하는 송풍기(22)가 설치되고, 이 송풍기(22)의 상측에는 냉동기나 보일러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 받아 송풍기(22)에 의해 흡입된 내기와 열교환을 일으키는 열교환기(23)가 설치되며, 송풍기(22)의 하부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캐비닛(21)은 룸(1)의 바닥면(2)과 벽면(3)간의 코너부에 설치되고, 이 캐비닛(21)에는 베이스(31)와 외장커버(32)가 이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베이스(31)와 외장커버(32)의 사이에는 캐비닛(21)으로부터 필터를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필터 점검구(33)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캐비닛(21)의 전면판넬(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제 1, 제 2 전면판넬(26)(27)로 이루어지되, 이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전면판넬(27)은 상기 필터(24)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전면판넬(26)은 캐비닛(21)의 전면 상측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제 2 전면판넬(27)은 캐비닛(21)의 전면 하부와 제 1 전면판넬(26)의 전면 하부에 각각 설치된 브래킷(28)과 회동지지편(29)에 의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 유니트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먼저, 룸(1)의 바닥면(2)과 벽면(3)간의 코너부에 송풍기(22)와 열교환기(23)가 내장된 캐비닛(21)을 설치하고, 이 캐비닛(21)의 외측에 베이스(31)와 외장커버(32)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31)와 외장커버(32)는 실내의 미관 등을 위해 작업자가 설치현장에서 현장의 여건 즉, 외관 및 설치면적에 맞도록 임의적으로 제작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베이스(31)와 외장커버(32)를 현장의 여건에 즉, 외관 및 설치면적 등에 치우치게 제작하는 경우에는, 베이스(31)와 외장커버(32) 사이에 형성되는 필터 점검구(33)를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캐비닛(21) 전면 하측에 브래킷(28)과 회동지지편(29)에 의해 결합된 제 2 전면판넬(27)을 캐비닛(21)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분리한 제 2 전면판넬(27)과 송풍기(22) 하부에 설치된 필터(24)를 서로 바꾸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설치하게 된다.
즉, 분리한 제 2 전면판넬(27)은 송풍기(22)의 하부에 결합되어 송풍기(22)의 하부를 차단하게 되고, 필터(24)는 캐비닛(21)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브래킷(28)과 제 1 전면판넬(26)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회동지지편(29)에 의해 캐비닛(21)의 전면 하측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필터(24)의 점검시에는 외장커버(32)의 전면커버(32a)만을 분리하여 캐비닛(21)의 전면에 설치된 필터(24)를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31)와 외장커버(32) 사이에 필터 점검구(33)가 확보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터(24)를 송풍기(22)의 하부에 설치하고, 제 2 전면판넬(27)은 캐비닛(21)의 전면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 유니트는 현장여건에 따라서 필터(24)의 설치위치를 송풍기(22)의 하부와 캐비닛(21)의 전면 하측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 필터가 송풍기의 하부에만 설치되도록 구성된 방식에 비하여 필터의 점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31)와 외장커버(32)의 제작시 필터 점검구(33)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만큼 현장 여건에 맞추어 베이스와 외장커버를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팬코일 유니트에 의하면, 현장 여건에 맞추어 제작되는 베이스와 외장커버의 형태에 따라 필터의 위치를 송풍기의 하부와 캐비닛의 전면으로 바꾸어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 필터가 송풍기의 하부에만 설치되도록 구성된 방식에 비하여 필터의 점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와 외장커버의 제작시 필터 점검구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만큼 현장 여건에 맞추어 베이스와 외장커버를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내기를 흡입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상측에 위치되며 흡입된 내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기의 하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흡입되는 내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와, 이들이 내장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을 감싸는 베이스와 외장커버를 구비하는 팬코일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판넬이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제 1, 제 2 전면판넬로 이루어지되, 이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전면판넬이 상기 필터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닛의 전면 하부와 상기 제 1 전면판넬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전면판넬의 하부와 상부를 지지하는 브래킷과 회동지지편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필터와 상기 제 2 전면판넬의 위치를 현장의 여건에 따라 서로 바꾸어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코일 유니트.
KR2019970042146U 1997-12-29 1997-12-29 팬코일 유니트 KR200266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146U KR200266889Y1 (ko) 1997-12-29 1997-12-29 팬코일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146U KR200266889Y1 (ko) 1997-12-29 1997-12-29 팬코일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481U KR19990029481U (ko) 1999-07-26
KR200266889Y1 true KR200266889Y1 (ko) 2002-05-09

Family

ID=5389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146U KR200266889Y1 (ko) 1997-12-29 1997-12-29 팬코일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8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481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958B1 (ko) 공기조화기
KR10120357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29342B1 (ko) 공기조화기
KR200266889Y1 (ko) 팬코일 유니트
JPH08200799A (ja) 空気調和機
JP6566063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6384244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6331935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823988B2 (ja) 空気調和機
JPH0332914Y2 (ko)
JP2798875B2 (ja) 空気調和機の取付装置
KR10060074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2994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구조
KR20060020591A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JPH02169938A (ja) 空気調和機
JP2620678B2 (ja) 空気調和機
JPS621620Y2 (ko)
JP3050175U (ja) 分離型ルームエアコンの拡張可能な室内機
KR101105754B1 (ko) 공기조화기
KR10056448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0632918U (ja) 空気調和機
KR10035337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장착구조
KR10034794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구조
KR10051841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93993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7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